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기효능이론의 발달 배경
2. 자기효능의 정의
3. 자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자기효능감 척도
5. 자기효능이론과 관련된 논문 요약
2. 자기효능의 정의
3. 자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자기효능감 척도
5. 자기효능이론과 관련된 논문 요약
본문내용
구체적 자기효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
2)실험군과 대조군이 자가간호수행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설문지에 자가간호방법이 적혀있는 객관식인 점으로 인해 대조군 환자도 30일 동안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는 자가간호의 방법을 매일 보게 됨으로 인해 설문지를 통해 자가간호방법을 알게 된 데에도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모든 대상자가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들로 방사선요법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부작용의 대부분을 이미 항암화학요법 시 체험하여 부작용 관리에 대한 선행경험으로 인한 자가관리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 그리고 유방암환자가 받는 방사선요법의 1회 방사선량 28회로 나누어 조사받기 때문에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다른 방사선 치료환자들에 비해 적게 느꼈다는 점으로 기인한 것으로 생각. 따라서 추후연구 에서는 자가간호수행에 대한 측정을 할 때에 객관식 답안지를 주는 것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응답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자가간호수행 방법이 노출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질문지에 처치 방법이 적혀 있지 않는 백지 답안지를 주어 시행한 처치방법을 직접 적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
3)이러한 결과는 효능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삶의 질 정도를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차이를 본 연 구는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 없었음.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환자의 부작용관리 내용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신체상, 자아존중감 등 관련변인들이 많이 고려되지 않은 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 따라서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도록 돕기 위한 중재 연구에서는 처치에 따른 신체의 부작용 관리를 위한 중재뿐만 아 니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신체상, 자아존중감 등의 변인들도 포함하여 그 변수들의 정도도 높일 수 있는 중재방 안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
결론
및
제언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은 방사선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자기효능감 중 구체적 자기효능감은 증진시켰으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지 못했고, 자가간호정도도 증가시키지 못하였으며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방사선요법을 받는 다른 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 자기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정 변수를 포함하여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
2)실험군과 대조군이 자가간호수행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설문지에 자가간호방법이 적혀있는 객관식인 점으로 인해 대조군 환자도 30일 동안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는 자가간호의 방법을 매일 보게 됨으로 인해 설문지를 통해 자가간호방법을 알게 된 데에도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모든 대상자가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들로 방사선요법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부작용의 대부분을 이미 항암화학요법 시 체험하여 부작용 관리에 대한 선행경험으로 인한 자가관리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 그리고 유방암환자가 받는 방사선요법의 1회 방사선량 28회로 나누어 조사받기 때문에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다른 방사선 치료환자들에 비해 적게 느꼈다는 점으로 기인한 것으로 생각. 따라서 추후연구 에서는 자가간호수행에 대한 측정을 할 때에 객관식 답안지를 주는 것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응답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자가간호수행 방법이 노출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질문지에 처치 방법이 적혀 있지 않는 백지 답안지를 주어 시행한 처치방법을 직접 적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
3)이러한 결과는 효능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삶의 질 정도를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차이를 본 연 구는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 없었음.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환자의 부작용관리 내용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신체상, 자아존중감 등 관련변인들이 많이 고려되지 않은 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 따라서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도록 돕기 위한 중재 연구에서는 처치에 따른 신체의 부작용 관리를 위한 중재뿐만 아 니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신체상, 자아존중감 등의 변인들도 포함하여 그 변수들의 정도도 높일 수 있는 중재방 안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
결론
및
제언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은 방사선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자기효능감 중 구체적 자기효능감은 증진시켰으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지 못했고, 자가간호정도도 증가시키지 못하였으며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방사선요법을 받는 다른 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 자기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정 변수를 포함하여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