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진행되는 세 가지 줄기
2. 의문점
Ⅲ. 결론
Ⅱ. 본론
1. 진행되는 세 가지 줄기
2. 의문점
Ⅲ. 결론
본문내용
주 간과했다고 보지는 않으나 다소 미흡하게 처리했다고 평가한다. 필연적인 신자유주의 문제를 간명하게 짚어내는 장면이 있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Ⅲ. 결론
영화 끝 무렵 이 자막이 흘렀다. “금모으기 운동으로 모인 22억 달러는 대기업들의 부채를 갚는데 쓰였다.” 이 문장은 우리에게 묻는다. 왜 부채는 우리의 몫인가...... 돈 빌려서 펑펑 쓰기는 재벌가와 대기업이 쓰고, 갚아야 할 의무는 왜 우리의 몫인가. 재주는 국민이 부리고, 부채를 갚은 결실은 왜 대기업만 따 먹었는가. 기껏 국민이 대기업 부채 갚아줬더니, 왜 대기업은 국민을 파리 목숨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 단가 후려치기를 당하는 하청업자, 산재처리도 제대로 안 해 주는 기계 부품용으로 짓밟았는가.
머리와 마음을 아프게 하는 영화였으나, 이 영화는 희망 한 자락을 남긴다. 한국은행에서 퇴사하여 물러나있던 한시현 역의 김혜수는 또 다른 경제 위기 속에서 돕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녀는 이 끈끈한 부패 구조와 거대한 패권 경제 속에서 또 다칠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그녀와 같은 문제의식과 용기로 사회를 대한다면, 공정과 번영,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진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Ⅲ. 결론
영화 끝 무렵 이 자막이 흘렀다. “금모으기 운동으로 모인 22억 달러는 대기업들의 부채를 갚는데 쓰였다.” 이 문장은 우리에게 묻는다. 왜 부채는 우리의 몫인가...... 돈 빌려서 펑펑 쓰기는 재벌가와 대기업이 쓰고, 갚아야 할 의무는 왜 우리의 몫인가. 재주는 국민이 부리고, 부채를 갚은 결실은 왜 대기업만 따 먹었는가. 기껏 국민이 대기업 부채 갚아줬더니, 왜 대기업은 국민을 파리 목숨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 단가 후려치기를 당하는 하청업자, 산재처리도 제대로 안 해 주는 기계 부품용으로 짓밟았는가.
머리와 마음을 아프게 하는 영화였으나, 이 영화는 희망 한 자락을 남긴다. 한국은행에서 퇴사하여 물러나있던 한시현 역의 김혜수는 또 다른 경제 위기 속에서 돕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녀는 이 끈끈한 부패 구조와 거대한 패권 경제 속에서 또 다칠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그녀와 같은 문제의식과 용기로 사회를 대한다면, 공정과 번영,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진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