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A++] 신경외과 NS SDH,경막하출혈 CASE STUDY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 3개 총41페이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A++] 신경외과 NS SDH,경막하출혈 CASE STUDY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 3개 총41페이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하면 다음 단계 적용)
고위험군(12점 이하)
-turning schedule 적용
(q 1hrs)
-lift sheet 사용
-30˚ lateral position 적용
-heel, 뼈 돌출부위 보호
-air mattress 적용
-moisture, nutrition, friction&shear 관리
(만일 고연령, 고열, diastolic pressure가 60이하, Hemodynamic 치료 중 이중 하나에 속하면 다음 단계 적용)
9/9일 23점에 해당
9/3일 11점 해당
의식수준이 drowsy에서 alert로 점차 좋아지고, drain 제거와 함께 병동을 가끔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돌출부위에 mepilex부착하여 피부 손상이나 발적을 예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욕창사정도구 재사정(9/9일 시행)을 통해 점수를 측정한 결과 저위험군 23점으로 장기적 목표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주증상
(건강문제)
감염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약간 으실 으실 추워. 이불 좀 더 갔다 줘.......”
객관적 자료
배액관 삽입 중
침습적 수술(수술명:천두술)시행
혈소판 수치
혈액응고시간지연
Hb/HCT수치
9/3
9/4
[CBC] WBC Count. 10.49▲
RBC Count. 3.72▼
Hb 10.8▼
HCT 32.5▼
[일반화학]Total protein 6.0▼
Glucose 118▲
[혈액응고]
Activated PTT Test 20.1▼
PT Test 9.9▼
INR 0.85▼
[CBC] WBC Count. 11.04▲
RBC Count. 3.68▼
Hb 10.9▼
HCT 32.2▼
[일반화학] Glucose 134▲
[혈액응고]
Activated PTT Test 20.1▼
[ABGA] PH 7.494▲
PCO2 27.2▼
수술 후 fever
9/4
9/5
9/6
6am:151/66/100-20-37.0
10am:138/64-100-20-37.4
14pm:131/61-93-18-37.5
18pm:157/67-98-20-37.5
22pm:163/76-110-20-37.2
14pm:129/61-103-20-37.6
10am:137-62-82-20-37.2
14pm:132/963-94-20-37.4
간호진단
# 2. 수술부위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
장기 목표
수술부위 회복으로 퇴원 시 까지 감염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배액관을 제거하고 드레싱한 후에도 감염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환자를 접촉하기 전에 손을 씻는다.
손씻기는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간호행위이다.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감염 시 체온, 맥박, 호흡이 상승된다.
3. 수술 후 Lab 검사 수치의 변화를 파악한다.
감염이 진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감염이 되면 염증수치가 상승한다.
4. 배액관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배액량과 배액양상을 측정한다.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5. 대상자에게 배액관 관리의 중요성과 손씻기에 대해 교육한다.
6. 휴식과 함께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병동 걸어 다니기를 격려한다.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하면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행
환자를 접촉하기 전에 손을 씻었다.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 q4hr마다 측정하다가 수치 안정된 것을 확인 후 q8hr로 측정함
수술 후 Lab 검사 수치의 변화를 파악했다.
배액관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배액량과 배액양상을 측정했다.
⇒ 배액관 부위 상처소독할 때 무균술을 적용함
대상자에게 배액관 관리의 중요성과 손씻기에 대해 교육했다.
휴식과 함께 병동 걷기를 격려했다.
평가
배액관 제거 후 진단검사 실시한 결과 WBC 수치는 증가가 없었지만 CRP증가가 있었다. 하지만 현병력으로 유방암과 갑상선종 질환을 가지고 있어서 유의한 검사결과로 볼 수 없다.
9/5
9/7
9/10
[CBC] RBC Count. 3.64▼
Hb 10.9▼
HCT 31.7▼
[일반화학]Osmo 278▼
Total protein 6.2▼
Glucose 129▲
[혈액응고]
Activated PTT Test 20.1▼85▼
[CBC] RBC Count. 3.37▼
Hb 10.0▼
HCT 29.4▼
Eosinophils 6.6▲
CRP 3.95▲
[일반화학]Total protein 5.7▼
Albumin 3.2▼ [혈액응고]
Activated PTT Test 20.5▼
[CBC] RBC Count. 3.62▼
Hb 10.7▼
HCT 31.3▼
Eosinophils 5.4▲
CRP 0.39▲
[일반화학]Osmo 276▼
Cl 97.7▼
[혈액응고]
Activated PTT Test 20.1▼
2. 9/6일 채취한 배액관 삽입 부분 미생물 검사 결과 ..1d ⇒No growth after 2 days of incubation 판정으로 정상수치 확인되었고 OP wound dressing 상태도 좋아 감염 증상 없음을 알 수 있고 장, 단기적 목표를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3. 활력징후 정상
9/8
9/9
9/10
5am:120/80-78-20-36.8
11am:130/80-74-20-36.7
20pm:140/80-74-20-37.2
5am:140/90-76-20-36.7
11am:150/90-78-20-36.6
20pm:130/80-72-20-37.2
5am:120/70-70-20-36.8
11am:140/80-78-20-36.7
20pm:140/80-72-20-37.2
Ⅲ. 참고문헌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통계자료
(http://www.hira.or.kr/main.do)
2.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3.김금순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6
4.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5. 네이버 의약학사전 (http://medic.naver.com)
6.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0&cid=51007&categoryId=51007)
  • 가격3,5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20.11.13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