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설계 목적 1
Ⅱ. 용접 설계 1
1. 용접방법 선정
2. 용접 준비
3. 용접 변수
Ⅲ. 비파괴 검사 7
Ⅳ. 참고문헌 및 출처 8
Ⅱ. 용접 설계 1
1. 용접방법 선정
2. 용접 준비
3. 용접 변수
Ⅲ. 비파괴 검사 7
Ⅳ. 참고문헌 및 출처 8
본문내용
< 설계 보고서 >
용접 & 비파괴 검사 설계 보고서
< 용접 설계 >
목 차
Ⅰ. 설계 목적1
Ⅱ. 용접 설계1
1. 용접방법 선정
2. 용접 준비
3. 용접 변수
Ⅲ. 비파괴 검사7
Ⅳ. 참고문헌 및 출처8
1. 설계 목적
정확한 용접 설계를 통하여 용접부에 대한 결함을 줄인다.
올바른 비파괴 검사를 통해 용접부 결함을 정확히 알고 보완할 수 있다.
2. 용접 설계
(1) 용접 방법 선정
① 피복 아크 용접
피복 아크 용접(SMAW)은 용융지와 피복 용접봉사이에서 발생된 아크롤 이용하여 용접하는 용접법이다. 이 용접법은 압력의 적용없이 용가재에 피복된 피복제가 분해되면서 실드 분위기가 형성되는 공정으로 탄소아크 용접법 다음으로 개발되었다. 피복 아크 용접은 얇게 피복된 용접봉이나 맨금속을 사용하는 맨금속 아크 용접법이 발전된 것이다. SMAW 용접법은 스틱 용접봉 용접(stick eletrode welding)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래의 그림은 피복아크용접의 일반적인 공정도이다.
< 피복 아크 용접 공정도 >
피복 아크 용접은 위의 그림과 같이 모재와 피복 용접봉 사이의 아크로 구성된다. 아크는 순간적으로 모재에 용접봉을 접촉시키면 발생된다. 아크열은 모재의 표면을 녹여 요융지를 형성한다. 용접봉의 용융된 금속은 용융지로 아크롤 통하여 유입 응고되어 용작 용접 금속이 된다. 종종 용융지를 용접퍼들이라고도 하며 SMAW에 적용하기 위해서 적절히 조절되어야한다. 용융지지 크기와 용입 깊이는 용접사가 용융 금속의 양을 조절하여 결정된다. 만약 전류가 너무 높으면 용입 깊이가 과도하게 되고 용융 용접 금속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다. 빠른 용접 속도는 용융지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만약 용접이 아래보기 자세에서 되지 않으면 용융금속이 용융지를 이탈하고 문제를 발생시킨다. 용접변수와 아크를 조절함으로써 용접사는 용융지를 제어할 수 있다. 용착 용접금속은 용접봉의 피복에 의해 슬래그로 덮히게 된다. 아크 영역은 용접봉에 피복된 물질이 분해하여 얻어지는 실드가스에 의하여 보호된다. 대부분의 용접봉 코어는 아크롤 통하여 이행되지만 작은 입자는 용접부를 이탈하여 스패터를 만든다.
② 용접 자세 및 운봉법
- 용접 자세
피복 아크 용접법은 모든 자세에서 용접이 가능하다. 아래보기 자세, 수직 자세 그리고 위보기 자세에서의 용접은 용접사의 기술이나 용접전류, 용접봉의 종류, 치수 등에 의존한다.
아래보기 용접 선택
용접하려는 재료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세.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자세이며 기초적인 자세로 덧붙이거나 겹쳐서 용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운봉법
운봉법에는 직선 운봉법, 원형 운봉법, 반달 운봉법, 부채꼴 운봉법 등 여러 가지 운봉법이 있으며 숙련도와 특성에 맞게 사용한다.
반달 운봉법 선택
운봉 폭은 심선 지름의 2~3배가 적당하며 쌓고자 하는 비드 폭보다 다소 좁게 운봉 한다.
운봉 간격은 5~6mm가 되게 하며 운봉속도는 중앙은 빠르게 양끝은 느려지게 하여
용접 & 비파괴 검사 설계 보고서
< 용접 설계 >
목 차
Ⅰ. 설계 목적1
Ⅱ. 용접 설계1
1. 용접방법 선정
2. 용접 준비
3. 용접 변수
Ⅲ. 비파괴 검사7
Ⅳ. 참고문헌 및 출처8
1. 설계 목적
정확한 용접 설계를 통하여 용접부에 대한 결함을 줄인다.
올바른 비파괴 검사를 통해 용접부 결함을 정확히 알고 보완할 수 있다.
2. 용접 설계
(1) 용접 방법 선정
① 피복 아크 용접
피복 아크 용접(SMAW)은 용융지와 피복 용접봉사이에서 발생된 아크롤 이용하여 용접하는 용접법이다. 이 용접법은 압력의 적용없이 용가재에 피복된 피복제가 분해되면서 실드 분위기가 형성되는 공정으로 탄소아크 용접법 다음으로 개발되었다. 피복 아크 용접은 얇게 피복된 용접봉이나 맨금속을 사용하는 맨금속 아크 용접법이 발전된 것이다. SMAW 용접법은 스틱 용접봉 용접(stick eletrode welding)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래의 그림은 피복아크용접의 일반적인 공정도이다.
< 피복 아크 용접 공정도 >
피복 아크 용접은 위의 그림과 같이 모재와 피복 용접봉 사이의 아크로 구성된다. 아크는 순간적으로 모재에 용접봉을 접촉시키면 발생된다. 아크열은 모재의 표면을 녹여 요융지를 형성한다. 용접봉의 용융된 금속은 용융지로 아크롤 통하여 유입 응고되어 용작 용접 금속이 된다. 종종 용융지를 용접퍼들이라고도 하며 SMAW에 적용하기 위해서 적절히 조절되어야한다. 용융지지 크기와 용입 깊이는 용접사가 용융 금속의 양을 조절하여 결정된다. 만약 전류가 너무 높으면 용입 깊이가 과도하게 되고 용융 용접 금속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다. 빠른 용접 속도는 용융지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만약 용접이 아래보기 자세에서 되지 않으면 용융금속이 용융지를 이탈하고 문제를 발생시킨다. 용접변수와 아크를 조절함으로써 용접사는 용융지를 제어할 수 있다. 용착 용접금속은 용접봉의 피복에 의해 슬래그로 덮히게 된다. 아크 영역은 용접봉에 피복된 물질이 분해하여 얻어지는 실드가스에 의하여 보호된다. 대부분의 용접봉 코어는 아크롤 통하여 이행되지만 작은 입자는 용접부를 이탈하여 스패터를 만든다.
② 용접 자세 및 운봉법
- 용접 자세
피복 아크 용접법은 모든 자세에서 용접이 가능하다. 아래보기 자세, 수직 자세 그리고 위보기 자세에서의 용접은 용접사의 기술이나 용접전류, 용접봉의 종류, 치수 등에 의존한다.
아래보기 용접 선택
용접하려는 재료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세.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자세이며 기초적인 자세로 덧붙이거나 겹쳐서 용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운봉법
운봉법에는 직선 운봉법, 원형 운봉법, 반달 운봉법, 부채꼴 운봉법 등 여러 가지 운봉법이 있으며 숙련도와 특성에 맞게 사용한다.
반달 운봉법 선택
운봉 폭은 심선 지름의 2~3배가 적당하며 쌓고자 하는 비드 폭보다 다소 좁게 운봉 한다.
운봉 간격은 5~6mm가 되게 하며 운봉속도는 중앙은 빠르게 양끝은 느려지게 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