(방송통신대 노인복지론)한국노인돌봄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인지, 제도적인지 신문이나 인터넷 뉴스 기사에 실린 노인돌봄사례를 중심으로 논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논하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노인복지론)한국노인돌봄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인지, 제도적인지 신문이나 인터넷 뉴스 기사에 실린 노인돌봄사례를 중심으로 논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논하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잔여적 복지와 제도적 복지
1)잔여적 복지 2)제도적 복지
2. 노인돌봄 사례 소개
1)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례
2)창원시의 ‘응급 돌봄 서비스’사례
3)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 사례
3. 사례를 통해 본 한국노인돌봄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인지, 제도적인지 분석
4. 사례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
1)사회복지사(Social Worker)
2)노인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가. 중개자 나. 가능자 다. 옹호자 라. 교사 마. 중재자
3)사례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 체계는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과 관리 체계의 효율성을 기본적 요소로 삼고 있다. 앞의 사례들도 서비스 전달 체계가 보완된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잘 짜인 전달 체계가 존재해야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가정에서의 돌봄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이 법제화된 지 벌써 35년이 지나고 있다.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1970년대 사회복지사업종사자로 시작해 1983년 5월 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되면서 기존의 사회사업가 내지 사회사업종사자의 명칭이 ‘사회복지사’로 규정된 이래 지금까지 2015년 1월 기준 70만개 이상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누적 발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매년 7만개 이상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되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100만 명을 넘어서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는 그만큼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그러나 사례에서 확인된 요양보호사뿐 아니라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현장에서 온몸으로 하는 일에 비해 근무환경도 너무나 열악하다. 그래서 몇 년 일하지도 못하고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여전히 사회복지사로서 사명감과 자긍심, 그리고 열정만으로 최선을 다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즉, 지속가능한 노인복지를 위해서는 노인복지 예산에 대한 증가와 함께 노인복지를 실천하는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에 대한 개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Ⅲ. 결 론
통계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보다 더 급속하게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변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무엇보다 노인 복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절실하다. 아울러 시간이 갈수록 경로사상이나 효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사회의 지배적인 분위기가 되어 가면서, 노인 복지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는 만큼, 정부와 지자제의 지속적인 예산 투자가 요구된다.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고령사회에서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노인들의 복지 정책은 안정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나 단순한 수명 연장이 아니라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생존권은 헌법으로 보장된 기본권이라는 점에서도 정부의 예산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잔여적 복지보다는 제도적 복지의 지속적 향상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노후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국가와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Wilensky는 사회복지사업은 제도적인 접근방법이 좋고, 사회는 개인의 잠재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는 모든 사람이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고 남에게 인정받으며 생리적, 문화적 기본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 줄 책임이 있다고 역설한 바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본론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또한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복지국가로서의 정부 역할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노인돌봄은 잔여적 복지를 지양하고 제도적 복지로 정책 방향을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어떤 사회도 복지에 있어 전적으로 잔여적이거나 제도적일 수는 없다. 다만, 사회적 합의를 통해 노인복지처럼 핵심적인 복지 분야의 경우에는 복지정책을 제도적 방향으로 꾸준히 실행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이현숙 외(2019). 『노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유범상 외(2017). 『사회복지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세형(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양성원.
권중돈(2016). 『노인복지론 6판』. 학지사.
이준우(2013).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복지 이해와 실천』. 파란마음.
김세진 외(2013).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 부키.
이영분 외(2010). 『사회복지실천론』. 동인.
원석조(2008). 『사회복지정책학원론』. 양서원.
이병록(2007).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청목출판사.
보건복지부(http://www.mohw.go.kr) 2020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안내책자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96983 [진단] 초고령화 시대 노인돌봄의 답을 찾다 (1) 노인돌봄 실태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3 노인 맞춤돌봄 서비스 2020년 1월부터 시행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81013551250092 [단독] 창원서 굶주린 채 구조된 독거노인 ‘방치 논란’ 확산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68943?no=268943#0DKU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시행을 바라보며
http://www.c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227 생활지원사 조원근氏의 하루
https://www.mdon.co.kr/mobile/article.html?no=2776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신청!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12050600035 [노인돌봄 누구의 몫인가]“요양보호사 한명당 노인 다섯…누가 연차 쓰면 스무명까지”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723/102116735/1 코로나로 갈곳 잃은 노인들 “복지사들 덕분에 삶의 희망 생겨”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8766 의왕시, 31일까지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대상 적극 발굴
http://m.whosaeng.com/120505 보건복지부 2021년 예산안 90조1536억 원 편성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664646 [기획5] 2020년 노인복지 분야 예산안 분석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09.07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