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때 골절 부분이 잘 정복되기 때문에 시작점이 척추경의 약간 윗부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in의 위치는 적절하게 pin이 converge 되었을 때 측면 영상에서 척추체 전면 경계보다 약 5~10mm정도후방에 위치하면 된다. 이 보다 더 전진할 경우 척추체의 전면에 구멍이 생겨 시멘트를 주입할 때 시멘트가 척추체 앞으로 샐 수 있다.
★Step-4
①척추체에서 Bone marrow needle을 제거하고 Guide wire
위에 Cannular를 삽입합니다.
(cannular 넣을 때 mallet으로 살살 쳐주거나 cannular를 위에서
손으로 잡고 살살 돌리듯 힘주며 삽입한다.)
->C-arm AP,lat 확인한다.
②척추체에 알맞게 cannular가 삽입됨을 확인
하면 guide wire를 제거한다.
③첫 번째 시술 부위의 척추체에 cannular 그
대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한 채 두 번째(옆
시술할 부위)척추체 삽입할 준비를 한다.
④옆 시술할 부위에 skin incision후 spinal
needle 마취하며 위와 같은 시술 반복
Step1->2->3->4
양쪽 guide wire로 다시 확인 한다.(이 때 미
리 guide wire*2개를 준비 해 둠)
★Step-5; Guide wire와 투관침(trocar)을 제거하고
working cannula만 척추체에 남아 있습니다.
★Step-6; Working cannula에 Bone drill을 삽입하고 c-arm을
보며 살살 넣어 돌려준다. (양쪽 drilling)
(미리 bone dril*2개 + bone cement filler*1를 환자 다리 사이에
준비해 둠)
Balloon Catheter를 위한 척추체의 공간을 만든다.
★Step-7; 날카로운 뼈 조각으로 인해 풍선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뼈 시멘트 도포기(Bone cement filler)를
cannula를 통해 앞뒤로 여러 번 움직입니다.
Working cannula의 lumen에 뼈 입자가 없도록한다.
그런 다음 뼈 시멘트 도포기(Bone cement filler)를 제거한다.
(양쪽 다지기)
시술할 두 곳 Step6(drilling)->7(다지기)를 반복한다.
3.풍선 삽입과 부풀리기
->Balloon cath’+ Balloon expander *2 연결 되어 있는 기구를 환자 다리 사이에 준비 해 둔다.
1)부풀어지지 않은 풍선을 cannula를 통해 삽입하며 이때 풍선의 앞 뒤 위치가 c-arm 영상으로 확인되며 풍선의 뒤를 표시하는 부분이 cannula를 확실하게 통과하도록 삽입하여야 한다.
2)위의 과정을 양쪽에 모두 시행하여 양쪽에 풍선이 적절한 위치에 삽입된 것을 전후면, 측면영상으로 확인 한다. 전후면 영상에서는 양쪽 풍선의 끝부분이 서로 닿지 않고 떨어져 있어야 풍선의 파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3)balloon catheter 를 이용하여 약 10ml 정도 dye를 채운 후 balloon으로 공간을 확장 시킨다.
4)측면 영상을 보면서 풍선을 부풀리게 되며, 양쪽을 비슷한 속도로 부풀려야 한다.
(과장님과 기구상쌤 같이 c-arm 영상을 보며 동시에 balloon을 시행한다.)
※이때 풍선을 부풀리게 되면 풍선 내 압력이 올라가게 되는데 골절 부분이 정복되면 압력이 저절로 감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압력을 높이고 압력이 저절로 감소되는 것을 기다린 후 다시 압력을 높이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풍선의 최대 허용 압력은 약 350psi이며, 압력을 너무 빠른 속도로
높이거나 최대 허용 압력 이상으로 높이게 되면 풍선이 파열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5)풍선을 부풀리는 건 방사선 불투과성 용액이 들어있는 용액으로 하게 되는데, 따라서 척추 골절이 잘 정복되는지, 풍선은 대칭으로 잘 부풀려지는지 c-arm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수시로 전 후면, 측면 영상을 확인하여야 한다.
4.풍선제거와 시멘트 삽입
1)양쪽 balloon cath’삽입한채 기구상쌤(안태수쌤)은 cement mix하여 준비한다.
2)기구상쌤이 bone cement filler에 cement 굳기 정도를 보며 cement를 주입하여 준비 해둔다.
->cement 주입기(주입기 1개당 약 1.5cc)를 통해 cement 를 넣는다.
->bone cement filler 5~6set정도로 순서대로(안태수쌤) 준비
3)Cement준비가 끝나면 풍선에 들어 있는 용액을 제거하고 풍선을 척추에서 빼낸다.(양쪽 모두)
4)Cement 채운 기계(Bone cement filler)를 cannula 안으로 넣어 cement를 밀어 넣어준다.
보통 한쪽당 2개 정도 사용(1개당 1.5cc의 시멘트 용량)
양쪽 총 시멘트 용량이 8cc 넘지 않도록!!
->C-arm 영상을 보며 양쪽 비슷한 속도 or 한쪽, 한쪽씩 cement를 천천히 주입한다.
시멘트 삽입 후 AP C-arm확인(C-arm과 수술부위 닿지 않도록 조심)
5)Kyphoplasty가 vertebroplasty에 비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kyphoplasty에서는 시멘트가 약간 굳어지기 시작할 때 주입할 수 있다는 점이며,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풍선으로 이미 만들어진 빈 공간에 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너무 묽은 상태가 아닌 약간 굳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가벼운 압력으로 c-arm 영상을 확인하면서 주위로 특히 척추관 속으로 시멘트가 새는지 주의깊게 관찰하면서 시멘트를 주입하여야 한다.
6)시멘트 주입이 끝나면 시멘트가 역류하지 않도록 시멘트가 다 굳을 때까지 시멘트를 주입한 도구를 삽입한 상태로 기다렸다가 시멘트가 다 굳은 것이 확인되면 제거한다.
시술부위를 Wet거즈로 닦아 줌(bleeding이 많이 나서)
5.Skin suture
Surture 할 때 침대 내려줌
Nylon 3/0 or vicryl 5/0
6.Dressing
히비탄->마른거즈->Furazin 거즈->거즈(2*2거즈 반자른 후 반 접어서)->fixing roll *2-> 5분정도 prone으로 있다가 침대차로 옮긴 후 X-ray(spine Ap,lat’) 찍고 병동
※pin의 위치는 적절하게 pin이 converge 되었을 때 측면 영상에서 척추체 전면 경계보다 약 5~10mm정도후방에 위치하면 된다. 이 보다 더 전진할 경우 척추체의 전면에 구멍이 생겨 시멘트를 주입할 때 시멘트가 척추체 앞으로 샐 수 있다.
★Step-4
①척추체에서 Bone marrow needle을 제거하고 Guide wire
위에 Cannular를 삽입합니다.
(cannular 넣을 때 mallet으로 살살 쳐주거나 cannular를 위에서
손으로 잡고 살살 돌리듯 힘주며 삽입한다.)
->C-arm AP,lat 확인한다.
②척추체에 알맞게 cannular가 삽입됨을 확인
하면 guide wire를 제거한다.
③첫 번째 시술 부위의 척추체에 cannular 그
대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한 채 두 번째(옆
시술할 부위)척추체 삽입할 준비를 한다.
④옆 시술할 부위에 skin incision후 spinal
needle 마취하며 위와 같은 시술 반복
Step1->2->3->4
양쪽 guide wire로 다시 확인 한다.(이 때 미
리 guide wire*2개를 준비 해 둠)
★Step-5; Guide wire와 투관침(trocar)을 제거하고
working cannula만 척추체에 남아 있습니다.
★Step-6; Working cannula에 Bone drill을 삽입하고 c-arm을
보며 살살 넣어 돌려준다. (양쪽 drilling)
(미리 bone dril*2개 + bone cement filler*1를 환자 다리 사이에
준비해 둠)
Balloon Catheter를 위한 척추체의 공간을 만든다.
★Step-7; 날카로운 뼈 조각으로 인해 풍선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뼈 시멘트 도포기(Bone cement filler)를
cannula를 통해 앞뒤로 여러 번 움직입니다.
Working cannula의 lumen에 뼈 입자가 없도록한다.
그런 다음 뼈 시멘트 도포기(Bone cement filler)를 제거한다.
(양쪽 다지기)
시술할 두 곳 Step6(drilling)->7(다지기)를 반복한다.
3.풍선 삽입과 부풀리기
->Balloon cath’+ Balloon expander *2 연결 되어 있는 기구를 환자 다리 사이에 준비 해 둔다.
1)부풀어지지 않은 풍선을 cannula를 통해 삽입하며 이때 풍선의 앞 뒤 위치가 c-arm 영상으로 확인되며 풍선의 뒤를 표시하는 부분이 cannula를 확실하게 통과하도록 삽입하여야 한다.
2)위의 과정을 양쪽에 모두 시행하여 양쪽에 풍선이 적절한 위치에 삽입된 것을 전후면, 측면영상으로 확인 한다. 전후면 영상에서는 양쪽 풍선의 끝부분이 서로 닿지 않고 떨어져 있어야 풍선의 파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3)balloon catheter 를 이용하여 약 10ml 정도 dye를 채운 후 balloon으로 공간을 확장 시킨다.
4)측면 영상을 보면서 풍선을 부풀리게 되며, 양쪽을 비슷한 속도로 부풀려야 한다.
(과장님과 기구상쌤 같이 c-arm 영상을 보며 동시에 balloon을 시행한다.)
※이때 풍선을 부풀리게 되면 풍선 내 압력이 올라가게 되는데 골절 부분이 정복되면 압력이 저절로 감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압력을 높이고 압력이 저절로 감소되는 것을 기다린 후 다시 압력을 높이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풍선의 최대 허용 압력은 약 350psi이며, 압력을 너무 빠른 속도로
높이거나 최대 허용 압력 이상으로 높이게 되면 풍선이 파열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5)풍선을 부풀리는 건 방사선 불투과성 용액이 들어있는 용액으로 하게 되는데, 따라서 척추 골절이 잘 정복되는지, 풍선은 대칭으로 잘 부풀려지는지 c-arm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수시로 전 후면, 측면 영상을 확인하여야 한다.
4.풍선제거와 시멘트 삽입
1)양쪽 balloon cath’삽입한채 기구상쌤(안태수쌤)은 cement mix하여 준비한다.
2)기구상쌤이 bone cement filler에 cement 굳기 정도를 보며 cement를 주입하여 준비 해둔다.
->cement 주입기(주입기 1개당 약 1.5cc)를 통해 cement 를 넣는다.
->bone cement filler 5~6set정도로 순서대로(안태수쌤) 준비
3)Cement준비가 끝나면 풍선에 들어 있는 용액을 제거하고 풍선을 척추에서 빼낸다.(양쪽 모두)
4)Cement 채운 기계(Bone cement filler)를 cannula 안으로 넣어 cement를 밀어 넣어준다.
보통 한쪽당 2개 정도 사용(1개당 1.5cc의 시멘트 용량)
양쪽 총 시멘트 용량이 8cc 넘지 않도록!!
->C-arm 영상을 보며 양쪽 비슷한 속도 or 한쪽, 한쪽씩 cement를 천천히 주입한다.
시멘트 삽입 후 AP C-arm확인(C-arm과 수술부위 닿지 않도록 조심)
5)Kyphoplasty가 vertebroplasty에 비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kyphoplasty에서는 시멘트가 약간 굳어지기 시작할 때 주입할 수 있다는 점이며,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풍선으로 이미 만들어진 빈 공간에 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너무 묽은 상태가 아닌 약간 굳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가벼운 압력으로 c-arm 영상을 확인하면서 주위로 특히 척추관 속으로 시멘트가 새는지 주의깊게 관찰하면서 시멘트를 주입하여야 한다.
6)시멘트 주입이 끝나면 시멘트가 역류하지 않도록 시멘트가 다 굳을 때까지 시멘트를 주입한 도구를 삽입한 상태로 기다렸다가 시멘트가 다 굳은 것이 확인되면 제거한다.
시술부위를 Wet거즈로 닦아 줌(bleeding이 많이 나서)
5.Skin suture
Surture 할 때 침대 내려줌
Nylon 3/0 or vicryl 5/0
6.Dressing
히비탄->마른거즈->Furazin 거즈->거즈(2*2거즈 반자른 후 반 접어서)->fixing roll *2-> 5분정도 prone으로 있다가 침대차로 옮긴 후 X-ray(spine Ap,lat’) 찍고 병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