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를 수입하여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무기 수입국이 되었다. 그 뒤를 이어 3위는 인도, 4위는 오만 순이었다. 그야말로 전쟁 사업이 무기의 확산을 초래하고 무기의 확산이 분쟁을 격화시키며, 이에 따라 무기를 판매하는 나라가 분쟁에 개입하는 식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은 이시카와지마 하리마 중공업이 제작한 1척을 합하면 모두 4척의 이지스함이 건조 되었다. 이 함정은 미국에 특허료를 지불해야 했기 때문에 미국 국내 가격의 거의 2배나 되는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현대판 죽음의 상인이 펼치는 사업은 규모와 무기의 위력 면에서 과거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대량 살상무기를 세계에 퍼뜨리고 있다. 닭과 달걀의 관계처럼, 지구상에서 군수산업이 사라지지 않는 한 전쟁과 분쟁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추천자료
[국제분쟁론] 포클랜드 분쟁 보고서 ( 말비나스(Islas Malvinas)
[국제분쟁론] 포클랜드 분쟁 보고서
국제분쟁론(대테러전쟁, 오바마 재선이 갖는 의미, 중화민족주의, 네트워크 세계정치론, 한반...
[국제분쟁론] 예멘의 내전과 통일이 한반도에 주는 교훈 - 사적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국제경제환경론 공통) 국제 무역에 있어 종교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에 미치는...
국제분쟁론.2017년 북핵미사일 위협과 대한민국의 군사적,외교적, 대응방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가자지구의 특수성
전쟁의 본질과 1990년 이후 전쟁의 6가지 특징
[국제무역정책 공통] 1(20점)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과 중국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무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