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 - 노인성치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론 - 노인성치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1.정의
2.실태
3.원인
4.위험요인
5.증상
6.치료방법
7.치매노인의 부양가족과 사회적 실태
8.서비스개선방안

III.결론

IV.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삶을 살아가도록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홀로된 노인들이 가정에서 상실감에 매여 살지 않도록 국가적인 정책을 통하여 사회문제화 되어가는 노인들의질병문제 즉, 노인들의 치매예방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들이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부터 급격한 노화를 통한건강악화가가 진행되므로 노년에 할 일 즉 노인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하고자 하는 일들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국가는 노인들에게 적절한 일거리를 제공하므로 국가적인 재정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무엇보다 노인들의 안락한 노후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III.결론
치매에 대한 개념과 원인과 증상, 치료법, 부양가족과 사회적 실태 그리고 개선방안 등을 알아보았다. 이처럼 치매는 치매노인과 더불어 부양가족에게까지 여러 어려움을 겪게 한다.
치매에 대해 간단히 개선방안을 다시 살펴보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정부에서는 치매확진을 받은 자에게 월3만원을 지원해주지만 이것은 치매노인을 돌보는데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따라서 정부나 지자체차원에서 치매환자에 대해서 치매의 정도에 따른 차등 지원하여 지원금 수준을 현실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그리고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활성화하여 치매환자를 조기발견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아직까지 치매에 대한 뚜렷한 원인과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치매확진을 받더라도 치매증상이 나아지는 것은 힘들며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정도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치매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여 치매의 원인과 치료법을 하루 빨리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에 노인복지시설을 많지만 치매노인에 관련한 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정부는 치매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치매노인에 대한 노인복지예산을 늘려 치매노인시설과 치매노인에 대한 지원금을 현실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사회적으로도 치매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버리고 노인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성립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하며 부양가족의 부담예방을 위해 장기요양보험이나 간병수당 등 치매노인의 보호비용을 감소시킬 필요성을 국민들이 인식하여야 하며 부양가족들도 그들만의 자조집단을 형성하여 가족만의 문제로만 생각하지 말고 다양한 가족들을 만나봄으로써 여러 정보를 교환하고 전문가가 포함된 자조집단을 통해 치매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케어에 있어 어려운 점을 나누는 등의 긍정적인 집단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치매를 돌보는 것이 그 가족만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국가의 책임도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하며 국가 역시 치매노인들의 지원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하여 현재 상황에 맞게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부록
<치매예방관리 10대 수칙>
1. 손과 입을 바쁘게 움직여라
손과 입은 가장 효율적으로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장치이다. 손놀림을 많이 하고, 음식을 꼭꼭 많이 씹자.
2. 머리를 써라.
활발한 두뇌활동은 치매 발병과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호전시킨다. 두뇌가 활발히 움직이도록 기억하고 배우는 습관을 가지자.
3. 담배는 당신의 뇌도 태운다.
흡연은 만병의 근원으로 뇌 건강에 해롭다. 담배를 피우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안 피우는 경우에 비해 1.5배나 높다.
4. 과도한 음주는 당신의 뇌를 삼킨다.
과도한 음주는 뇌세포를 파괴시켜 기억력을 감퇴시키고, 치매의 원인인 고혈압, 당뇨병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5. 건강한 식습관이 건강한 뇌를 만든다.
짜고 매운 음식은 치매의 원인이 되는 고혈압, 당뇨병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현대인들의 입맛은 짜고 매운 음식에 길들여져 있으므로 조금 싱겁게 먹는 습관을 가지자. 신선한 야채와 과일, 특히 호두, 잣 등 견과류는 뇌기능에 좋으므로 이러한 식품을 적당히 섭취하자.
6. 몸을 움직여야 뇌도 건강하다.
적절한 운동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좋다. 적절한 운동은 치매의 원인이 되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예방하고 증상을 호전시킨다. 일주일에 2회 이상, 30분이 넘게 땀이 날 정도로 운동을 하자.
7. 사람들과 만나고 어울리자.
우울증이 있으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3배나 높아진다. 봉사활동이나 취미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혼자 있지 말고 사람들과 어울려 우울증과 외로움을 피하자.
8. 치매가 의심되면 보건소에 가자.
60세 이상 노인은 보건소에서 무료로 치매조기검진을 받을 수 있다. 치매가 의심되면 가까운 보건소에 가서 상담을 받자.
9. 치매에 걸리면 가능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자.
치매 초기에는 치료 가능성이 높고, 중증으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매는 가능한 빨리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10. 치매 치료관리는 꾸준히 하자.
치매 치료의 효과가 금방 눈에 안 보인다 할지라도 치료관리를 안하고 방치하면 뇌가 망가져 돌이킬 수 없다. 꾸준히 관리하자.
<치매진단방법>
1.MMSE-K(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
24점 이상:정상/20~23점:치매의심/15~19점:경증치매의심/14점 이하:중증치매의심
2.GOS
IV.참고문헌
<기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07525
<사이트>
http://www.edementia.or.kr/main.php(국가치매지식정보포털)
http://library.mw.go.kr/(보건복지부 자료실)
<논문>
· 김현미(2005).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실태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 과학대학원
· 임종철(2008). 노인치매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 문대학원
· 송태관(2006).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및 사회사업적 개입모 형.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관련 자료>
이동우(2012). 치매예방관리사업 교육대회 - 치매개념과 진단
보건복지부(2008). 전국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 보고서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0.12.18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