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학점, 스타벅스 경영 전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학점, 스타벅스 경영 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별을 떨어뜨리려던 루이싱 커피의 몰락
2. 밀레니얼의 선택, 스타벅스 기프트카드
3. 스타벅스 기프트카드는 특별하다

본문내용

한 말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핀테크 산업이 발달하면서 금융업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데, 스타벅스가 커피 사업을 바탕으로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2의 스타벅스로 불리던 루이싱커피가 분식회계로 쓰러짐에 따라 중국에서도 최고의 위치를 되찾으면서 핀테크 기업으로서의 스타벅스는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ㅇ 스타벅스 기프트카드 사용은 일상의 평범한 모습이다. 직장인들은 점심을 먹고 모바일로 스타벅스 앱을 열고 기프트카드에 충전해 두었던 현금으로 앱의 사이렌오더 서비스를 활용해 근처 스타벅스 지점에 커피를 주문한다. 구입 실적에 따라 별을 주면서 등급을 매긴다. 소비자들은 스타벅스의 골드 등급이 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ㅇ 스타벅스는 2001년 선불식 충전카드인 스타벅스 카드를 출시했다. 스타벅스 카드 이용객이 늘어날수록 스타벅스는 은행처럼 현금을 쌓아둘 수 있다. 그러나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받아둔 돈을 은행에 넣어두고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비용을 지급하지 않고도 1조원이 넘는 돈을 기업 계좌에 넣어둘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스타벅스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이다.
ㅇ 스타벅스의 현금은 일반 은행을 넘어서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에 따르면 미국 스타벅스는 2016년 선불카드 유치금으로 12억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조 4천억 원에 달하는 현금을 가지고 있다. 미국 내 지방은행보다 많은 자산 수준이다. 한국 스타벅스 역시 기프트카드 멤버십 회원이 2019년 기준 500만 명에 이른다. 스타벅스는 충전금을 운용해 은행처럼 수익을 올린다.
ㅇ 2019년 4분기 스타벅스 재무재표(Starbucks Reports Q4 and Full Year Fiscal 2019 Results)를 보면 이연수익(deferred revenue)이 67억 달러이다. 이연수익이란 돈을 먼저 받고 나중에 수익을 인식한다는 뜻이다. 스타벅스의 기프트카드 충전액을 말한다. 또한 미국 내 스타벅스 앱 결제 사용자는 2,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애플페이, 구글, 삼성페이보다 간편결제 수단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ㅇ 2019년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은 20,246개이다. 미국은 6,188개이고 한국은 1,308개로 두 번째로 많다. 스타벅스는 이렇게 많은 매장에서 기프트 카드를 활용해 핀테크 기업으로서 부가 수익을 올리고 소비자의 로열티를 획득하고 있다.

키워드

스타벅스,   루이싱,   커피,   몰락,   회사,   주식,   시장,   매출,   증가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11.05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9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