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1차 뉴딜
3. 2차 뉴딜
4. 뉴딜정책의 결과와 평가
2. 1차 뉴딜
3. 2차 뉴딜
4. 뉴딜정책의 결과와 평가
본문내용
많은 측면에서 많은 비판들이 나온 것이며 반대로 부의 분배, 각 산업의 효율적인 균형 형성, 국가 위기 상황에서의 올바른 정부의 개입 선례를 남겼다는 점 등의 긍정적인 평가도 많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들을 떠나, 뉴딜 정책이 실제 미국 사회에 남긴 영향은 그야말로 막대했다. 뉴딜 정책의 복지 사회로의 방향성 제시는 이후 공화당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집권하고도 관련 정책이 이어졌으며, 더 멀리 보자면 린든 B. 존슨의 \'위대한 사회\'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도 미국의 자본주의는 정부의 간섭을 배제하는 방임 주의적 체제에서 계획 경제적 요소가 섞인 혼합경제로 성격이 변하게 된다. 실제 미국에 영향을 받은 서구권과 일본, 한국 등의 경우에도 불황이 오면 정부가 개입한다는 것은 이젠 좌우 가리지 않고 당연시되고 있다. 사실 뉴딜 정책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미국이 자본주의 경제를 포기하지 않고 국가의 개입으로 자체 치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정책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대공황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미국도 다른 국가들처럼 파시즘이나 볼셰비즘 같은 극단적인 방향으로 사회가 치닫게 될 수도 있었지만, 국민들에게 대공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 사회 내 극단주의자들의 성장을 억제하고 큰 틀에서의 기존 체제를 지켜내어 결국 2차 대전을 통해 미국이 세계 초강대국으로 발돋움하게 했고, 전후의 번영을 누리게 되는 발판도 마련시켰다. 결과적으로 따지고 보자면 \'사회주의 정책\'이라는 일부의 편협한 시각과는 달리 진정으로 자본주의를 수호하고 나아가 황금기를 구가시킨 정책이었던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