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정책의 비교연구
1. 과학에 있어서의 비교연구방법의 개념
2.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의 목적
3.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의 한계
* 참고문헌
1. 과학에 있어서의 비교연구방법의 개념
2.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의 목적
3.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의 한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복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판이하게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각 용어가 포함하는 범위도 매우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윌렌스키(Wilensky, 1975)와 카임 코들(Kaim-Caudle, 1973)이 지적한 대로 사회복지비의 경우 어떤 나라는 교육비도 포함하지만 어떤 나라는 교육비는 사회복지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사회보장(social security)이라는 용어도 미국에서는 노령, 유족, 장애, 건강보험 프로그램(Federal old-age, survivors, disability and health insurance program)으로 규정짓지만, 영국에서는 사회보장을 교육부조 외에 사회적 목적으로 개인에게 지급되는 모든 현금급여로 규정짓고, 뉴질랜드에서는 현금급여와 건강서비스의 종합체계를 칭한다. 이처럼 통일된 개념규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마다 비교한다는 것은 방법론상으로 볼 때 매우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마다 비교할 때에는 먼저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용어로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정책 비교의 이론적 배경의 결여이다. 모든 과학적 연구에는 그 연구를 지탱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정책을 비교연구 할 경우에는 그 연구를 이끌고 가는 이론적 개념적 준거틀이 먼저 세워져야 하는데 국가 간에 사회복지제도를 비교 연구할 경우에는 고려해야 할 변수들이 많아서 이러한 변수들을 다 고려할 수 있는 준거틀을 세우기에는 난해한 점이 매우 많다.
셋째, 자료의 부족이다. 적절한 자료의 입수문제는 비교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의 차이, 자료원의 다양성, 자료규모의 차이 등으로 인해 적절한 자료의 입수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제3세계나 개발도상국, 사회주의 국가들의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 국가의 자료가 입수되었다 하더라도 많은 경우 그들 국가에 의해 조작되거나 통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빙성 있는 자료를 입수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인터넷의 발달로 외국의 자료수집이 용이해져 이 부분의 한계는 어느 정도 극복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예를 들면 윌렌스키(Wilensky, 1975)와 카임 코들(Kaim-Caudle, 1973)이 지적한 대로 사회복지비의 경우 어떤 나라는 교육비도 포함하지만 어떤 나라는 교육비는 사회복지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사회보장(social security)이라는 용어도 미국에서는 노령, 유족, 장애, 건강보험 프로그램(Federal old-age, survivors, disability and health insurance program)으로 규정짓지만, 영국에서는 사회보장을 교육부조 외에 사회적 목적으로 개인에게 지급되는 모든 현금급여로 규정짓고, 뉴질랜드에서는 현금급여와 건강서비스의 종합체계를 칭한다. 이처럼 통일된 개념규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마다 비교한다는 것은 방법론상으로 볼 때 매우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마다 비교할 때에는 먼저 사회복지정책을 각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용어로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정책 비교의 이론적 배경의 결여이다. 모든 과학적 연구에는 그 연구를 지탱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정책을 비교연구 할 경우에는 그 연구를 이끌고 가는 이론적 개념적 준거틀이 먼저 세워져야 하는데 국가 간에 사회복지제도를 비교 연구할 경우에는 고려해야 할 변수들이 많아서 이러한 변수들을 다 고려할 수 있는 준거틀을 세우기에는 난해한 점이 매우 많다.
셋째, 자료의 부족이다. 적절한 자료의 입수문제는 비교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의 차이, 자료원의 다양성, 자료규모의 차이 등으로 인해 적절한 자료의 입수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제3세계나 개발도상국, 사회주의 국가들의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 국가의 자료가 입수되었다 하더라도 많은 경우 그들 국가에 의해 조작되거나 통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빙성 있는 자료를 입수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인터넷의 발달로 외국의 자료수집이 용이해져 이 부분의 한계는 어느 정도 극복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고용][장애인고용촉진][장애인고용촉진제도][장애인고용촉진정책][장애인직업재활][장...
(한국사회문제A형)우리 사회 사회복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복지정책의 방향에 대해 모색
[빈곤 측정방법] 빈곤을 측정하는 방법들
[사회복지정책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과 현재의 문제점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제...
[사회복지정책론]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분석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모든 것, 노인장기...
사회복지정책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기술하고 현대사회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
노인복지론] 베이비부머세대의 개념-베이비부머 인터뷰 대상과 과정 기술-잔여적복지 제도적...
한국과 프랑스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젠더적 관점으로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중에서 사회양심론과 음모이론에 대하여 알아보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