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과관계 조사의 정의와 목적
2. 인관관계의 성립조건
I. 시간적 우선성
II. 상관관계(공변성)
III. 제삼의 변수 배제(통제)
* 참고문헌
2. 인관관계의 성립조건
I. 시간적 우선성
II. 상관관계(공변성)
III. 제삼의 변수 배제(통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일단은 공변성과 시간적 우선성은 그다지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 실시\'라는 변화와 \'비행률\'의 변화가 함께 나타났으므로 공변성이 있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에 비행률이 줄었으므로 시간적 우선성도 보여 줄 수 있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램 실시가 비행률 감소에 대한 원인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위의 경험적 근거만으로는 프로그램이 비행률 감소에 대한 원인이 되었다고 입증할 수 없다. 인과관계 추론에 필요한 \'통제\'조건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실시와 비행률 감소는 분명한 사실이고, 프로그램이 그에 앞서 실시되었음이 확인되지만, 비행률 감소가 과연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라\'프로그램 실시 때문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는다. 혹시 우연히 비행률이 감소한 것은 아니었는지, 프로그램 후의 조사 시점이 하필이면 비행률이 낮은 시기가 아니었는지, 그 지역사회에 프로그램말고도 다른 관련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그 지역사회에 프로그램말고도 다른 관련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등과 같은 의문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문들 때문에 한 프로그램이 비행률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는 효과성 주장 혹은 인과관계의 주장은 경험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한다.
이처럼 제 삼의 변수를 배제한 상태에서 두 변수간의 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학에서 이런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란 쉬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많은 선행연구논문의 검토와 연구조사의 변수 간 인과관계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면밀하고 깊이 있는 사색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이처럼 제 삼의 변수를 배제한 상태에서 두 변수간의 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학에서 이런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란 쉬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많은 선행연구논문의 검토와 연구조사의 변수 간 인과관계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면밀하고 깊이 있는 사색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