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분석
6. 참고문헌
2. 실험원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분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험 결과
재질
총 질량
경사면각도()
정지마찰계수()
나무(대)
0.08kg
0.364
질량 추가된 나무(대)
0.2kg
(0.08kg+0.12kg)
0.466
나무(소)
0.08kg
(0.078kg+0.002kg)
0.268
질량 추가된 나무(소)
0.2kg (0.078kg+0.002kg+0.12kg)
0.344
금속(대)
0.382kg (0.381kg+0.001kg)
0.176
질량 추가된 금속(대)
0.482kg (0.381kg+0.001kg+0.1kg)
0.158
금속(소)
0.382kg
0.176
질량 추가된 금속(소)
0.482kg
(0.382kg+0.1kg)
0.158
플라스틱(대)
0.202kg
0.158
질량 추가된 플라스틱(대)
0.302kg
(0.202kg+0.1kg)
0.141
플라스틱(소)
0.202kg
0.176
질량 추가된 플라스틱(소)
0.302kg
(0.202kg+0.1kg)
0.158
표 1 실험 결과
(1) 실험데이터 분석
1) 나무 재질
2) 금속 재질
3) 플라스틱 재질
(2) 실험결과 분석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재질의 비탈면을 이용하여 비탈면재질과 그 위에 얹힌 물체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을 구하여 정지마찰계수를 결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오차가 생겼다. 왜냐하면 각 물체를 비탈면 위에 둘 때 위치가 정확하게 놓이지 않았을 것이며, 비탈면을 올릴 때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았을 것이고, 알루미늄 비탈면 실험장치가 여러 번 사용이 되어져 표면이 매끈매끈해졌을 것이다. 그리고 물체를 올릴 때 그 물체에 손때가 묻었을 것이며 미끄러지는 순간과 그 때의 각도를 눈으로는 정확하게 재기가 힘들다. 또한 유효숫자를 고려해야하므로 오차가 날 수 밖에 없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이 장갑을 껴서 기름이나 때를 묻지 않게 하며 비탈면 실험 장치에 작은 선을 그려서 거기서부터 시작하게 하여 위치를 최대한으로 안 변하게 하며 비탈면을 올릴 때 최대한 천천히 조심히 올리도록 실험을 해야 한다. 또한 각도기를 전자각도기로 바꾸어 더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험을 여러 번해서 그것의 평균을 내어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경사면 실험 장치를 크게 하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6. 참고문헌
[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3312&cid=40942&categoryId=32229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829&cid=40942&categoryId=32227
[3]http://koreasci.com/product/%EA%B2%BD%EC%82%AC%EB%A9%B4-%EC%8B%A4%ED%97%98/3352/
[4] http://www.physics-edu.com/bbs/board.php?bo_table=com02_5&wr_id=16
[5] http://sskyish.tistory.com/14
재질
총 질량
경사면각도()
정지마찰계수()
나무(대)
0.08kg
0.364
질량 추가된 나무(대)
0.2kg
(0.08kg+0.12kg)
0.466
나무(소)
0.08kg
(0.078kg+0.002kg)
0.268
질량 추가된 나무(소)
0.2kg (0.078kg+0.002kg+0.12kg)
0.344
금속(대)
0.382kg (0.381kg+0.001kg)
0.176
질량 추가된 금속(대)
0.482kg (0.381kg+0.001kg+0.1kg)
0.158
금속(소)
0.382kg
0.176
질량 추가된 금속(소)
0.482kg
(0.382kg+0.1kg)
0.158
플라스틱(대)
0.202kg
0.158
질량 추가된 플라스틱(대)
0.302kg
(0.202kg+0.1kg)
0.141
플라스틱(소)
0.202kg
0.176
질량 추가된 플라스틱(소)
0.302kg
(0.202kg+0.1kg)
0.158
표 1 실험 결과
(1) 실험데이터 분석
1) 나무 재질
2) 금속 재질
3) 플라스틱 재질
(2) 실험결과 분석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재질의 비탈면을 이용하여 비탈면재질과 그 위에 얹힌 물체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을 구하여 정지마찰계수를 결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오차가 생겼다. 왜냐하면 각 물체를 비탈면 위에 둘 때 위치가 정확하게 놓이지 않았을 것이며, 비탈면을 올릴 때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았을 것이고, 알루미늄 비탈면 실험장치가 여러 번 사용이 되어져 표면이 매끈매끈해졌을 것이다. 그리고 물체를 올릴 때 그 물체에 손때가 묻었을 것이며 미끄러지는 순간과 그 때의 각도를 눈으로는 정확하게 재기가 힘들다. 또한 유효숫자를 고려해야하므로 오차가 날 수 밖에 없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이 장갑을 껴서 기름이나 때를 묻지 않게 하며 비탈면 실험 장치에 작은 선을 그려서 거기서부터 시작하게 하여 위치를 최대한으로 안 변하게 하며 비탈면을 올릴 때 최대한 천천히 조심히 올리도록 실험을 해야 한다. 또한 각도기를 전자각도기로 바꾸어 더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험을 여러 번해서 그것의 평균을 내어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경사면 실험 장치를 크게 하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6. 참고문헌
[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3312&cid=40942&categoryId=32229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829&cid=40942&categoryId=32227
[3]http://koreasci.com/product/%EA%B2%BD%EC%82%AC%EB%A9%B4-%EC%8B%A4%ED%97%98/3352/
[4] http://www.physics-edu.com/bbs/board.php?bo_table=com02_5&wr_id=16
[5] http://sskyish.tistory.com/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