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터미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컨테이너 터미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능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비요건
컨테이너터미널의 구성요소
컨테이너터미널의 작업영역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본문내용

Carrier System)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에서 크레인으로 에이프런에 직접 내리고 스트래들 캐리어로 운반하는 방식이다.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은 컨테이너를 2-3단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고, 터미널 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운반이나 적재에 융통성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어 장비 보수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며, 아스팔트의 손상율이 높고, 장비와 컨테이너의 파손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다)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컨테이너선에서 야드의 샤시에 탑재한 컨테이너를 마셜링 야드에 이동시켜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장치하는 방식이다. 트랜스테이너 방식은 좁은 면적의 야드를 가진 터미널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며, 일정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전산화에 의한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트렉터와 트랜스퍼 크레인의 결합에 의해서 안전도가 높고 운행비가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에 비하여 훨씬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 할 수 없어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라) 혼합 방식(Mixed System)
수입 컨테이너를 이동할 때는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수출 컨테이너를 야드에서 선측까지 운반할 때는 트랜스테이너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식이다.
(마) 지게차에 의한 방식
톱 핸들러(Top Handler) 또는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등의 대형 지게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장비의 특성상 융통성이 매우 좋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1.01.28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