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교육사회학3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1.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2.II 부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6~11장)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학교에서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3.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0 교육사회학3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1.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2.II 부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6~11장)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학교에서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3.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1) 갈등이론
    2) 갈등이론을 편 학자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과 이유
  2. II 부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6~11장)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학교에서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1) 제8장 입시제도와 선발방식 (성장식 교육으로의 전환)
    2) 제9장 한국의 교육열과 학벌사회 (참된 교육과 사랑)
    3) 친사회적인 교육
  3.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육 상황에서 성인들 간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적 혁신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1)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변화의 양상
    2) 평생교육 상황에서 성인들간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적 혁신 방안
       ① 청년층 창업 지원
       ② 원격교육의 교육불평등과 질 해소
       ③ 실업자 및 자영업자 재활 교육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 소득 재분배와 노동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말이다. 실재 기성세대와 자영업자 대부분은 한 업종에서 오랫동안 일을 한 경우가 많다. 평생교육 상황에서 이들은 일을 하면서 제대로 된 교육을 이어올 기회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다른 직종, 직장에 취업하기가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맞춤형 재활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자영업을 오래 한 사람들에게는 마케팅, 영업과 같은 사람을 대하는 업종에 관한 교육을 한다든지, 제조업에 근무한 사람은 동종 제조업에 대한 직무교육을 시행하여 재취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Ⅲ. 결 론
갈등이론에서 가치와 개념은 서로 다른 계급들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로 인식하며 사회계급을 사회 분석의 기본 단위로 본다. 이러한 개념적 틀을 중심으로 학교의 팽창 원인을 자본가 집단을 위하여 프롤레타리아의 대량 생산을 위한 목적에 두고 있으며 학교 및 교육은 자본가를 위한 이데올로기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으로 본다. 그리하여 학교와 교육의 기능은 불공정하며 자본가에게 더욱더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이처럼 갈등이론은 작금의 우리사회의 교육불평등 현상과 교육을 통한 공정한 기회의 재분배가 얼마나 부적절한지를 잘 설명해 준다.
한때 본인이 어릴 때 학교에서는 교과서 아닌 ‘고전’ 읽기가 강요된 적이 있었다. 경시대회를 통해 책 읽기를 경쟁시킨 이 제도는 학교끼리, 지역끼리 저마다의 명예를 걸고서 기억력 좋은 아이들을 선발하여 수업을 제쳐둔 채 지정된 몇몇 책을 달달 외우게 하여 달마다 시험을 치르게 했다. 이런 제도에서 학생들은 삶을 이해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지식으로 머리통만 땡글 해져 실제 필요한 삶의 지식과 멀어지게 되었다. 과거 본인도 지리 교과서에 나오는 ‘브라질의 사탕수수 농장’에 대해 읽고 외우느라 정작 학교 옆 비닐하우스에서는 무엇이 어떻게 재배되었는지조차 모른 채 학교를 오갔다. 그렇듯이 세계의 고전을 읽은 우리는 햄릿이라는 멋진 이름을 가진 사람이 무슨 문제로 죽느냐 사느냐 그러고 고민을 했는지는 알아도, 며칠 전에 농약을 마시고 죽어버린 이웃 동네 아저씨가 왜 그랬는지는 별 관심이 없었다. 이런 교과를 강조하는 학교가 학생들을 과연 행복하게 해 줄 수 있을까. 따라서 이제는 진정한 교육사회학적 성찰을 통해 한국의 학생이 어떻게 하면 학교에서 행복해질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해 보면서 바람직한 변화를 위한 실천을 할 때가 되었다.
본문에서 소개했듯이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코로나 19의 위협은 의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기업 등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우리의 사회와 일상을 바꾸고 있다. 점차 변화하는 우리의 일상은 당연히 우리가 누리는 많은 것들을 포기하게 만들면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불평등을 양산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한 분야에서 기술과 지식이 쌓이면 취업과 일자리를 구하는 것은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는 이마저도 어렵게 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 비대면, 언택트라는 환경에서 우리사회 구성원들이 적응할 수 있는 생태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교육의 혁신이 얼마나 시급한지 과제물을 작성하면서 피부로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Ⅳ. 참고 문헌
1. 허은주(2018),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2. 성기선ㆍ유성상ㆍ이해주(2014), 교육사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3. 보리편집부(1997), 작은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http://ncov.mohw.go.kr.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10.06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7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