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eous Speech / Comprehension / Repetition
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Reading / Writing
Finger Naming / Right-Le Orientation / Calculation / Body Part Identication
Praxis Test: Buccofacial, Ideomotor
3. 시공간 기능
K-MMSE: Drawing
Rey Complex Figure Test (RCFT): Copy
4. 기억
K-MMSE: Registration / Recall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RCFT: Immediate & Delayed Recalls / Recognition
5. 전두엽 / 집행기능
Contrasting Program / Go-No-Go Test
Fist-Edge-Palm /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ng Square & Triangle / Luria Loop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 Semantic (Animal, Supermarket) / - Phonemic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K-CWST)
6. 기타 지표들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
Geriatric Depression Scale
Barthel Active Daily Living (B-ADL)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3.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자신의 육체를 돌보는데 필요한 기술인 기초 일상활동(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기술 + 사회생활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은 도구적이고 복잡한 일상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기술로 구성되어 있음
IADL
인간이 사람을 만나고 일을 하고 집단에 참여하는 등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일상활동 기술로서 ADL기술에 비하여 좀 더 복잡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요구됨. 돈 관리, 대중교통이용, 약속 지키기, 집안 일, 몸단장, 전화사용 등 =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행위
IADL : 일상활동-복합 / ADL : 일상활동-기초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10~15분 소요
최근 한 달간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응답하도록 하며, 각 문항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 과 함께 필요한 경우 세부적인 질문을 해서 정확성을 기하도록 해야 함.
S-IADL은 0~3점 척도로 15문항으로 구성됨(0~45점)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생활에 필요한 도구적 일상활동에서의 수행이 저하되었음을 의미
초기치매 뿐 아니라 말기치매까지도 치매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
▶혼자 가능 : 도움이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상관없는 경우
▶약간 도움이 필요 : 할 수 있는데 조금씩 물어보는 경우
▶많은 도움이 필요 : 계속 알려주어도 혼자서는 아주 어려워 계속 물어보는 경우
▶해당 없음 : 최근 5~6개월 안에 이 일을 할 일이 없었던 경우, 할 이유가 없었던 경우
4. 일상활동평가-기초(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
개인이 자신의 육체를 돌보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본 기술로서 식사, 보행, 목욕, 용변 과 같은 신체적인 자기관리활동을 의미
임상단계에서 중기를 지난 치매 환자의 임상적인 경과와 변화를 평가하고 비교하는데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5~10분 소요
임상가가 환자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실시 함
환자의 최근 한 달 동안의 상태를 고려하여 대답하도록 함
총 12문항(0~2점 총 24점)으로 이루어짐
5.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기억력, 지남력,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사회활동, 집안생활과 취미, 위생과 몸치장의 6 가지 영역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치매 임상단계를 5단계로 평정하도록 구성
CDR을 통해서 임상가는 환자의 치매 정도를 판단하고, 치료계획을 설정하며, 치료에 따 른 변화를 평가해볼 수도 있음.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5~10분 소요
반구조화된 면담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 (워크시트지(보호자용,환자용)+추가질문
6. 전반적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나 치매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심각도를 7단계로 평정
시간에 따른 환자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어서 치료의 경과나 예후를 평가하는데 유용
치매의 진행과정에 따른 단계 설정이므로 일부 환자의 경우 그 결과에 따라 다른 질환과 감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적용하기가 매우 간편하고 소요시간이 짧으며, 교육 수준이나 문화, 사회, 경제적 수준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임상가는 GDS를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환자의 임상 양상, 인지기능장애의 정도와 일상 활동의 장애 정도를 충분히 평가해야 함
▶CDR 0 GDS 1 : 거의 이상 없는 상태
▶CDR 0.5 GDS 2~3 : 정상 ~ 경도 치매
▶CDR 1 GDS 4~5 : 중등도의 치매
▶CDR 2 GDS 6 : 중증 치매
▶CDR 3 GDS 7 : 후기 중증 치매
참고문헌
신경심리평가(1998). 신경심리연구회. 고려의학
인지신경과학(2014). 김명선 외 3. 박학사
임상신경심리학의 기초. Christopher M. Filley. 시그마프레스
임상실제에서의 신경심리학, Jamer M. Ellison, 신경정신역구회 역, 하나의 학사
의미치매(2005), 김은주 외 2,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전두측두엽치매(2016), 전병선, 박준혁, Korean J Biol Psychiatry
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Reading / Writing
Finger Naming / Right-Le Orientation / Calculation / Body Part Identication
Praxis Test: Buccofacial, Ideomotor
3. 시공간 기능
K-MMSE: Drawing
Rey Complex Figure Test (RCFT): Copy
4. 기억
K-MMSE: Registration / Recall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RCFT: Immediate & Delayed Recalls / Recognition
5. 전두엽 / 집행기능
Contrasting Program / Go-No-Go Test
Fist-Edge-Palm /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ng Square & Triangle / Luria Loop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 Semantic (Animal, Supermarket) / - Phonemic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K-CWST)
6. 기타 지표들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
Geriatric Depression Scale
Barthel Active Daily Living (B-ADL)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3.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자신의 육체를 돌보는데 필요한 기술인 기초 일상활동(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기술 + 사회생활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은 도구적이고 복잡한 일상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기술로 구성되어 있음
IADL
인간이 사람을 만나고 일을 하고 집단에 참여하는 등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일상활동 기술로서 ADL기술에 비하여 좀 더 복잡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요구됨. 돈 관리, 대중교통이용, 약속 지키기, 집안 일, 몸단장, 전화사용 등 =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행위
IADL : 일상활동-복합 / ADL : 일상활동-기초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10~15분 소요
최근 한 달간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응답하도록 하며, 각 문항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 과 함께 필요한 경우 세부적인 질문을 해서 정확성을 기하도록 해야 함.
S-IADL은 0~3점 척도로 15문항으로 구성됨(0~45점)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생활에 필요한 도구적 일상활동에서의 수행이 저하되었음을 의미
초기치매 뿐 아니라 말기치매까지도 치매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
▶혼자 가능 : 도움이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상관없는 경우
▶약간 도움이 필요 : 할 수 있는데 조금씩 물어보는 경우
▶많은 도움이 필요 : 계속 알려주어도 혼자서는 아주 어려워 계속 물어보는 경우
▶해당 없음 : 최근 5~6개월 안에 이 일을 할 일이 없었던 경우, 할 이유가 없었던 경우
4. 일상활동평가-기초(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
개인이 자신의 육체를 돌보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본 기술로서 식사, 보행, 목욕, 용변 과 같은 신체적인 자기관리활동을 의미
임상단계에서 중기를 지난 치매 환자의 임상적인 경과와 변화를 평가하고 비교하는데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5~10분 소요
임상가가 환자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실시 함
환자의 최근 한 달 동안의 상태를 고려하여 대답하도록 함
총 12문항(0~2점 총 24점)으로 이루어짐
5.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기억력, 지남력,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사회활동, 집안생활과 취미, 위생과 몸치장의 6 가지 영역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치매 임상단계를 5단계로 평정하도록 구성
CDR을 통해서 임상가는 환자의 치매 정도를 판단하고, 치료계획을 설정하며, 치료에 따 른 변화를 평가해볼 수도 있음.
치매 환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에 적용
약 5~10분 소요
반구조화된 면담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 (워크시트지(보호자용,환자용)+추가질문
6. 전반적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나 치매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심각도를 7단계로 평정
시간에 따른 환자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어서 치료의 경과나 예후를 평가하는데 유용
치매의 진행과정에 따른 단계 설정이므로 일부 환자의 경우 그 결과에 따라 다른 질환과 감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적용하기가 매우 간편하고 소요시간이 짧으며, 교육 수준이나 문화, 사회, 경제적 수준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임상가는 GDS를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환자의 임상 양상, 인지기능장애의 정도와 일상 활동의 장애 정도를 충분히 평가해야 함
▶CDR 0 GDS 1 : 거의 이상 없는 상태
▶CDR 0.5 GDS 2~3 : 정상 ~ 경도 치매
▶CDR 1 GDS 4~5 : 중등도의 치매
▶CDR 2 GDS 6 : 중증 치매
▶CDR 3 GDS 7 : 후기 중증 치매
참고문헌
신경심리평가(1998). 신경심리연구회. 고려의학
인지신경과학(2014). 김명선 외 3. 박학사
임상신경심리학의 기초. Christopher M. Filley. 시그마프레스
임상실제에서의 신경심리학, Jamer M. Ellison, 신경정신역구회 역, 하나의 학사
의미치매(2005), 김은주 외 2,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전두측두엽치매(2016), 전병선, 박준혁, Korean J Biol Psychiatry
추천자료
치매의 원인과 치료방법
치매노인의 건강관리방안 실증분석
제3장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
♡ 퇴행성 질환과 간호 ♡ - 파킨슨,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만성 진행성 무도병...
[노년기 인지발달] 노년기의 인지적 변화(지능변화 지적능력의 변화 기억능력변화 기억장애 ...
[노년기 발달특성] 노년기의 신체적 기능의 변화 지적기능의 변화 적긍행동양식의 변화 노화...
청소년기와 노년기의 발달적 특징
[치매의 유형] 전두측두엽 퇴행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치매 알코올성 치매
[인간발달] 태내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초기 성인중기 성인후기 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