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의 개념 및 발생 동기
2) 통신언어의 특징
3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통신언어의 개념 및 발생 동기
2) 통신언어의 특징
3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하는 일상적 구어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허윤아, 앞의 논문, p.10-
이런 통신언어는 몇 가지 발생 동기를 갖는다. 시간과 노력의 간소화, 표현적 동기, 유대 강화 동기, 비의도적 동기로 나뉜다.
통신언어의 기본적이면서 가장 강력한 동기는 ‘시간과 노력의 간소화’라고 할 수 있다.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긴 단어는 짧게 줄여 쓰고, 맞춤법을 무시한 채 소리 나는 대로 글자를 치는 등 입력하기 쉽도록 노력한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전화를 통해 문자를 주고받게 되면서 이런 현상은 더 많이,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통신언어는 대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 아니다. 따라서 대면을 통한 의사소통에서 이루어질 때 나타나는 표정 등의 비언어적 표현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없다. 그래서 글자를 통한 의사소통은 감정 표현을 하기 위해 대면적 의사소통보다 더 상세히 설명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통신언어는 이런 비대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라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이모티콘 등 그림 글자를 사용한다. 이렇게 나타난 것이 통신언어의 표현적 동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핸드폰이 청소년과 어린아이들에게도 보급되면서 규범과 질서에 맞추어 통신언어를 사용하려 하는 어른들과 다른 통신언어 사용 동기가 나타난다. 나이 많은 어른들과 대조적으로 어린이와 청년들이 규범이나 질서에 맞지 않는 언어 기호를 사용하면서 서로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통신언어를 사용한다.
앞선 3가지의 동기와 달리 의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통신언어도 있다. 타자를 잘못 써서 오타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완전의 오타인 ‘오타’, 관리의 오타인 ‘관리’ 등이 있다. 현재는 오나전과 고나리 같은 언어 또한 의도적인 동기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다.
2) 통신언어의 특징
통신언어의 특징은 음운상의 특징, 통사 상의 특징, 어휘상의 특징, 표기상의 특징이 있다. 음운상의 특징에는 음소 바꾸기와 음소 더하기가 있다. 음소 바꾸기와 음소 더하기에는 본래 낱말의 형태에서 모음이나 자음을 바꾸는 것 본래에는 없는 자음을 더하는 것이 있다. 또 다른 음운상 특징은 음절 줄이기와 음절 늘이기가 있다. 통사 상의 특징은 서술어나 종결어미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음/슴’체 등이 여기 해당한다. 어휘상의 특징에는 비속어 사용, 방언 사용, 축약어 사용, 의미 확대, 흉내말 사용 등이 있다. 표기상의 특징은 소리 나는 대로 적기, 문장부호 남용, 이모티콘 사용, 자모 해체, 붙여쓰기 등이 있다. 허윤아, 「통신언어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16-34
3)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커뮤니티 글
가. 제목: 부경대 멋지게 스타트 끊었네 ㅋㅋㅋㅋㅋㅋㅋ
(https://www.instiz.net/name/35525016)
내용: 이제 다 무기한 각일 듯
댓글: 영대 1학기 싸강가자 진짜
인하대 끝까지 안할듯 ㅋㅋㅋㅋ 토요보강이라도 취소해 제발 ㅠ
아 나 싸강 버틸수
이런 통신언어는 몇 가지 발생 동기를 갖는다. 시간과 노력의 간소화, 표현적 동기, 유대 강화 동기, 비의도적 동기로 나뉜다.
통신언어의 기본적이면서 가장 강력한 동기는 ‘시간과 노력의 간소화’라고 할 수 있다.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긴 단어는 짧게 줄여 쓰고, 맞춤법을 무시한 채 소리 나는 대로 글자를 치는 등 입력하기 쉽도록 노력한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전화를 통해 문자를 주고받게 되면서 이런 현상은 더 많이,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통신언어는 대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 아니다. 따라서 대면을 통한 의사소통에서 이루어질 때 나타나는 표정 등의 비언어적 표현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없다. 그래서 글자를 통한 의사소통은 감정 표현을 하기 위해 대면적 의사소통보다 더 상세히 설명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통신언어는 이런 비대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라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이모티콘 등 그림 글자를 사용한다. 이렇게 나타난 것이 통신언어의 표현적 동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핸드폰이 청소년과 어린아이들에게도 보급되면서 규범과 질서에 맞추어 통신언어를 사용하려 하는 어른들과 다른 통신언어 사용 동기가 나타난다. 나이 많은 어른들과 대조적으로 어린이와 청년들이 규범이나 질서에 맞지 않는 언어 기호를 사용하면서 서로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통신언어를 사용한다.
앞선 3가지의 동기와 달리 의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통신언어도 있다. 타자를 잘못 써서 오타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완전의 오타인 ‘오타’, 관리의 오타인 ‘관리’ 등이 있다. 현재는 오나전과 고나리 같은 언어 또한 의도적인 동기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다.
2) 통신언어의 특징
통신언어의 특징은 음운상의 특징, 통사 상의 특징, 어휘상의 특징, 표기상의 특징이 있다. 음운상의 특징에는 음소 바꾸기와 음소 더하기가 있다. 음소 바꾸기와 음소 더하기에는 본래 낱말의 형태에서 모음이나 자음을 바꾸는 것 본래에는 없는 자음을 더하는 것이 있다. 또 다른 음운상 특징은 음절 줄이기와 음절 늘이기가 있다. 통사 상의 특징은 서술어나 종결어미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음/슴’체 등이 여기 해당한다. 어휘상의 특징에는 비속어 사용, 방언 사용, 축약어 사용, 의미 확대, 흉내말 사용 등이 있다. 표기상의 특징은 소리 나는 대로 적기, 문장부호 남용, 이모티콘 사용, 자모 해체, 붙여쓰기 등이 있다. 허윤아, 「통신언어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16-34
3)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커뮤니티 글
가. 제목: 부경대 멋지게 스타트 끊었네 ㅋㅋㅋㅋㅋㅋㅋ
(https://www.instiz.net/name/35525016)
내용: 이제 다 무기한 각일 듯
댓글: 영대 1학기 싸강가자 진짜
인하대 끝까지 안할듯 ㅋㅋㅋㅋ 토요보강이라도 취소해 제발 ㅠ
아 나 싸강 버틸수
키워드
추천자료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2016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통신언어의 특징 자료 수집 조사 분석)
언어와 생활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2019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통신 언어의 특징)
2020년 1학기 언어와생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통신 언어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