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질병 및 수술에 대한 문헌고찰
Ⅱ. 본론
1. 개인력
2. 진단명 및 수술명
3. 마취방법 및 마취제
4. 수술 전 준비
• 동의서
• 체위
• 투약
• 수술부위 피부간호
5. 수술과정
•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마취간호사, 회복실간호사의 역할
• Gauze, needle count 방법
• 집도의 수술과정
6.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7. 회복실 간호내용
• 활력징후
• 의식수준
• I/O Check
• 정맥수액요법
• 산소요법
• 보온요법
Ⅲ. 참고문헌
1. 질병 및 수술에 대한 문헌고찰
Ⅱ. 본론
1. 개인력
2. 진단명 및 수술명
3. 마취방법 및 마취제
4. 수술 전 준비
• 동의서
• 체위
• 투약
• 수술부위 피부간호
5. 수술과정
•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마취간호사, 회복실간호사의 역할
• Gauze, needle count 방법
• 집도의 수술과정
6.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7. 회복실 간호내용
• 활력징후
• 의식수준
• I/O Check
• 정맥수액요법
• 산소요법
• 보온요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킨다.
- 환자와 chart를 비교 확인한다.
- 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마취 및 수술에 필요한 각종검사 결과, 혈액형, 수술동의서 유무, 활력징후의 이상 및 질병 유무, 투여했던 약물 등을 확인한다.
- 환자가 의치, 콘택트렌즈, 귀중품 등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재확인한다.
-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혈압과 맥박을 확인한다.
- 환자에게 마취 준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 정맥주입로를 확인하며 필요 시 다른 정맥주입로를 확보한다.
- 수술을 위한 적절한 자세로 수술대를 조작한다.
- 수술중 각종 monitoring(EKG, NIBP, CVP, SPO2 등)을 관찰한다.
- 마취기록지를 정확히 기록한다.
- 수혈이 필요한 경우 혈액은행에 연락한다.
- 수술 후 환자 상태에 대하여 회복실, 중환자실에 인계한다.
회복실간호사의 역할
- 마취간호사로부터 수술하는 중의 환자 상태를 인계받는다.
- 적절한 체위를 유지시키고 흥분이나 격심한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 의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기도를 유지한다.
- 산소를 공급한다.
- 환자 상태를 관찰하며 간호기록지를 작성한다.
- 환자를 따뜻하게 해주며 사지의 순환 상태와 감각, 움직임을 확인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호흡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의식이 돌아오면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 각종 배액관의 배액 상태를 확인하고 유지한다.
-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도록 하며 환의를 입혀주고 sheet나 담요를 덮어준다.
- 퇴실오더시 해당 병실, 중환자실로 전화 인계하며 환자를 이송한다.
6.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c-arm
Aluminum nasal splint
7. 회복실 간호내용
활력징후
시간
SBP
DBP
Pulse
RR
SPO2
ETCO2
BT
09:47
139
77
84
16
100
29
36.2
09:57
134
83
79
14
100
10:07
132
80
78
17
100
10:17
131
78
77
17
100
28
의식수준
PAR score
Entry time
Activity
Respiration
Circulation
Alert
SPO2
Total
30분
1
2
2
2
2
9
Discharge
2
2
2
2
2
10
I/O Check
In take
Output
Fluid
H/S
U/O
In OR
200 ml
In OR
In RR
100 ml
In RR
100 ml
Total
300 ml
Total
100 ml
정맥수액요법
H/S IV inj
산소요법
O2 mask 10L 10분간 적용후 10분간 O2 mask 5L 적용후 SPO2 100% 유지되어 O2 mask 제거
보온요법
warmming unit apply & warm pad
Ⅳ. 참고문헌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2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2008
대한민국 의학정보 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환자와 chart를 비교 확인한다.
- 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마취 및 수술에 필요한 각종검사 결과, 혈액형, 수술동의서 유무, 활력징후의 이상 및 질병 유무, 투여했던 약물 등을 확인한다.
- 환자가 의치, 콘택트렌즈, 귀중품 등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재확인한다.
-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혈압과 맥박을 확인한다.
- 환자에게 마취 준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 정맥주입로를 확인하며 필요 시 다른 정맥주입로를 확보한다.
- 수술을 위한 적절한 자세로 수술대를 조작한다.
- 수술중 각종 monitoring(EKG, NIBP, CVP, SPO2 등)을 관찰한다.
- 마취기록지를 정확히 기록한다.
- 수혈이 필요한 경우 혈액은행에 연락한다.
- 수술 후 환자 상태에 대하여 회복실, 중환자실에 인계한다.
회복실간호사의 역할
- 마취간호사로부터 수술하는 중의 환자 상태를 인계받는다.
- 적절한 체위를 유지시키고 흥분이나 격심한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 의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기도를 유지한다.
- 산소를 공급한다.
- 환자 상태를 관찰하며 간호기록지를 작성한다.
- 환자를 따뜻하게 해주며 사지의 순환 상태와 감각, 움직임을 확인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호흡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의식이 돌아오면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 각종 배액관의 배액 상태를 확인하고 유지한다.
-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도록 하며 환의를 입혀주고 sheet나 담요를 덮어준다.
- 퇴실오더시 해당 병실, 중환자실로 전화 인계하며 환자를 이송한다.
6.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c-arm
Aluminum nasal splint
7. 회복실 간호내용
활력징후
시간
SBP
DBP
Pulse
RR
SPO2
ETCO2
BT
09:47
139
77
84
16
100
29
36.2
09:57
134
83
79
14
100
10:07
132
80
78
17
100
10:17
131
78
77
17
100
28
의식수준
PAR score
Entry time
Activity
Respiration
Circulation
Alert
SPO2
Total
30분
1
2
2
2
2
9
Discharge
2
2
2
2
2
10
I/O Check
In take
Output
Fluid
H/S
U/O
In OR
200 ml
In OR
In RR
100 ml
In RR
100 ml
Total
300 ml
Total
100 ml
정맥수액요법
H/S IV inj
산소요법
O2 mask 10L 10분간 적용후 10분간 O2 mask 5L 적용후 SPO2 100% 유지되어 O2 mask 제거
보온요법
warmming unit apply & warm pad
Ⅳ. 참고문헌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2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2008
대한민국 의학정보 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