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이론적 특징과 치료목표 및 치료기법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이론적 특징과 치료목표 및 치료기법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이론적 특징
2. 가족치료의 치료개입을 위한 치료목표
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기법과 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을 알 수 있을까요?”
4) 척도 질문(Scaling Question)
척도질문은 숫자의 마력을 이용하여 내담자에게 자신의 문제, 문제의 우선순위, 성공에 대한 태도, 정서적 친밀도, 자존감, 치료에 대한 확신, 변화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노력, 진행에 관한 평가 등의 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척도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내담자의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를 보다 정확하게 알아 볼 수 있으며 내담자의 변화 과정을 격려하고 강화해 주는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첫 면담에서는 면담 전 변화 상태나 동기에 대한 파악을 한다.
(예) 문제해결에 관한 전망에 관련된 척도질문
“1점부터 10점까지의 척도에서 10점은 문제가 다 해결되었다고 확신하는 것을 말하고, 1점은 문제가
가장 심각할 때를 말한다. 오늘은 몇 점에 해당하는가?”
(예) 동기에 관련된 척도질문
“남편은 당신이 어느(몇 점) 정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할까?”
“남편은 당신이 1점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말할까?”
5) 대처(극복) 질문(Conquer Question)
이 질문은 자신의 미래를 매우 절망적으로 보아 아무런 희망이 없다고 하는 내담자에게 주로 사용한다. 대처 방안에 관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내담자의 신념 체계와 무력감에 대항해보는 동시에 내담자에게 약간의 성공을 느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심어 주고자 하는 것은 내담자 자신이 바로 대처 방안의 기술을 가졌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예) “당신을 지금까지 유지하도록 한 것이 무엇입니까?”
“계속 술을 마시는 것이 어떻게 도움이 되십니까?”
6) 관계성 질문(Relationship Question)
(예) 당신이 그렇게 웃으면 남편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부부사이가 좋아지면 얘들이 어떻게 반응할까요?
Ⅲ. 결론
지금까지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이론적 특징과 가족치료의 치료개입을 위한 치료목표를 살펴보고,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기법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족치료의 모델에서 나타나는 관점을 요약해 보면 내담자의 문제해결 능력을 인정하고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해결방안 모색에 있어서 특징으로는 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이며, 내담자들이 저항하는 것을 치료자의 해석이나 개입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므로, 내담자의 저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결중심에서 치료자의 역할은 내담자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해결방안을 생각해 내도록 돕는 역할이라고 설명할 수 있으며,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강조하고 치료에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참고문헌]
권육상 외(2003). 최신가족복지론. 유풍출판사.
김유숙(2003).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김혜경(2019). 가족복지론. 공동체
박희숙(2020). 가족복지론 - 가족복지 실천에서의 이론 및 기술. 지식공동체.
이윤정(2019). 가족복지론. 공동체
최정숙(2020). 가족복지론. 학지사
홍봉수(2020). 가족복지론. 공동체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10.12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7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