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개론 2020 기말] 1. 아래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탈상품화와 계층화,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라는 말의 의미, 국민의 집. 국민연금을 다단계 피라미드라고 주장하는 논리, 기회의 평등과 조건의 평등, 한국의 자본주의가 예외적인 이유,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의 의미, 정치의 삼각형 2. 사회복지학개론을 수강하면서 인상적인 장면을 세 가지 서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학개론 2020 기말] 1. 아래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탈상품화와 계층화,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라는 말의 의미, 국민의 집. 국민연금을 다단계 피라미드라고 주장하는 논리, 기회의 평등과 조건의 평등, 한국의 자본주의가 예외적인 이유,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의 의미, 정치의 삼각형 2. 사회복지학개론을 수강하면서 인상적인 장면을 세 가지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래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40점)
1) 탈상품화와 계층화
2)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라는 말의 의미
3) 국민의 집
4) ‘국민연금을 다단계 피라미드’라고 주장하는 논리
5) 기회의 평등과 조건의 평등
6) 한국의 자본주의가 예외적인 이유
7)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의 의미
8) 정치의 삼각형

2. 사회복지학개론을 수강하면서 인상적인 장면을 세 가지를 서술하시오. (30점)
1) 인상적인 장면
2) 이것이 인상적인 이유

3. 참고자료

본문내용

스에 장애인이 타려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스코틀랜드 장애인은 그렇지 않았다. 만약 스코틀랜드 장애인이 우리나라에서 버스를 탄다면 “뭐 이런 버스가 다 있어?”이런 항의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예로서 국가의 사회 환경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질문과 예를 보면서 사회복지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2) 8강(제8장 사회복지의 구조)이 인상적인 이유
사회복지의 할당에서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를 배웠다. 보편주의는 누구나 할당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선별주의는 요건에 맞는 대상자를 엄선한다.
이러한 두 가지 할당의 쟁점을 보면 보편주의 접근은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생긴다. 또한 복지병에 걸려 의존증이 심하게 될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이에 비해 선별주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복지 혜택을 줌으로써 비용 대비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보편주의에 비해 혜택 받는 사람이 적고, 사회적 낙인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번 코로나19의 경우도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가 동시에 존재했다. 정부에서 전 국민들에게 1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했고, 전 국민이 혜택을 받는 보편적 복지의 예이다. 그리고 현재 2차 긴급재난지원금은 저소득층, 특수고용직종사자, 매출감소 자영업자 등에게 선별적으로 지급하였다.
이처럼 이 강의를 듣고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고, 두 가지 복지의 장단점에 관하여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3) 14강(제14장 사회복지사: 사회적 위험에 맞서는 사람들)
14강을 공부하면서 우리나라 사회복지관과 사회복지사의 힘든 실태를 볼 수 있었다.
현재 사회복지관은 너무 열악하다. 사회복지관은 정부의 통치를 받는 전달자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어서 잔여주의 복지를 이행하는데 전력을 다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사회복지관은 일회성, 단기적 사업, 대상은 노인, 장애인, 청소년 중심일 수밖에 없고, 예방보다는 사후적인 대응일 수밖에 없었다.
사회복지사는 저임금을 받으면서 장시간 힘들게 일하는 사람들이었다. 사회복지사는 다른 어려운 사람들에게 봉사를 하는 착한 사람이지만 좋은 대우는 못 받는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이를 보면서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사가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장시간의 노동에 시달리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사는 우편배달부나 전달자 역할에 머물러 있는데, 이것은 잔여적 복지 때문이라고 한다. 사회복지사는 노동자로 인식도 못하고 노조도 없다는 현실은 슬펐다. 14강을 공부하면서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꼈다. 사회복지사는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의 문제로 인해 사회복지종사자의 전문성 저하와 인력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고,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은 선별적 복지가 아닌 제도적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의 인프라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참고자료
유범상,김종해,여유진(2017)「사회복지개론」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유범상(2017)「사회복지개론 워크북」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성원,김우하(2013)「머니쇼, 머니쇼를 만나다」북씽크
김인춘(2014)「북유럽 국가들의 복지재정 제도 연구」한국지방세연구원
문병기,유범상(2012)「사회복지정책론」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G. 에스핑앤더슨 저, 박시종 역(2007)「복지 자본주의의 세가지 세계」성균관대학교출판부
“촘스키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신자유주의 허상 비판”, 중앙일보, 1999.07.22.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10.19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8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