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건축을 무엇으로 생각하는가?
2. 본론- 정선과 빌바오
1) 사회적 측면
2) 지역적 측면
3) 상징적 측면
4) 도시적 측면
3. 결론- Ut pitura Architettura
2. 본론- 정선과 빌바오
1) 사회적 측면
2) 지역적 측면
3) 상징적 측면
4) 도시적 측면
3. 결론- Ut pitura Architettura
본문내용
에서 걸작이 나오지 못하는 것일까? 라는 건축기술 건축문화선진화 토론을 본적이 있다. 그 내용에는 우리나라 건축은 장인정신, professionalism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국가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건축제도, 교육 공무원 건축가 건축주의 모든 부분에서 큰 문제가 들어나고 있었다. 우리도시는 왜 어지럽고 조화롭지 못할까? 왜 우리도시는 별로 한국답지 않을까? 마치 국적불명의 도시 같다고 말하고 있다. 그 원인은 6.25 이후 우선 먹고 사는 문제보다는 비바람을 막는 쉼터 역할로 집을 막 짓는 것이라는 마인드가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는 건축에서 문화와 디자인을 요구하지 않았다. 단지 돈을 투자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부동산이나 인테리어의 관점에서 바라보지, 문화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 여유를 가지지 못하였다.
건축물 하나가 도시의 이미지를 바꾼다. 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지만, 어떻게 보면 이러한 생각은 많은 위험요소를 품고 있다. 건축은 건축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의 건축물과의 관계성, 맥락화 되어야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혼자 살아갈 수 있는가? 건축도 마찬가지이다. 빌바오가 성공할 수 있는 큰 이유는 구겐하임이라는 미술관뿐만 아니라 그 도시를 살리고자하는 그 지역 사람들이 바탕이 된 것이다. 많은 나라들이 빌바오의 성공적인 사례를 본받아 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 중이다. 현재 우리 광주에도 아시아 문화전당이 건립되고 있다. 좋은 파장적 확산을 가져올지 또 하나의 실패작을 탄생 시킬 것인지는 알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빠른 성장에 의한 우리 도시는 헐떡이고 있다. 이러한 곳에 무엇이 필요하며, 시민단체나 국가의 건축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아시아문화전당뿐만 아니라 광주 전역의 포인트 지점에 이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고 광주를 부각 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어찌됐든 이러한 노력들이 우리나라에서도 보여 지고 있으며,
정림건축 이필훈씨의 세미나에서 말했듯이, 한국건축은 현재 여러 방면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건축을 이제 문화로 보는 시선들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건축물이 시민들에게 문화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 한국건축에 미래는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다.
■ 참고문헌
- 도 서 -
☆ 한국현대건축 비평 -임석재- (도서출판 예경, 1998)
☆ 현대건축과 뉴 휴머니즘 -임석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건축사이로 넘나들다 김헌외 22명 (서울포럼, 2204
- 논 문 -
☆ 동서양 건축에서의 단위개념 김성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2005)
☆ 정선지역 폐광을 활용한 석탄 박물관 계획에 관한 연구 (구자균, 이은석, 2003)
☆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영환, 2008)
☆ 카지노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구, 2000)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한 현대건축물의 아이콘화 요건 분석 (조희명, 김정구, 2007)
☆ 정선통계연보 (정선군청, 2007)
- 영 상 -
☆ mbc특별 다큐멘터리 (2006, mbc)
사이트 주소 http://playercue.imbc.com/TouchPlayer/TouchPlayerExe.aspx?id=SISA000000640&file=mms://fvod.imbc.com/fvod/TV/SISA/SISA000000640/tv_cul_mbcspecial_061130_0187_c.wmv&type=SISA&speed=300&caption=&rd=2006-11-30&target=3
건축물 하나가 도시의 이미지를 바꾼다. 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지만, 어떻게 보면 이러한 생각은 많은 위험요소를 품고 있다. 건축은 건축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의 건축물과의 관계성, 맥락화 되어야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혼자 살아갈 수 있는가? 건축도 마찬가지이다. 빌바오가 성공할 수 있는 큰 이유는 구겐하임이라는 미술관뿐만 아니라 그 도시를 살리고자하는 그 지역 사람들이 바탕이 된 것이다. 많은 나라들이 빌바오의 성공적인 사례를 본받아 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 중이다. 현재 우리 광주에도 아시아 문화전당이 건립되고 있다. 좋은 파장적 확산을 가져올지 또 하나의 실패작을 탄생 시킬 것인지는 알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빠른 성장에 의한 우리 도시는 헐떡이고 있다. 이러한 곳에 무엇이 필요하며, 시민단체나 국가의 건축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아시아문화전당뿐만 아니라 광주 전역의 포인트 지점에 이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고 광주를 부각 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어찌됐든 이러한 노력들이 우리나라에서도 보여 지고 있으며,
정림건축 이필훈씨의 세미나에서 말했듯이, 한국건축은 현재 여러 방면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건축을 이제 문화로 보는 시선들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건축물이 시민들에게 문화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 한국건축에 미래는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다.
■ 참고문헌
- 도 서 -
☆ 한국현대건축 비평 -임석재- (도서출판 예경, 1998)
☆ 현대건축과 뉴 휴머니즘 -임석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건축사이로 넘나들다 김헌외 22명 (서울포럼, 2204
- 논 문 -
☆ 동서양 건축에서의 단위개념 김성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2005)
☆ 정선지역 폐광을 활용한 석탄 박물관 계획에 관한 연구 (구자균, 이은석, 2003)
☆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영환, 2008)
☆ 카지노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구, 2000)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한 현대건축물의 아이콘화 요건 분석 (조희명, 김정구, 2007)
☆ 정선통계연보 (정선군청, 2007)
- 영 상 -
☆ mbc특별 다큐멘터리 (2006, mbc)
사이트 주소 http://playercue.imbc.com/TouchPlayer/TouchPlayerExe.aspx?id=SISA000000640&file=mms://fvod.imbc.com/fvod/TV/SISA/SISA000000640/tv_cul_mbcspecial_061130_0187_c.wmv&type=SISA&speed=300&caption=&rd=2006-11-30&target=3
추천자료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 Guggenheim Bilbao Museum 1991
Late Modern, Post Modern, Deconstructist Arch
공업교육론
[동양화][동양화 사상][한국화][동양화 작품][동양화 의문점][동양화와 서양화 비교]동양화의...
강원랜드 엑셀을 활용한 분석 시계열분석
독일루브지방,유럽의문화수도,루르지방,루르지방 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사례,시사점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대)와 농업기술보급, 제생원맹아부,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취미와예술C형] 교재 4장 [취미로서의 여행 관광]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이 가장 최근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