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해석 보해석법 구조프로젝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구조해석 보해석법 구조프로젝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정 대상
2. 선정 이유
3. 구조 체의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와 해석 방향
4. 하중의 종류와 이에 대한 분석
5. 단면 2차 모멘트
6. 처짐 현상
7. 하중의 흐름
8. 각각의 요소에 대한 역할에 대한 이해와 분석
9. 결론

본문내용

그림9> 조명이 가운데 하나 있을 때 (대칭)
<그림10> 조명이 왼쪽 가운데 각각 하나씩 있을 때 (비대칭)
<그림11> 조명이 왼쪽 오른쪽 각각 하나씩 있을 때 (대칭)
상황
최대 처짐
1
<그림9> 조명이 가운데 하나 있을 때 (대칭)
2
<그림10> 조명이 왼쪽 가운데 각각 하나씩 있을 때 (비대칭)
3
<그림11> 조명이 왼쪽 오른쪽 각각 하나씩 있을 때 (대칭)
7. 하중의 흐름
<그림12>
조명의 무게인 고정하중이 직접하중 p로 위에 검정 화살표처럼 작용한다. 이 하중은 초록색 화살표와 파란색 화살표로 나뉜다. 파란색 화살표는 부재4역시 하중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부재 1,2,3의 초록색 화살표처럼 보를 타고 접합부로 흐르고 힘을 나눠받아 위의 접합부(천정)로 힘이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힌지로 접합된 부분에 빨간색 화살표처럼 Ry와 같은 수직 반력이 생긴다.
8. 각각의 요소에 대한 역할에 대한 이해와 분석
(1) 각각의 요소에 대한 역할
선정된 구조물은 다른 재료의 부재들이 하중의 지지를 위해 연결된 구조이다. 천장에 고정하고 하중(조명)과 보 형상의 부재4를 지탱해주는 얇은 막대모양의 부재 1,2,3과,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아주는 보로 이루어져 있다. 천장에 고정된 부재 1,2,3은 하중을 슬래브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직접적인 하중을 받는 보는 일차적으로 모든 하중을 받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13> [부재 1,2,3 고강도 알루미늄, 부재4 고강도 알루미늄, 부재5 고정하중인 조명]
(2) 각각의 요소에 대한 분석
6번에서 Ftool을 사용하여 부재의 처짐과 반력을 구하여 보았다.
9. 결론
(1) 구조물 분석에 대한 정리
선정한 구조물이 방송국 천장조명 지지대인 만큼 조명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 조명이 고정하중으로 작용 하였을 때 집중하중을 받게 되며 주로 천장과 연결된 강선이 힘을 받으며 마찬가지로 부재4와 핀 접합 되어있는 세 개의 강선(부재 1,2,3)이 조명의 하중을 분산시켜 처짐과 하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중을 주는 조명의 수와 고정되어있는 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경우에 따른 차이를 Ftool을 사용하고, 수식을 사용하여 분석해보았다.
(2) 프로젝트를 마치고 느낀 점
구조물 선정을 주위의 여러 어려워 보이는 구조물로 접근해 보려고 하였다. 그 또한 의미와 본인이 배운 구조지식을 여러 각도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였지만 어려운 부재보다는 간단해보이지만 구조의 핵심이 되는 보를 적용해 보고 싶어서 이와 같이 선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석과정부터 간단한 구조물이지만 어떻게 적용을 하고 조사를 해야 될지 난감하긴 마찬가지였다. 하중이 하나라도 추가 된다면 다시금 고려할게 많아져 고민이 많았다. 여차저차 방향을 잡고 해석을 시작해보았고 프로젝트를 하고나니 구조에 관한 일은 그 분야의 정통한 지식과 통찰력 있는 경험이 있어야 된다는 것을 느꼈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여러 번 숙달되게 한다면 앞으로 본인의 구조에 대한 안목도 크게 향상될 거라 생각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12.07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