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화조사의 표본추출
I. 적절한 표본추출설계의 선택
1. 조사의 목적
1) 모집단 특성에 대한 측정
2) 변수들 관계추정
3) 평가조사
2. 추출되어야 할 대상
3. 누락된 대상의 처리
4. 자원의 한계
II. 전화번호부 추출
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2. 체계적 표본추출
3. 숫자추가 표본추출
III. 무작위 전화추출
* 참고문헌
I. 적절한 표본추출설계의 선택
1. 조사의 목적
1) 모집단 특성에 대한 측정
2) 변수들 관계추정
3) 평가조사
2. 추출되어야 할 대상
3. 누락된 대상의 처리
4. 자원의 한계
II. 전화번호부 추출
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2. 체계적 표본추출
3. 숫자추가 표본추출
III. 무작위 전화추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등 모든 표본집단 내의 번호들이 추가되는 숫자 \'3\'에 의해서 이처럼 변화된다.
이와 같은 숫자추가 표본추출 방법은 단순무작위 추출이나 체계적 추출에 의해서 추출될 수 없는 전화번호부에 누락된 미발행 전화번호(unpublished numbers)나 미등재 전화번호(unlisted numbers)들 까지도 포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숫자추가 표본추출에 의해서 전화부에 누락된 모든 전화번호들이 표본집단에 상당히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그렇다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전화번호부로부터 직접표본을 추출하지 않고 무작위 표본추출을 하는 무작위 전화추출(random digit dialing)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검토하기로 하겠다.
III. 무작위 전화추출(random-digit dialing : RDD)
무작위 전화추출은 표본을 전화번호부로부터 직접 추출하지 않고, 전화국에 의뢰하거나 전화번호부에 의해서 추출대상 지역에 적합한 국번호(preflxes)를 먼저 선택한 후 지역번호(surfixes)는 무작위 추출에 의해서 선정하는 방법이다.
이 추출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작위 추출과 층화추출이 혼합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특히 지역에 맞는 국번호를 선정함에 있어서 모집단 비율에 알맞게 지역숫자를 할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무작위 전화추출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가 오래된데서 발생하는 문제와 전화번호부 자체의 불완전성, 부정확성 등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된 추출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무작위 전화추출은 미발행 전화와 미등재 전화 등 전호번호부에 누락된 전화들에 의해서 발생하는 편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정을 가진다.
무작위 전화추출이 지니는 치명적인 약점은 비효율성 또는 비경제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전국의 전화대수는 100억 대 인데 이 가운데 비상가 주택전화(residental phones)는 20%에 불과하다(James H. Fray, 1989, P. 96). 따라서 불통전화 이외에도 상가전화(business phones)를 추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곧 엄청난 비효율성과 비경제성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이와 같은 숫자추가 표본추출 방법은 단순무작위 추출이나 체계적 추출에 의해서 추출될 수 없는 전화번호부에 누락된 미발행 전화번호(unpublished numbers)나 미등재 전화번호(unlisted numbers)들 까지도 포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숫자추가 표본추출에 의해서 전화부에 누락된 모든 전화번호들이 표본집단에 상당히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그렇다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전화번호부로부터 직접표본을 추출하지 않고 무작위 표본추출을 하는 무작위 전화추출(random digit dialing)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검토하기로 하겠다.
III. 무작위 전화추출(random-digit dialing : RDD)
무작위 전화추출은 표본을 전화번호부로부터 직접 추출하지 않고, 전화국에 의뢰하거나 전화번호부에 의해서 추출대상 지역에 적합한 국번호(preflxes)를 먼저 선택한 후 지역번호(surfixes)는 무작위 추출에 의해서 선정하는 방법이다.
이 추출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작위 추출과 층화추출이 혼합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특히 지역에 맞는 국번호를 선정함에 있어서 모집단 비율에 알맞게 지역숫자를 할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무작위 전화추출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가 오래된데서 발생하는 문제와 전화번호부 자체의 불완전성, 부정확성 등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된 추출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무작위 전화추출은 미발행 전화와 미등재 전화 등 전호번호부에 누락된 전화들에 의해서 발생하는 편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정을 가진다.
무작위 전화추출이 지니는 치명적인 약점은 비효율성 또는 비경제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전국의 전화대수는 100억 대 인데 이 가운데 비상가 주택전화(residental phones)는 20%에 불과하다(James H. Fray, 1989, P. 96). 따라서 불통전화 이외에도 상가전화(business phones)를 추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곧 엄청난 비효율성과 비경제성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