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류회로 결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류회로 결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Introduction)
Ⅱ. 이론 (Theory)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Ⅵ. 토의 (Discussion)
Ⅶ. 참고문헌 (References)

본문내용

: 전압에 의해 저항이 크게 변하는 소자 ex) 전화기와 통신기기 잡음제거
-가변용 다이오드(varactor diode): 역방향 전압의 변화로 다이오드 양단의 공간 전하 용량이 가변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 ex) 주파수 변조회로
-제너 다이오드: 애벌런치 (Avalanche)나 항복 (Breakdown) 전압 특성이 낮은 전압에서 이루어지도록 도핑한 소자
-쇼트키 다이오드 (Schottky Diode) : 금속-반도체의 결합이나 PN접합을 하지 않음. 다수 캐리 어만 있고 소수캐리어는 존재하지 않기에 누설 전류가 없음. 정류성,저항성, 고속 스위칭 고주파 정류가 가능하다. 이유는 금속에 정공이 없기에 전하 축적이 없어 보통의 다이오 드 보다 아주 스위칭속도가 빠르다.
5. 반파정류 VS 전파정류
①직류회로는 전류의 양과 방향이 변하지는 않지만, 교류회로는 전류의 양과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뀐다. 회로를 변환시키는 것을 ‘정류’라고 한다. 보통 교류회로를 직류회로로 바꿀대 전류시킨다라고 한다.
②반파정류 : 한 방향의 전류 흐름은 허용하고 다른 방향의 전류 흐름은 막아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의 한 방법이다. 이것은 양쪽 방향의 전류를 모두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전파 정류와 구별된다. 즉, 교류(alternating)을 직류(direct)로 바꾸는 것이다.
③전파 정류 :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의 +,- 어느 반 사이클에 대해서도 정류를하고, 부하에 직류를 흘리도록 한 회로를 말한다. 중간 탭이 있는 트랜스를 필요로한다.
(반파정류) (전파 정류)
(교류) (반파정류)(전파정류)
-> 위 사진은 AC전압을 DC전압으로 바꾸려는 과정 . 위사진을 보는 것처럼 반파 정류와 전파 정류의 차이점은 다이오드의 개수차이이다.
6. 정류회로 내에서 축전기의 역할
-> 정류회로에서 축전기는 정류된 전류를 원활하게 하며, 다이오드는 전력 공급기의 정류 부분을 담당한다. 축전기의 용량이 클수록 충전 가능한 양이 많아져서 전압 감소폭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330μF축전기가 100μF축전기 보다 전압 감소폭이 작다.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1. 실험준비물
-> 전압 센서, C1 = 축전기 100uF, C2 = 축전기 330uF, 다이오드, LED, 회로 구성용 도선,
저항 R1 = 330Ω±5%, R2 = 10Ω± 5%
2.실험방법
실험 1. Diode 특성 실험
① 330Ω 저항기와 다이오드를 이용한 직렬회로 구성
② 다이오드에 채널 A의 전압센서 연결
③ 저항기에 채널 B의 전압센서 연결
④ Scope를 이용하여 Output Voltage, 저항기, 다이오드의 전압 확인
⑤ Scope의 데이터를 Transfer Data를 이용해서 저장
⑥ 다이오드를 LED로 교체하여 실험
실험 2. 반파 정류회로 (단일 다이오드)
① 다이오드와 330Ω 저항기를 이용하여 직렬회로 구성
② 채널 B에 연결된 전압센서의 데이터 측정
③ 330Ω 저항기에 병렬로 100㎌ 축전기 연결하고 데이터 측정
④ 추가로 10Ω의 로드 저항기를 병렬로 연결하고 데이터 측정
⑤ 축전기를 330㎌ 용량으로 교체하고 10Ω의 로드 저항기를 제거하고 데이터 측정
⑥ 다시 10Ω 로드 저항기를 병렬로 추가하고 데이터 측정
실험 2. 전파 정류회로(4개 다이오드)
① 4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해서 브릿지 회로 구성
② 단일 다이오드와 같은 과정으로 데이터 측정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1.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와 축전기의 용도를 설명하시오.
-> 정류회로에서 축전기는 정류된 전류를 원활하게 하며, 다이오드는 전력 공급기의 정류 부분을 담당한다. 축전기의 용량이 클수록 충전 가능한 양이 많아져서 전압 감소폭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330μF축전기가 100μF축전기 보다 전압 감소폭이 작다.
2. Diode의 특성 실험
- 1개 Diode와 330 ohm 저항기를 이용한 Sine파 정류 결과
-> 첫 번째 사진은 확대안한 것이고, 두 번째 사진은 확대한 사진이다. 입력하는 전압값은 일정하다. 다이오드의 전압그래프가 저항의 접안 그래프보다 아래에 위치했다. 파랑색 점선은 입력전압, 하늘색 점선은 저항의 전압, 주황색 점선은 다이오드의 전압이다.
다이오드를 통한 전압과 저항을 거친 전압이 다른 크기를 갖는 이유는 다이오드는 전압감하가 일어나나 저항의 경우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이다.
- 1개 LED와 330 ohm 저항기를 이용한 sine파 정류결과 ( 데이터가 없었습니다)
3. 1개 Diode를 이용한 반파정류
- 단일 다이오드와 330 ohm 저항기를 이용한 반파정류 회로 실험 결과
->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저항기에 흐르는 교류 전류는 +전압만 흐르게 된다. 다이오드는 sine파형 전류의 +부분만 통과하도록 정류하기 때문에 반파정류기 형태로 동작한다.
-단일 다이오드와 330Ω 저항기에 축전기(100μF과 330μF), 10Ω 저항기를 병렬로 추가한 결과
< 330Ω + 100μF 축전기>
< 330Ω + 330μF 축전기>
-> 축전기를 더하면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의 시간 변화는 접압이 +로 올라갈 때 축전기에 충전된다. 입력된 전류가 감소하게 되면 축전기는 가지고 있던 전기를 저항 쪽으로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축전기가 없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천천히 감소해서 시간 변화에 따라 거의 변하지 않는 직류에 가까운 신호로 정류 된다. 즉, 축전기는 전압의 변화를 줄였다. 또한 축전기의 용량이 클수록 충전 가능한 양이 많아져서 전압 감소폭이 줄어들게 된 것을 직접 실험 결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330μF 축전기가 100μF 축전기 보다 전압 감소폭이 작았다.
-단일 다이오드와 330Ω 저항기에 축전기(100μF과 330μF), 10Ω 저항기를 병렬로 추가한 결과
< 330Ω + 100uF 축전지 + 10Ω >
< 330Ω + 330uF 축전지 + 10Ω >
-> 입력된 전압이 -방향일 때 정류된 전압은 0이 된다. 그 이유는 축전기가 방출한 전기를 추가 저항이 사용하기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12.03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