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이 초등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에 갖는 의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행이 초등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에 갖는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초등교사 직업정체성에 대한 생애경로 관점의 필요성
가. 초등교사의 다중정체성(multiple identity)
나. 초등교사의 행위자성(agency)
다. 초등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둘러싼 구조

Ⅲ. 초등교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이행 관점의 설명가능성
가. 이행이 갖는 직업정체성(job identity) 학습과의 연관성
나. 이행의 행위자성(agency)
다. 이행을 둘러싼 사회적 구조(structure)

Ⅳ. 생애경로와 이행에서의 학습사건이 갖는 의미

Ⅴ. 나가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ed.). New York, ao.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Vol. 11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Merelman, R. M. (1986). Revitalizing political socialization. Political psychology, 279-319.
Moore, F. M. (2008). Positional identity and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6), 684710.
O’Connor, K. E. (2008). “You choose to care”: Teachers, emo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1), 117-126.
Pallas, A. M. (2003). Educational transitions, trajectories, and pathways. Handbook of the life course, 165-184.
Pratt, M. G., Rockmann, K. W., &Kaufmann, J. B. (2006). Constructing professional identity: The role of work and identity learning cycles in the customization of identity among medical residen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2), 235-262.
Quinn, J. (2010). Rethinking ‘failed transitions’ to higher education. Transitions and learning through the life course, 118-129.
Robins, L. N. (1966). Deviant children grown up, A Sociological and Psychiatric study of Sociopathic Personality.
Skorikov, V. B., &Vondracek, F. W. (2011). Occupational identity. In Handbook of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 693-714). Springer New York.
Slavin, R. E., &Davis, N. (2006). Education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Smith, L. K., &Southerland, S. A. (2007). Reforming practice or modifying reforms?: Elementary teachers\' response to the tools of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3), 396-423.
Stryker, S., &Burke, P. J. (2000).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n identity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284-297.
Volkmann, M. J., &Anderson, M. A. (1998).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 Dilemmas and metaphors of a first-year chemistry teacher.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Zembylas, M. (2003). Emotions and teacher identity: A poststructural perspective. Teachers and Teaching, 9(3), 213-238.
강대중. (2015).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 Rhizoactivity / Dae Joong Kang. (Routledge research in lifelong learning and adult education). Abingdon, Oxon ; New York, NY: Routledge.
권미경, &김천기. (2015). 교사의 관점에서 본 학부모의 소비자 주권적 태도와 그에 따른 교사의 위축 및 정체성변화. 교육종합연구, 13(3), 83-109.
권진옥, 오진아, 김은하, &한대동. (2015).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근거이론적 접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1), 64-73.
김석례, &손민호. (2011). 초등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교육문화연구, 17(1), 163-194.
김한별. (2008). 초임교사의 학교문화 적응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이해. 평생교육학연구, 14, 21-49.
류태호. (2000).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9(3), 725-739.
양은주. (2007). 교사를 일깨우는 사유. 서울: 문음사.
이경희, &박성희. (2006).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2(3), 73-95.
이동성. (2015). 두 초등학교 남자 교원의 경력 경로 및 경력 발달에 대한 생애사 연구:“우연과 필연의 이중주”. 교사교육연구, 54(1), 102-119.
이두휴. (2005).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5, 205-237.
정금현, &장홍재. (2005). 성장단계에 있는 교사의 지식학습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177-197.
정정훈, &김영천. (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딜레마에 관한 사례 연구. 열린교육연구, 13(2), 71-100.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0.12.17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