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진단기준
3. 부수적 특징
4. 원인
5. 치료
6. 감별진단
7. 동반이환
2. 진단기준
3. 부수적 특징
4. 원인
5. 치료
6. 감별진단
7. 동반이환
본문내용
등이 알려져 있다.
2) 진단적 특징
- 현저한 강박사고, 강박행동, 외모에 대한 집착, 수집광 증상, 털뽑기, 피부뜯기 또는 다른 신체에 집중된 반복적 행동들이 포함(진단기준 A)
- 증상들이 관련 의학 상태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는 판단은 병력과 신체 검진과 검사실 결과에 반드시 근거(진단기준 B)
- 증상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진단기준 C)
- 만약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한다면 진단하지 않음(진단기준 D)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및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 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진단기준 E)
- 관련된 의학적 상태가 반드시 존재 + 증상이 의학적 상태와 인과관계
- 원발성 강박 및 관련 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 또는 다른 정신질 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3) 발달과 경과
- 발병과 경과는 기저 질병의 경과에 일반적으로 따르게 된다.
4) 감별진단
- 섬망 : 섬망의 경과 중에만 장애가 발생한다면 별개로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진단은 하지 않음
- 혼합 증상 발현(예, 기분 증상과 강박 및 관련 장애 증상) : 만약 증상 발현이 몇 가지 다른 증상 종류의 혼합으로 나타난다면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구체적인 정신질환은 임상 양상에서 어느 증상이 더 지배적인지에 따르게 된다.
- 물질 /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 : 물질 중독이나 금단 중이거나 직후(4주 내로)에 나타나거나, 또는 치료약물 사용 후에 나타나는 증상은 그들의 종류, 기간, 그리 고 사용된 물질의 용량에 따라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진단
- 강박 및 관련 장애(원발성) : 원발성 정신질환에서는 의학적 상태와 관련된 어떤 구체 적이거나 직접적 원인이 될 만한 생리학적 기전이 밝혀지지 않아야 함
- 질병불안장애 : 질병불안장애는 심각한 질병을 가졌거나 얻게 될까 봐 과도하게 집착하 는 것이 특징이며, 의학적 상태가 같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다른 정신질환의 부수적 특징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은 조현병이나 신경성 식욕부 진증과 같은 다른 정신질환의 관련된 특성일 수도 있음
- 달리 명시된, 또는 명시되지 않는 강박 및 관련 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이 일 차적인 것인지, 물질로 유발된 것인지,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인지가 불분명할 경우에 내려짐
2) 진단적 특징
- 현저한 강박사고, 강박행동, 외모에 대한 집착, 수집광 증상, 털뽑기, 피부뜯기 또는 다른 신체에 집중된 반복적 행동들이 포함(진단기준 A)
- 증상들이 관련 의학 상태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는 판단은 병력과 신체 검진과 검사실 결과에 반드시 근거(진단기준 B)
- 증상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진단기준 C)
- 만약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한다면 진단하지 않음(진단기준 D)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및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 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진단기준 E)
- 관련된 의학적 상태가 반드시 존재 + 증상이 의학적 상태와 인과관계
- 원발성 강박 및 관련 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 또는 다른 정신질 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3) 발달과 경과
- 발병과 경과는 기저 질병의 경과에 일반적으로 따르게 된다.
4) 감별진단
- 섬망 : 섬망의 경과 중에만 장애가 발생한다면 별개로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진단은 하지 않음
- 혼합 증상 발현(예, 기분 증상과 강박 및 관련 장애 증상) : 만약 증상 발현이 몇 가지 다른 증상 종류의 혼합으로 나타난다면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구체적인 정신질환은 임상 양상에서 어느 증상이 더 지배적인지에 따르게 된다.
- 물질 /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 : 물질 중독이나 금단 중이거나 직후(4주 내로)에 나타나거나, 또는 치료약물 사용 후에 나타나는 증상은 그들의 종류, 기간, 그리 고 사용된 물질의 용량에 따라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진단
- 강박 및 관련 장애(원발성) : 원발성 정신질환에서는 의학적 상태와 관련된 어떤 구체 적이거나 직접적 원인이 될 만한 생리학적 기전이 밝혀지지 않아야 함
- 질병불안장애 : 질병불안장애는 심각한 질병을 가졌거나 얻게 될까 봐 과도하게 집착하 는 것이 특징이며, 의학적 상태가 같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다른 정신질환의 부수적 특징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은 조현병이나 신경성 식욕부 진증과 같은 다른 정신질환의 관련된 특성일 수도 있음
- 달리 명시된, 또는 명시되지 않는 강박 및 관련 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증상이 일 차적인 것인지, 물질로 유발된 것인지,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인지가 불분명할 경우에 내려짐
추천자료
정신장애의 원인 및 분류와 그 유형
[이상심리] 신체형 장애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안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정서 및 행동장애 정서장애 행동장애 ADHD 틱 섭식장애 배설장애 장애
[정신건강론] 불안장애의 정의와 종류 및 불안장애별 원인과 치료, 경과 및 예후
[놀이치료]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Oppositional-Defiant Disord...
3 이상심리학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정신장애의 유형(정신건강과 관련된 장애유형 개념 및 특징)
강박 및 관련 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