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본 론
1.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1) 상황모형의 리더십 유형
2) 상황모형의 구성원 성숙도
3)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에 따른 리더십 적용
(2) 간호지도자가 지원해야 하는 간호 구성원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조건
(3)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 특성 및 구성원의 성숙도
1)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의 성숙도 조사
2)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 성숙도 분석
2.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
(1)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2)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의 리더십
(3)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을 통한 구성원의 성숙도 분석
3. (1)과 (2)에서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그리고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하시오.
(1) 문제에 따라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2)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 미성숙-성숙 이론에 의해 결정된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Ⅲ.결 론
Ⅳ.참고문헌
Ⅱ.본 론
1.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1) 상황모형의 리더십 유형
2) 상황모형의 구성원 성숙도
3)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에 따른 리더십 적용
(2) 간호지도자가 지원해야 하는 간호 구성원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조건
(3)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 특성 및 구성원의 성숙도
1)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의 성숙도 조사
2) 자신이 속한 부서 구성원 성숙도 분석
2.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
(1)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2)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의 리더십
(3)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을 통한 구성원의 성숙도 분석
3. (1)과 (2)에서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그리고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하시오.
(1) 문제에 따라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2)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 미성숙-성숙 이론에 의해 결정된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Ⅲ.결 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그리고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하시오.
(1) 문제에 따라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서 본인의 구성원 성숙도는 R4-업무 스킬이 높음
책임감이 높고 자발적인 의사능력을 지닌 구성원이 가장 많은 6명이었고, R3-책임을 맡을 능력이 있지만 자발적인 의지가 낮은 단계로 볼 수 있는 구성원이 3명이었다. 그리고 R3-간호 의지나 자발성은 높은 단계로 볼 수 있지만 업무 스킬이 낮은 구성원이 3명이었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을 통해 위의 결과를 기반으로 지도자 행동스타일을 구성해 보면 가장 많은 구성원이 속한 R4 수준의 구성원 성숙도를 위해 낮은 과업행동과 낮은 관계성 행동을 가지는 지도자 행동스타일이 요구된다. 그리고 R4에 해당되는 구성원에게 적합하게 능력을 가진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모든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타 구성원의 성숙도를 고려해 지도자 행동스타일을 적용할 개인이나 조직의 성숙도 수준에 대해 파악해야 하고 선택한 리더십 유형이 적용할 개인이나 조직에 적합한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함께 R3수준의 구성원의 성숙수준을 고려해 S3단계의 참여형 리더십 스타일도 적용시켜 나가는 필요하다고 본다. 더불어 R2 수준의 간호구성원 성숙수준을 고려해 S2 설득형 리더십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한 가지 리더십이 아니라 R4, R3, R2 단계의 구성원을 모두 이끌어 갈 수 있는 케이스에 맞는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보여야할 것이다.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의한 분석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다. 성숙단계의 9명의 구성원과 3명의 미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민주적 조직운영을 장려하고 미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약간의 권위주의적 관리방식을 채택하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보았을 때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을 통해 추천할 수 있는 지도자 행동 스타일은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모든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과 관리형과 같이 구성원에게 설명하고 리더의 결정에 동조하여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을 조합한 리더십 방식이 좋을 것이다.
(2)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 미성숙-성숙 이론에 의해 결정된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위의 결과에 따라 본인이 속한 조직의 지도자 행동스타일은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과 관리형 리더십을 펼쳐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현재 필자가 속한 조직의 리더는 업무의 지시를 내리는 과정은 위임형 리더십 스타일과 같으나 종종 구성원에게 일방적인 지시를 하며 밀착된 관리, 감독을 하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어떻게 보면 현재 간호 지도자가 조직에 맞는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현재 구성원 특성과는 잘 맞지 않는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서 제시하는 지도자 행동스타일과 비교해 보았을 때 현재 간호 지도자는 구성원의 성숙도 수준을 고려해 능력을 가진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생산과 인간과계 유지에 모두 적당한 관심을 가지는 리더십을 펼쳐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미성숙 구성원에게는 높은 과업행동과 높은 관계성행동을 취할 수 있는 리더십 방식을 가지면 좋다고 생각한다.
Ⅲ.결 론
간호지도자론 논제를 통해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병동 또는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근거하여 진단하였다. 그리고 본인이 속한 조직의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여 나타냈다. 더불어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고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하여 정리했다. 간호는 일선에서 간호를 제공하는 일반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와 직무만족과 상관관계가 있고, 일반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와 직무만족은 간호 관리자들의 리더십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간호단위의 일차적인 관리자인 간호 지도자는 임상간호기능과 관리기능을 같이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진 리더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허시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으로 보았을 때 최근 사회와 병원경영환경의 변화로 간호 지도자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며 조직구성원을 이끄는 역할도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변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Ⅳ.참고문헌
이상미 외(2016).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김준엽(2019). 간호조직 구성과 지도자 행동스타일. 수지출판연구
스티븐 로빈스 외(2013), 조직행동론, Pearson.
박계홍(2014), 조직행동론, 형성출판사
백춘현, 리더쉽 상황이론에 관한 연구, 허시와 블랜차드 이론을 중심으로, 1987 p36
Blake, R.; Mouton, J. (1964). The Managerial Grid: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Gulf Publishing Co.
Blake, R.; Mouton, J. (1985). The Managerial Grid III: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Gulf Publishing Co.
이소우. 간호직과 스트레스. 대한간호 23(2) : 25-29, 1984
박민이. 임상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홍은미.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준과 조직행위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이명보, 기독교교육행정에서 본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McKee, R.; Carlson, B. (1999). The Power to Change. Austin, Texas: Grid International Inc.
(1) 문제에 따라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시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서 본인의 구성원 성숙도는 R4-업무 스킬이 높음
책임감이 높고 자발적인 의사능력을 지닌 구성원이 가장 많은 6명이었고, R3-책임을 맡을 능력이 있지만 자발적인 의지가 낮은 단계로 볼 수 있는 구성원이 3명이었다. 그리고 R3-간호 의지나 자발성은 높은 단계로 볼 수 있지만 업무 스킬이 낮은 구성원이 3명이었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을 통해 위의 결과를 기반으로 지도자 행동스타일을 구성해 보면 가장 많은 구성원이 속한 R4 수준의 구성원 성숙도를 위해 낮은 과업행동과 낮은 관계성 행동을 가지는 지도자 행동스타일이 요구된다. 그리고 R4에 해당되는 구성원에게 적합하게 능력을 가진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모든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타 구성원의 성숙도를 고려해 지도자 행동스타일을 적용할 개인이나 조직의 성숙도 수준에 대해 파악해야 하고 선택한 리더십 유형이 적용할 개인이나 조직에 적합한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함께 R3수준의 구성원의 성숙수준을 고려해 S3단계의 참여형 리더십 스타일도 적용시켜 나가는 필요하다고 본다. 더불어 R2 수준의 간호구성원 성숙수준을 고려해 S2 설득형 리더십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한 가지 리더십이 아니라 R4, R3, R2 단계의 구성원을 모두 이끌어 갈 수 있는 케이스에 맞는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보여야할 것이다.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의한 분석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다. 성숙단계의 9명의 구성원과 3명의 미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민주적 조직운영을 장려하고 미성숙단계의 구성원을 위해 약간의 권위주의적 관리방식을 채택하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보았을 때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을 통해 추천할 수 있는 지도자 행동 스타일은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모든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과 관리형과 같이 구성원에게 설명하고 리더의 결정에 동조하여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을 조합한 리더십 방식이 좋을 것이다.
(2)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 미성숙-성숙 이론에 의해 결정된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위의 결과에 따라 본인이 속한 조직의 지도자 행동스타일은 의사결정의 책임을 수행자에게 위임하는 방식과 관리형 리더십을 펼쳐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현재 필자가 속한 조직의 리더는 업무의 지시를 내리는 과정은 위임형 리더십 스타일과 같으나 종종 구성원에게 일방적인 지시를 하며 밀착된 관리, 감독을 하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어떻게 보면 현재 간호 지도자가 조직에 맞는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현재 구성원 특성과는 잘 맞지 않는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과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서 제시하는 지도자 행동스타일과 비교해 보았을 때 현재 간호 지도자는 구성원의 성숙도 수준을 고려해 능력을 가진 구성원에게 조언자 정도의 역할만 하며 생산과 인간과계 유지에 모두 적당한 관심을 가지는 리더십을 펼쳐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미성숙 구성원에게는 높은 과업행동과 높은 관계성행동을 취할 수 있는 리더십 방식을 가지면 좋다고 생각한다.
Ⅲ.결 론
간호지도자론 논제를 통해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병동 또는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에 근거하여 진단하였다. 그리고 본인이 속한 조직의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여 나타냈다. 더불어 도출된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그 집단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하고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하여 정리했다. 간호는 일선에서 간호를 제공하는 일반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와 직무만족과 상관관계가 있고, 일반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와 직무만족은 간호 관리자들의 리더십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간호단위의 일차적인 관리자인 간호 지도자는 임상간호기능과 관리기능을 같이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진 리더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허시 블랜차드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으로 보았을 때 최근 사회와 병원경영환경의 변화로 간호 지도자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며 조직구성원을 이끄는 역할도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변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Ⅳ.참고문헌
이상미 외(2016).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김준엽(2019). 간호조직 구성과 지도자 행동스타일. 수지출판연구
스티븐 로빈스 외(2013), 조직행동론, Pearson.
박계홍(2014), 조직행동론, 형성출판사
백춘현, 리더쉽 상황이론에 관한 연구, 허시와 블랜차드 이론을 중심으로, 1987 p36
Blake, R.; Mouton, J. (1964). The Managerial Grid: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Gulf Publishing Co.
Blake, R.; Mouton, J. (1985). The Managerial Grid III: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Gulf Publishing Co.
이소우. 간호직과 스트레스. 대한간호 23(2) : 25-29, 1984
박민이. 임상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홍은미.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준과 조직행위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이명보, 기독교교육행정에서 본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McKee, R.; Carlson, B. (1999). The Power to Change. Austin, Texas: Grid International Inc.
키워드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간호지도자론]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 미성숙이론,간호지...
간호지도자론 2020년 2학기-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 미성숙이론-자신이 ...
간호지도자론 2020년 방송대]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2) 아지리스의 성숙 미성숙이론...
2020 간호지도자론]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자신이 속해 있...
간호지도자론 1)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구성원성숙도 2)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구성...
2020년 방송대 간호지도자론]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간호지...
간호지도자론 2020)허시와 블랜차드 상황모형,아지리스의 성숙 미성숙이론,간호지도자론 자신...
간호지도자론-1)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구성원 성숙도 2)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구...
간호지도자론] 1) 허시블랜차드상황모형 2) 아지리스성숙미성숙이론 3) 적절한 지도자 행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