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임상실습_만성신부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임상실습_만성신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중
불쾌한 신체감각과 관련된 불면증
“아무래도 투석 중에는 다들 잠만 자니까 말할 사람이 없지”
“(투석환자들이랑)깊은 대화는 안해. 다들 집에 가기 바쁘니까”
“딱히 친구를 만나거나 그러진 않아.”
-다른 환자들에게 관심을 보이나 자고 있어서 얘기를 쉽게 못 거는 모습 관찰 됨.
-현재 참여하고 있는 자조모임 없음.
대인관계 어려움과 관련된 외로움의 위험
간호진단 : 수술 후 회복과정과 관련된 급성통증
진단일 : 2020년 7월 22 일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 수술한 쪽이 너무 아파 ”
“ 지금은 (투석에) 익숙해져서 괜찮은데 수술한 데가 제일 아프지 ”
“ (자리에서 일어서며) 나 너무 아파서 못 누워있겠어 ”
“ 수술하면서 근육이 빠져가지고 꼬리뼈가 바닥에 닿아서 너무 아파”
객관적 자료
-2020.07.03 THR Lt. d/t AVN head femur Lt.hip
-통증 때문에 인상을 찌뿌리는 모습 관찰 됨.
-NRS 점수 2점
과학적 근거
통증을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통증숫자평정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였고, 통증을 객관적으로 사정하기 위하여 피부전기반응 검사(Galvanic Skin Response test [GSR])를 사용하였다. 통증숫자평정척도는 통증에 대한 자가 보고식 10점 평점 척도로 성인과 10세 이상의 어린이에게 사용할 수 있다. 10 cm 수평선상을 10등분하여 숫자로 표시한 도구로 왼쪽 끝 “통증 없음”은 0점을, 오른쪽 끝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심한 통증”은 10점을 나타내며, 0점은 통증 없음, 1~3점은 약한 통증, 4~6점은 보통의 통증,
7~10점은 심한 통증을 의미한다.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 장영준, 김현옥]
간호목표
단기 목표 : 통증이 1시간 이내에 호전된다.
장기 목표 : 7월 28일까지 투석 시 통증이 호전되었다고 표현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V/S을 측정한다.
2. NRS 점수를 사정한다.
3. 천천히 체위변경 해준다.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5. 심호흡과 이완운동을 격려한다.
1.활력징후의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문제를 확인하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는데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2.통증을 포괄적으로 사정한다.
강도(등급 : 0-10), 지속기간, 위치
-기초적인 정보와 효과적인 중재 모니터를 사정한다.
3.부드러운 이동과 체위변경은 심각한 근육경련의 발생을 예방한다.
4.진통제는 마약수용체를 자극하여 통증을 경감시킨다.
5.심호흡과 이완운동을 격려한다. 진통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통증경험을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다.
간호수행
7/22
BP
P
RR
BT
11:00
160/90
82
20
37.5
1.V/S을 측정한다
2. NRS 점수를 사정한다.
7/22 11:01AM NRS 점수 측정결과 2점으로 측정 됨.
3. 천천히 체위변경을 해준다.
7/22 11:02AM 대상자의 허리와 어깨를 지지하면서 천천히 체위변경을 도움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7/22 11:03AM PRN 처방에 따라 파세타 IV함
5. 심호흡과 이완운동을 격려한다.
7/22 11:05AM 천천히 심호흡을 격려하고 몸을 이완시키도록 도움.
간호평가
단기 목표: 진통제 투여 30분 후 대상자가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로 표현하심. 한결 풀어진 표정이 관찰되었으므로 달성 됨.
장기목표: 7월 28일 투석 시 통증이 그 전보다 완화되었다고 말로 표현하심. 열심히 병원 1층 로비에서 보조기를 가지고 재활하는 모습 관찰되었음으로 달성 됨.
간호진단 : 불쾌한 신체감각과 관련된 불면증
진단일 : 2020년 7월 22일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 (다른 사람들은 자는데) 나는 못자 투석 도중에 맨날 깨있어”
“투석 처음 할 땐 정말 미치는 줄 알았어. 가만히 누워있는 게 너무 무서웠어”
“매일 수면제를 먹고 자 근데 약 용량이 너무 세면 아침이 되도 정신이 몽롱해”
객관적 자료
-Restless leg syndrom
-투석 중 가까이 다가가면 인기척을 느끼고 눈을 뜨는 모습 관찰 됨.
-하지불안증후군 치료제 복용중.
과학적 근거
하지불안증후군은 취침 시 또는 수면 중 하지에 근질거리는 이상감각과 초조함으로 잠들지 못하거나 수면 중 깨는데, 움직이거나 걸으면 사라지고 움직이지 않을 때만 증상이 나타난다. 빈혈, 임신, 요독증에서 흔히 나타나며, 주로 중년층에서 많다.
[정신간호학, P.431]
간호목표
단기 목표 : 투석 4시간 동안 대상자는 발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장기 목표 : 7월 28일 투석 시, 불면증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면양상을 관찰한다.
약물을 투여한다.
잠들기 전 명상을 통해 이완한다.
카페인이 들어간 식음료를 삼간다.
주간에 필요한 만큼만 수면을 취하고 더 이상은 자지 않는다.
약물투여는 입면과 수면 유지에 상당한 효과를 보인다.
잠들려고 지나치게 노력하지 않고, 저자극의 활동을 한다.
카페인 함유 음료는 수면을 방해한다.
간호수행
수면양상을 관찰한다.
7/22 8:00AM 대상자에게 가까이 다가가자 눈을 뜨는 모습이 관찰됨.
2.약물을 투여한다.
7/16~28 하지불안증후군 치료제인 미라펙스정, 프라펙솔정 경구 투여함.
3.잠들기 전 명상을 통해 이완한다.
7/22 8:10AM 대상자에게 몸에 힘을 쭉 빼고 이완할 것을 교육함.
4.카페인이 들어간 식음료를 삼간다.
7/22 8:05AM 평소에 카페인이 들어가는 식음료를 섭취하는 지 묻고 되도록 마시지 않을 것을 설명함.
간호평가
단기 목표: 투석 4시간 동안 과도하게 발을 움직이지 않았으므로 달성되었다.
장기 목표: 7월 28일 투석 시 주간에 잠을 자지 않고 밤에만 잔다고 말했음으로 장기목표는 달성되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2 - 수문사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장영준, 김현옥]
[의약품 정보]킴스 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0.12.08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