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
2. COVID19와 같은 팬더믹 현상이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
2. COVID19와 같은 팬더믹 현상이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금, 랜선을 통해 이어진 우리는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모색하게 될 것이고, 이전 지위를 이용해 소통한 사람들은 분명 고립된 존재로 남을 것임을 확신하는 바이다. 또 이들은 사회적 문제로 새롭게 대두될 것이라 조심스럽게 예상해 본다.
Ⅳ 참고문헌
- 이인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1
-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 박만준, “인간은 왜 사회적인가?” 새한철학회, 2004
- 배재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체계 현황과 향후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0
-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도연구원, 2020
- 김연수, “인간 존재에 대한 통찰적 고찰”, 장로회신학대, 2016
- 이광자 외, “현대사회심리학”, 아세아문화사, 2003
Ⅳ 참고문헌
- 이인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1
-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 박만준, “인간은 왜 사회적인가?” 새한철학회, 2004
- 배재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체계 현황과 향후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0
-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도연구원, 2020
- 김연수, “인간 존재에 대한 통찰적 고찰”, 장로회신학대, 2016
- 이광자 외, “현대사회심리학”, 아세아문화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