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A++] ER, Seizure, 뇌전증 발작 CASE STUDY (완전 자세히 서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A++] ER, Seizure, 뇌전증 발작 CASE STUDY (완전 자세히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Ⅱ. 본론
A. 문헌고찰
B. Critical Pathway

Ⅲ. 결론

본문내용

6.3
3-8
mg/dL
Na
138
136-145
mEq/L
K
▼3.2
3.5-5.1
mEq/L
Cl
92
98-107
mEq/L
P
3.4
2.5-4.5
구루병, 골연화증, 부갑
Total Ca
8.6
8.3-10
mg/dL
Ma
1.5
1.5-2.5
mg/dL
CRP
▲32
0-0.5
4) 응급 화학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의의
Lactic Acid
2.63
0.5-2.2
Acidosis, shock, 알코올
5) 요검사
검사항목
결과
정상치
Color
Brown
Turbidity
Clear
Specific gravity
1.024
1.005-1.030
pH
6.0
4.5-8.0
Glucose
nega
Protein
1+
Bilirubin
nega
Ketone
trace
nega
Blood
trace
nega
Urobilinogen
trace
trace
Nitrite
nega
nega
Leukocyte
nega
nega
RBC
0.2
<1.0
WBC
1.5
<3.0
5) X-ray 촬영 결과
Chest PA
No evidence of newly visible active process in both lungs.
6) CT brain
No significant change in wild diffuse cerebral and cerebellar cortical atrophy since the last brain CT on 2019-01-10
Otherwise, not significantly changed.
7) EKG 검사
HR : 174 bpm T axis : -85 deg
QRS dur : 82 msec
QT int : 266 msec
QTC int : 452 msec
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ST depression
Psycho
social
응급실 중증구역으로 입실하였으며, 환자 Mental alert 함.
열이 많이 나서 춥거나 덥다고 의사 표현 잘함.
간호사 말 전부 알아들으며 obey command 잘됨.
Nursing
Diagnoses
발작 관련된 낙상 위험성
출혈과 관련된 기도 흡인 위험성
혀 열상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Treat-
ment
Treatment 내용
임상적 의의
V/S Monitoring
혈압 ,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측정된다.
Portable ECG Monitoring
심장리듬 및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혈액검사 시행함
증상 및 진단을 알 수 있는 초기 단서이다.
Chest PA, Brain CT, 검사 시행함
질병의 위치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시행한다.
Fowler’s Position 체위로 변경함
호흡곤란 환자, 수술 후 많이 사용한다.
Ice bag 제공
열을 내리기 위해서 사용한다.
Restrain 적용하고 side rail 올림
line 제거 및 낙상 예방을 위해 사용한다.
Medi-
cation
약품
용량,투여
효능/효과
Ativan inj
4mg/1ml/IV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및 경구투여보다 신속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경우
1) 마취 전 투약
2) 다음 검사시의 불안긴장: 내시경검사, 기관지경검사, 동맥촬영
3) 급성불안, 급성흥분 또는 급성조증
Knowledge deficit
보호자에게 환자의 상태를 설명했다.
보호자에게 상태에 맞는 검사, 처치의 목적에 대한 설명했다.
보호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의 목적과 이유에 대하여 설명했다.
보호자에게 Side rail을 올리고 있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보호자에게 금식의 이유를 설명했다.
Diet
NPO
Activity
ABR
line 제거 위험 있어 응급 처치 후 restrain 적용
Transfer
EICU
Daily outcomes
오전 10시 56분에 중증구역에서 V/S Check 후 fever로 해열제 및 Ice bag 사용했으며 오후 2시에 열이 내려갔음을 확인했다.
발열로 인한 입이 건조하고 말라가는 증상이 있어 거즈에 생리식염수를 묻혀 증상을 완화됨을 확인했다.
위 아래 앞니 2개 손상됨을 확인되어 보호자에게 설명했다.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 대상자가 진정됨을 확인했다.
보호자에게 간호 중재, 약물, 검사 등이 있을 때마다 충분한 설명과 질문에 답변하면서 대상자의 불안이 점점 감소함을 확인했다.
동의서 작성 후 응급 중환자실 (EICU)로 전실 되었다.
Ⅲ. 결론 및 느낀점
지금까지 성인 간호 실습을 외과와 신경외과에 나갔기 때문에 Seizure환자분을 본 적이 없었다. 마침 중증구역에서 실습하다가 간호사 선생님을 따라 돕게 되었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응급처치들을 보며 대상자로 선정했다. 의식이 나아져 전실 하는 것은 근무시간이 끝나 직접 확인 하지 못했지만 출혈도 심했고 손상도 많이 되어 마음이 좋지 않았다. 다행히 중환자실에서도 케어를 잘 받아 퇴원한 것을 알았다.
응급실이라는 특수 파트에서 2주간 실습하면서 느낀 것은 ‘정말 공부를 많이 해야겠구나.’라고 생각했다. 영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찾아오며 가벼운 질환부터 CPR 상황까지 오는 곳이 응급실이었다. 그래서 그 상황에 맞게 빠르게 판단하고 대처함에 따라 대상자가 빨리 치유될 수 있고 나빠질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다. 나또한 취업만이 끝이 아니라 취업 후에도 스스로 공부하면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싶다. 정말 배움이 많은 실습이었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경험하고 싶은 실습이며, 정말 더할 나위 없는 값진 2주의 실습이었다.
Ⅳ 참고문헌
(1) 김근순 외. 성인간호학2. 서울:수문사;2016
(2)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2. 서울:수문사;2010
(3)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9판. 서울:현문사;2017 p.622-626
(4) 김본원 외. 알기쉬운 병리학. 서울:현문사;2010
(5)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서울:현문사;2015. p.226-299
(6) 서울아산병원. 약물(인터넷). 서울:Authors;(2019. 04. 09)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0.11.13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