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참이슬 제품소개
2. 참이슬 시장환경분석 (Five Forces Model분석)
3. 참이슬 SWOT분석
4. 참이슬 STP분석
5. 참이슬 마케팅전략 분석
6. 참이슬 마케팅의 한계점과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1) 한계점
(2)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2. 참이슬 시장환경분석 (Five Forces Model분석)
3. 참이슬 SWOT분석
4. 참이슬 STP분석
5. 참이슬 마케팅전략 분석
6. 참이슬 마케팅의 한계점과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1) 한계점
(2)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본문내용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고, Original의 높은 시장 점유율과 다수의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통해 Fresh로 더 많은 소비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일브랜드가 사람들 인식에 오래 남는다면 향후 Fresh도 충성도 높은 고객을 다수 보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나무 숯 과제조공정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방식이다. 경쟁기업의 인공적인 제조방식과 대비하여 자사제품의 높은 기술력과 소비자에게 더 좋은 이미지로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은 자사제품의 우수성을 부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5. 참이슬 마케팅전략 분석
(1) 펀마케팅
싸이슬쇼는 싸이와 참이슬 그리고 쇼를 합친 단어로 하이트진로가 참이슬 모델 싸이와 함께 한 펀(Fun)마케팅이다. \"웃겨야 뜬다\"라는 말처럼 펀 마케팅이란 재미있는 마케팅을 펼쳐 고객을 모으고 매출을 향상시키는 마케팅 기법이다. 제품의 상품성이 부각되기 보다는 광고에 재미와 흥미 요소를 더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데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싸이슬쇼도 모델이 참이슬을 들고 참이슬을 마시라며 직접적으로 홍보하기 보다는 평소 애주가로 알려진 싸이라는 모델이 웃기고 재미있고 특이한 본인만의 참이슬 음용 노하우와 독창적인 음주샷을 소개해주는 것을 보고 소비자들이 웃으면서 거부감 없이 참이슬이라는 브랜드에 노출이 된다. 또한 웃음을 통한 마케팅이다 보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도 자연스럽게 호의적으로 느끼게 될 것이다.
(2) 스타활용광고
소주광고에 청순한 이미지의 미녀 모델이 등장한 것은 99년 5월 진로가 ‘참이슬’ 모델로 이영애를 기용해 모델 전략 차별화를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당시 ‘참이슬’이 이영애를 기용하자 두산은 ‘그린소주’ 모델로 김혜수를 내세웠다. 이후 ‘참이슬’ 모델은 황수정, 박주미, 김정은, 성유리, 김태희 등이 대를 이었다. 두산은 ‘그린소주’에 이어 ‘산소주’를 내놓으며 남성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최민수, 유오성, 장동건 등 남성 모델을 기용했다가 2004년 손예진을 모델로 하며 다시 여성모델로 돌아갔다. 알콜 도수가 높은 소주광고에 청순한 여성 모델을 쓰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광고대행사 오리콤의 안승준 차장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여성 모델은 소주가 독한 술이라는 이미지를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최근 여성 음주인구가 늘고 있는데다 대중에게 인기 있는 여성 모델을 통해 남녀 모두에게 친화력과 호감도를 높인다\"고 밝혔다. 소주광고는 특히 포스터를 통해 효과를 발휘한다. 알콜 도수 17도 이상의 술은 지상파TV에 광고를 내보낼 수 없어 소주광고는 지면광고 및 극장광고를 통해 대중과 만나게 된다. 소비자가 소주를 마시는 소비현장인 술집에 걸리는 포스터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한다. 이 때문에 여성 모델들의 손에 술잔이 들려있기 마련이다. 아름다운 여성모델이 함께 술을 한잔 할 것같은 고혹적인 자태로 술을 권하는 것을 연상시키는 것이다.
6. 참이슬 마케팅의 한계점과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1) 한계점
주 소비층인 20대를 타겟팅한 마케팅 전략이 아직 많이 부족하고 또한,음주와 관련된 여러 사건 사고가 매번 일어남에 따라 음주에 대한 사회전체의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마케팅에 있어서 한계가 뒤따른다.
(2)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첫 번째
처음처럼은 20대 소비자층을 겨냥 함에 따라 저세대 층에서 선도주자기업이 되었다. 이에 따라 참이슬은 여러 가지 방안으로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마케팅 믹스중 촉진활동에만 중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참이슬MT,하이팅 청춘 이 그 예이다. 하지만 후발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을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는 촉진활동 말고도 제품의 차별화와 품질을 올리는 방법이다. 또한 소주시장은 지금 성숙기에 들어섰기 때문에 비가격경쟁을 하고있다. 이에 따라 처음처럼과 제조방법이 다른 참이슬은 상표재활성화와 제품차별화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올리는 마케팅을 해야 한다.
두 번째
제품의 주 소비층인 20대 대학생들을 타겟팅한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좀더 20대 소비자들을 끌어 들이고자 대학 축제 후원 또는 소주 뚜껑안에 당첨 번호 같은 것을 새겨넣어 당첨되면 한병을 더 주는 것과 같은 당첨 이벤트를 해 보는 것도 좋은 마케팅이 될 것 같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음주에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벗기위해 참이슬 홈페이지에 참이슬과 관련된 소비자들의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올리는 게시판등을 개설하여 베스트로 뽑히는 고객에서 상품을 증정하는 식의 방법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나무 숯 과제조공정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방식이다. 경쟁기업의 인공적인 제조방식과 대비하여 자사제품의 높은 기술력과 소비자에게 더 좋은 이미지로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은 자사제품의 우수성을 부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5. 참이슬 마케팅전략 분석
(1) 펀마케팅
싸이슬쇼는 싸이와 참이슬 그리고 쇼를 합친 단어로 하이트진로가 참이슬 모델 싸이와 함께 한 펀(Fun)마케팅이다. \"웃겨야 뜬다\"라는 말처럼 펀 마케팅이란 재미있는 마케팅을 펼쳐 고객을 모으고 매출을 향상시키는 마케팅 기법이다. 제품의 상품성이 부각되기 보다는 광고에 재미와 흥미 요소를 더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데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싸이슬쇼도 모델이 참이슬을 들고 참이슬을 마시라며 직접적으로 홍보하기 보다는 평소 애주가로 알려진 싸이라는 모델이 웃기고 재미있고 특이한 본인만의 참이슬 음용 노하우와 독창적인 음주샷을 소개해주는 것을 보고 소비자들이 웃으면서 거부감 없이 참이슬이라는 브랜드에 노출이 된다. 또한 웃음을 통한 마케팅이다 보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도 자연스럽게 호의적으로 느끼게 될 것이다.
(2) 스타활용광고
소주광고에 청순한 이미지의 미녀 모델이 등장한 것은 99년 5월 진로가 ‘참이슬’ 모델로 이영애를 기용해 모델 전략 차별화를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당시 ‘참이슬’이 이영애를 기용하자 두산은 ‘그린소주’ 모델로 김혜수를 내세웠다. 이후 ‘참이슬’ 모델은 황수정, 박주미, 김정은, 성유리, 김태희 등이 대를 이었다. 두산은 ‘그린소주’에 이어 ‘산소주’를 내놓으며 남성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최민수, 유오성, 장동건 등 남성 모델을 기용했다가 2004년 손예진을 모델로 하며 다시 여성모델로 돌아갔다. 알콜 도수가 높은 소주광고에 청순한 여성 모델을 쓰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광고대행사 오리콤의 안승준 차장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여성 모델은 소주가 독한 술이라는 이미지를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최근 여성 음주인구가 늘고 있는데다 대중에게 인기 있는 여성 모델을 통해 남녀 모두에게 친화력과 호감도를 높인다\"고 밝혔다. 소주광고는 특히 포스터를 통해 효과를 발휘한다. 알콜 도수 17도 이상의 술은 지상파TV에 광고를 내보낼 수 없어 소주광고는 지면광고 및 극장광고를 통해 대중과 만나게 된다. 소비자가 소주를 마시는 소비현장인 술집에 걸리는 포스터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한다. 이 때문에 여성 모델들의 손에 술잔이 들려있기 마련이다. 아름다운 여성모델이 함께 술을 한잔 할 것같은 고혹적인 자태로 술을 권하는 것을 연상시키는 것이다.
6. 참이슬 마케팅의 한계점과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1) 한계점
주 소비층인 20대를 타겟팅한 마케팅 전략이 아직 많이 부족하고 또한,음주와 관련된 여러 사건 사고가 매번 일어남에 따라 음주에 대한 사회전체의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마케팅에 있어서 한계가 뒤따른다.
(2)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첫 번째
처음처럼은 20대 소비자층을 겨냥 함에 따라 저세대 층에서 선도주자기업이 되었다. 이에 따라 참이슬은 여러 가지 방안으로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마케팅 믹스중 촉진활동에만 중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참이슬MT,하이팅 청춘 이 그 예이다. 하지만 후발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을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는 촉진활동 말고도 제품의 차별화와 품질을 올리는 방법이다. 또한 소주시장은 지금 성숙기에 들어섰기 때문에 비가격경쟁을 하고있다. 이에 따라 처음처럼과 제조방법이 다른 참이슬은 상표재활성화와 제품차별화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올리는 마케팅을 해야 한다.
두 번째
제품의 주 소비층인 20대 대학생들을 타겟팅한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좀더 20대 소비자들을 끌어 들이고자 대학 축제 후원 또는 소주 뚜껑안에 당첨 번호 같은 것을 새겨넣어 당첨되면 한병을 더 주는 것과 같은 당첨 이벤트를 해 보는 것도 좋은 마케팅이 될 것 같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음주에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벗기위해 참이슬 홈페이지에 참이슬과 관련된 소비자들의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올리는 게시판등을 개설하여 베스트로 뽑히는 고객에서 상품을 증정하는 식의 방법이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Hite의 맥주시장 마케팅
진로소주의 국제화와 향후 비전
처음처럼 마케팅 사례분석및 전략제안
처음처럼 시장점유율 확대위한 마케팅전략 제안과 처음처럼 마케팅 사례분석및 향후과제 (브...
참이슬 제품분석과 SWOT분석및 참이슬 마케팅 4P,STP, 커뮤니케이션전략연구와 참이슬 미래전...
처음처럼 제품분석과 브랜드분석 & 처음처럼 마케팅전략과 SWOT분석 & 처음처럼 광고...
[ 참이슬 마케팅사례 PPT ] 참이슬 제품분석과 마케팅(SWOT,STP,4P)분석및 참이슬 문제점분석...
[A+] 처음처럼 브랜드현황분석, 처음처럼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 처음처럼 미래전략제안
참이슬 인기비결과 경영전략과 마케팅분석및 참이슬 향후방향연구 - 참이슬 전략분석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