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과정
실험분석
실험결론
실험분석
실험결론
본문내용
에 대해서 멀티미터로 저항 값이나 전압 값을 측정했는데, 실제 1짜리 저항의 저항 값을 측정해 봤을 때, 0.0014~0.0044정도의 측정에 차이가 있었고, 이는 저항의 내부 밀도의 차이로 인한 차이 일 수도 있고, 공장에서 생산 시 충분히 생겨날 수 있는 오차의 정도였다. 또한, Power Supply의 출력전압 또한 10V 출력을 입력하였지만 실측정 출력전압은 10.015V로, 이는 파워 서플라이와 멀티미터의 내부저항에 의한 측정값의 차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실험 시 연결 도선에 의한 측정 전압, 전류, 저항 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구리도선 길이 3.14m 1mm의 저항 값은 1/100이하의 값을 가지므로, 실험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무시하였다.
실험 결론
2주차 실험으로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직·병렬 회로 위의 요소들의 값들을 측정하고, 측정값들을 토대로, 멀티미터의 내부저항을 구해보았다. 전압 측정 시 내부저항은 병렬로 연결하여 측정하고 그 값이 커야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류 측정 시 내부저항은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하고 그 값이 작아야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았다. 또한,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여, 건전지의 기전력과 출력전압, 내부저항을 구하고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시간이 지나면 커지고 그로인한 출력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렬 회로 위에서의 옴의 법칙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았고, V=IR 수식이 실제 측정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론
2주차 실험으로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직·병렬 회로 위의 요소들의 값들을 측정하고, 측정값들을 토대로, 멀티미터의 내부저항을 구해보았다. 전압 측정 시 내부저항은 병렬로 연결하여 측정하고 그 값이 커야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류 측정 시 내부저항은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하고 그 값이 작아야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았다. 또한,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여, 건전지의 기전력과 출력전압, 내부저항을 구하고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시간이 지나면 커지고 그로인한 출력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렬 회로 위에서의 옴의 법칙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았고, V=IR 수식이 실제 측정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