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1)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2) 분산계(Disperse system)
3) 콜로이드(Colloid)
4) BPO
5) PVA
6) BPO 개시제 메커니즘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1) IR 그래프
(2) DSC 그래프
(3) TGA 그래프
6. 고찰
- 일상생활에 쓰이는 현탁중합으로 제조된 고분자에 대해서 알아본다.
- 유화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 각각의 분산계와 관련된 물질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7. 참고문헌
2. 실험원리
1)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2) 분산계(Disperse system)
3) 콜로이드(Colloid)
4) BPO
5) PVA
6) BPO 개시제 메커니즘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1) IR 그래프
(2) DSC 그래프
(3) TGA 그래프
6. 고찰
- 일상생활에 쓰이는 현탁중합으로 제조된 고분자에 대해서 알아본다.
- 유화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 각각의 분산계와 관련된 물질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7. 참고문헌
본문내용
inyl alcohol)(PVA)이다. 현재까지 전구체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VAc))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PVAc는 그 자체로도 목재용, 제지용, 부직포 바인더, 연마제, 수지가공제 등의 접착제로도 쓰인다. PVA는 그 자체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어서 비닐에스테르 계열의 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들을 알칼리나 산에 의해 가수분해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 유화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는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물에 유화시키는 방법으로 중화열을 쉽게 조절 가능하며, 점도 조절이 쉽고 균일하게 반응을 하여 높은 중합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분자량 조절이 가능하지만 중합한 다음에는 정제가 필요하며 유화제나 계면 활성제 등을 완전히 제거가 어렵다.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은 단량체와 개시제를 비활성 매질 속에서 0.01~1mm 정도의 크기로 분산시켜서 중합하는 것으로, 중합열의 제거가 쉽고, 고분자 크기가 작아서 편리하고, 낮은 밀도이지만 생산량이 적고, 연속 공정이 어려우며 단량체를 분산시켜야 하므로 계속 휘저어 주어야 한다.
즉, 유화 중합은 물, 단량체, 계면 활성제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에멀젼으로 시작하는 라디칼 중합의 형태이지만, 현탁 중합은 분산 매질, 단량체, 안정화제, 개시제가 필요하고 기계적 교반이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이다.
- 각각의 분산계와 관련된 물질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분산계는 서로 녹을 수 없는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원자나 분자단위가 섞여 있으면 콜로이드 분산계라고 하며 이보다 더 큰 미립자가 섞여 있으면 조립자분산계라고 한다. (실험 원리 2-3 참고)
7. 참고문헌
[1] 염정현,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은 중공 미세입자의 제조, 2011년도
[2] 노석균 외 3명, 다양한 분자변수를 갖는 PVA 수지의 합성 및 응용, 2004년도
[3] betweenmates의 기사(뉴스), 현탁중합과 유화 중합의 차이점,
https://ko.betweenmates.com/difference-between-suspension
[4] 사이언스올, 분산계,
https://www.scienceall.com/%eb%b6%84%ec%82%b0%ea%b3%84disperse-system/
[5] 한솔케미칼, BPO의 성질,
https://www.hansolchemical.com/front/contents/contents.do?menuCd=1020700
[6] 현탁중합, https://chemup.tistory.com/722
[7] 콜로이드, https://www.scienceall.com/%EC%BD%9C%EB%A1%9C%EC%9D%B4%EB%93%9Ccolloid/
[8] 분산계, https://www.scienceall.com/%EB%B6%84%EC%82%B0%EA%B3%84disperse-system/
- 유화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는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물에 유화시키는 방법으로 중화열을 쉽게 조절 가능하며, 점도 조절이 쉽고 균일하게 반응을 하여 높은 중합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분자량 조절이 가능하지만 중합한 다음에는 정제가 필요하며 유화제나 계면 활성제 등을 완전히 제거가 어렵다.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은 단량체와 개시제를 비활성 매질 속에서 0.01~1mm 정도의 크기로 분산시켜서 중합하는 것으로, 중합열의 제거가 쉽고, 고분자 크기가 작아서 편리하고, 낮은 밀도이지만 생산량이 적고, 연속 공정이 어려우며 단량체를 분산시켜야 하므로 계속 휘저어 주어야 한다.
즉, 유화 중합은 물, 단량체, 계면 활성제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에멀젼으로 시작하는 라디칼 중합의 형태이지만, 현탁 중합은 분산 매질, 단량체, 안정화제, 개시제가 필요하고 기계적 교반이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이다.
- 각각의 분산계와 관련된 물질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분산계는 서로 녹을 수 없는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원자나 분자단위가 섞여 있으면 콜로이드 분산계라고 하며 이보다 더 큰 미립자가 섞여 있으면 조립자분산계라고 한다. (실험 원리 2-3 참고)
7. 참고문헌
[1] 염정현,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은 중공 미세입자의 제조, 2011년도
[2] 노석균 외 3명, 다양한 분자변수를 갖는 PVA 수지의 합성 및 응용, 2004년도
[3] betweenmates의 기사(뉴스), 현탁중합과 유화 중합의 차이점,
https://ko.betweenmates.com/difference-between-suspension
[4] 사이언스올, 분산계,
https://www.scienceall.com/%eb%b6%84%ec%82%b0%ea%b3%84disperse-system/
[5] 한솔케미칼, BPO의 성질,
https://www.hansolchemical.com/front/contents/contents.do?menuCd=1020700
[6] 현탁중합, https://chemup.tistory.com/722
[7] 콜로이드, https://www.scienceall.com/%EC%BD%9C%EB%A1%9C%EC%9D%B4%EB%93%9Ccolloid/
[8] 분산계, https://www.scienceall.com/%EB%B6%84%EC%82%B0%EA%B3%84disperse-system/
추천자료
[결과보고서]PMMA(Polymethyl methacrylate)중합
[중합공학실험 1] Bulk Polymerization of PMMA_결과레포트
[중합공학실험 1] Emulsion Polymerization of PS_결과레포트
[중합공학실험 1] Solution Polymerization of PS_결과레포트
[중합공학실험 1] Solution Polymerization of PS_예비레포트
[중합공학실험 1]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PMMA_결과레포트
[중합공학실험 1] Solution Polymerization of PS
[중합공학실험 1] Emulsion Polymerization of PS
[중합공학실험 1] Bulk Polymerization of PMM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