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행정론] 기획의 과정
I. 목표의 설정
II. 기관자원의 고려
III. 대안들의 열거
IV. 각 대안에 대한 결과 예측
1. 최선의 계획 결정
2. 구체적인 프로그램 수립
3. 변화에 대한 개방성 유지
* 참고문헌
I. 목표의 설정
II. 기관자원의 고려
III. 대안들의 열거
IV. 각 대안에 대한 결과 예측
1. 최선의 계획 결정
2. 구체적인 프로그램 수립
3. 변화에 대한 개방성 유지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정하여야 한다.
2. 구체적인 프로그램 수립
합의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단계별 행동이 규정되고 기록되는 청사진 혹은 도표를 만드는 것이다. 목표달성을 위한 시간표와 우선순위는 필수적인 것이다.
주기적인 진척상황의 검토와 보고 및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하여 구체적인 시간분석이 계획되어야 한다.
시간표를 작성하는 것은 청사진 및 도표를 활동성 있게 하고 계획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획안 작성 기법으로는 간트차트(Gantt Cha버)와 PERT/CPM 등이 기법이 있다. 전략적 기획안 작성에 매우 빈번하게 활용되는 기법인데 간트 차트는 간단하거나 시급한 기획을 할 때 활용되며 PERT/CPM은 대형기획이나 인력 및 자원의 사용이 복잡한 경우 주로 이용한다.
3. 변화에 대한 개방성 유지
개방성 혹은 융통성이야말로 전체 기획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원래의 계획은 상황이 변하지 않았거나 목표를 향한 보다 나은 절차가 개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실제로 수행될 때에는 종종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유능한 행정가는 그 변화가 보다 나은 발전을 가져 오거나 유용한 자원을 수반하는 경우 언제든지 계획의 변경을 지지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기본적인 기획의 단계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들은 항상 질서정연하게 순서대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때로는 뛰어넘기도 하고 서로 겹치기도 한다. 따라서 기획에 있어 개방성과 융통성은 필수적이며, 경직성은 회피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2. 구체적인 프로그램 수립
합의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단계별 행동이 규정되고 기록되는 청사진 혹은 도표를 만드는 것이다. 목표달성을 위한 시간표와 우선순위는 필수적인 것이다.
주기적인 진척상황의 검토와 보고 및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하여 구체적인 시간분석이 계획되어야 한다.
시간표를 작성하는 것은 청사진 및 도표를 활동성 있게 하고 계획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획안 작성 기법으로는 간트차트(Gantt Cha버)와 PERT/CPM 등이 기법이 있다. 전략적 기획안 작성에 매우 빈번하게 활용되는 기법인데 간트 차트는 간단하거나 시급한 기획을 할 때 활용되며 PERT/CPM은 대형기획이나 인력 및 자원의 사용이 복잡한 경우 주로 이용한다.
3. 변화에 대한 개방성 유지
개방성 혹은 융통성이야말로 전체 기획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원래의 계획은 상황이 변하지 않았거나 목표를 향한 보다 나은 절차가 개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실제로 수행될 때에는 종종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유능한 행정가는 그 변화가 보다 나은 발전을 가져 오거나 유용한 자원을 수반하는 경우 언제든지 계획의 변경을 지지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기본적인 기획의 단계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들은 항상 질서정연하게 순서대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때로는 뛰어넘기도 하고 서로 겹치기도 한다. 따라서 기획에 있어 개방성과 융통성은 필수적이며, 경직성은 회피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에서 혁신(변화)되어야 할 것들(기획의 특성과 기획과정)에 대해서 서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과정에 필요한 우선순위와 의사결정방식, 사회복...
사회복지행정조직(社會福祉行政組織)의 기획의 필요성과 과정을 나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론] 프로그램을 기획함에 있어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를 논하고 기획과정에 대...
사회복지행정론-기획의 과정에 대해 정리하고 기획의 필요성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1 사회복지행정조직에서 스키드모어의 기획의 필요성과 기획과정을 서술하시오2 기획과정 7단...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사례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의 필요성과 기획의 과정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사례
기획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사회문제를 기획해 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