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45년 광복 이후부터 1960년대 후반
2)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
2)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
본문내용
에서 각기 전일근무하면서 공식적인 학교사회사업가의 자격으로 학생복지를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이들 사회복지사는 개인상담, 집단상담은 물론, 가정방문, 지역사회와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울시 교육청의 재정지원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은 곧 미국에서 1920년대에 Commonwealth Fund가 30개 도시에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시범사업을 지원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서, 본 시범사업의 성격을 미국 학교사회사업의 발전과정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도 조속한 시일 내에 학교사회사업이 제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사회복지계와 교육계가 학교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시범사업을 전개하는 것과는 별도로 민간단체에서도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시작하였으며,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삼성복지재단은 1997년도 사회복지 프로그램 지원 사업으로 학교사회사업을 주제로 선정하여 전국 8개 종합사회복지관에 학교사회사업을 위한 재정을 지원하였으며, 이들 사회복지사에게 미국의 학교사회사업을 연구하고 이를 우리나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외연수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중반부터는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고, 학교사회사업을 제도화하기 위한 학문적 연구와 실험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97년 5월에 학교사회사업학회가 창립되었으며, 본 학회를 통하여 학교사회사업의 조속한 도입을 위한 학술대회, 연구회, 학술지 발간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따라서 이들 사회복지사는 개인상담, 집단상담은 물론, 가정방문, 지역사회와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울시 교육청의 재정지원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은 곧 미국에서 1920년대에 Commonwealth Fund가 30개 도시에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시범사업을 지원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서, 본 시범사업의 성격을 미국 학교사회사업의 발전과정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도 조속한 시일 내에 학교사회사업이 제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사회복지계와 교육계가 학교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시범사업을 전개하는 것과는 별도로 민간단체에서도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시작하였으며,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삼성복지재단은 1997년도 사회복지 프로그램 지원 사업으로 학교사회사업을 주제로 선정하여 전국 8개 종합사회복지관에 학교사회사업을 위한 재정을 지원하였으며, 이들 사회복지사에게 미국의 학교사회사업을 연구하고 이를 우리나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외연수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중반부터는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고, 학교사회사업을 제도화하기 위한 학문적 연구와 실험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97년 5월에 학교사회사업학회가 창립되었으며, 본 학회를 통하여 학교사회사업의 조속한 도입을 위한 학술대회, 연구회, 학술지 발간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