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암(peritoneal cancer)케이스 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막암(peritoneal cancer)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및 문헌고찰
1. 원발부위 불명암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CUPS)
2. 복막종양 (Peritoneal carcinomatosis)
3,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Ⅱ. 간호력
(1) 입원과 관련된 정보
(2) 일반적인 건강관리 양상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Problem List

Ⅵ.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음) 이 체크되었다. 목표는 부분달성 되었으며, 대상자의 욕창이 재발하지 않게 진단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간호 수행과 평가가 요구된다.
간호진단
2# 식욕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 영양부족
일 시
2017.3.17. 14:00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입맛 없다”
“밥이 넘어가지 않아”
“특히 병원밥은 맛 없어서 먹기 싫어”
“2주만에 살이 8kg이 빠졌어”
“먹으면 변 봐야한다는게 생각나서 식욕이 뚝 떨어져”
“몸이 계속 쿡쿡 쑤시는데 입맛이 있겠어?”
Na 134mEq/L (감소)
K 3.4mEq/L (감소)
Cl 96mEq/L (감소)
Albumin 3.0 (감소)
1)lab data (영양상태 저하 객관적 지표)
2) 고관절 NRS 3점 checked
3) Hb 8.6g/dL (감소)
4) RBC 2.92M/uL (감소)
5) Hct 26.70% (감소)
6) 69세
7) 매 식사를 드시지 않거나 1/2이상 남기는
모습을 관찰함
8) CC: melena 혈변
9) 고관절 NRS 3점 checked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퇴원시 까지, 대상자는 식사를 모두 섭취할 것 이다.
1주일 이내 대상자의 체중이 1kg 이상 증가 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식사량을 매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① 대상자의 식사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② 매일 아침 9시,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② 대상자의 체중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③ 대상자의 식욕 부진의 원인을 파악한다.
③ 원인을 파악하여 대처하면 식욕부진이 사라질 수 있다.
④ 대상자의 기호음식을 파악하여 기호음식을 제공한다.
④ 기호음식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최소 열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식사시간에 대상자와 함께 하여 대상자에게 좋은 식사환경을 조성할 것을 교육한다.
⑤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사환경은 대상자의 입맛을 돋굴 수 있다.
⑥ 너무 많은 음식을 한꺼번에 주지 않고 소량씩 먹도록 한다.
⑥ 너무 많은 음식은 대상자가 거부감을 느껴 섭취하지 않을 수 있다.
⑦ 대상자의 식사시간 30분 전에 진통제를 제공한다.
⑦ 통증으로 인한 식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⑧ 필요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Encover Soln를 제공한다.
⑧ Encover Soln은 영양제로 대상자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식사량을 매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3/17
3/20
3/21
3/22
아침
1/4정도 식사
1/3정도 식사
1/3정도 식사
1/3정도 식사
점심
1/2정도 식사
1/3정도 식사
1/2정도 식사
2/3정도 식사
저녁
1/3정도 식사
1/3정도 식사
2/3정도 식사
2/3정도 식사
간식
복숭아 반쪽
사탕 2알, 붕어빵1개
주스1개, 붕어빵2개
주스1개, 딸기
② 매일 아침 9시,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3/17
3/20
3/21
3/22
체중
54.4
54.9
55.0
55.2
③ 대상자의 식욕 부진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대상자의 식욕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항암화학요법이였다. 그 외에 병원에 대한 거부감, 통증, 걱정
④ 대상자의 기호음식을 파악하여 기호음식을 제공한다.
-현재 대상자가 가장 먹고싶은 음식은 복숭아였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복숭아를 대상자에게 제공하
는 것이 좋을 것 이라고 말하였다. 이후, 대상자가 먹고 싶은 음식이 생각나면 즉시 보호자에게 말을
할 것을 격려하였다. 대상자가 언제든지 먹을 수 있도록 대상자의 주변에 두는 것이 좋다고 말하였다.
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식사시간에 대상자와 함께 하여 대상자에게 좋은 식사환경을 조성할 것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식사시간에 대상자의 보호자가 같이 식사를 하고 음식을 제공 할 때 마다 배가 고픈지 묻
는 것 보다는 긍정적인 말을 하는 것이 좋음을 교육하였다.
-대상자와 식사를 하기 10분 전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고, 대상자에게 스크린을 치고 식
사를 하고 싶은지를 묻는 것이 좋음을 교육하였다.
⑥ 너무 많은 음식을 한꺼번에 주지 않고 소량씩 먹도록 한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너무 많은 음식을 한꺼번에 주면 대상자가 음식 섭취에 대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니 소량씩 먹는 것이 좋은 것과 이를 위해 대상자가 식사를 적게 하더라도 이에 대하여 대상자
에게 말하지 말고 틈틈이 간식을 주는 것이 좋다고 교육하였다.
⑦ 대상자의 식사시간 30분 전에 진통제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식사시간 30분 전에 진통제(Oxycontin Cr)를 제공하였다. 그 외 대상자의 식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Tab Dages Cap: 식욕감퇴 적응증, Motilitone: 기능성 소화불량 적응증)을 제공하
였다.
⑧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Encover Soln을 제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약을 섭취 할 때 대상자가 복통을 느끼면 물과 반반 섞어서 제공하였다.
간호 평가
3월 21일, 진단 4일째 대상자는 체중이 0.6kg 증가하였다. 3월 21일, 대상자의 몇 가지 전해질(Na 136, K 3.7, Albumin 3.3)이 증가하였다.
Ⅶ 결론
간호사 선생님들이 인계하는 것을 하나라도 이해해보고자 열심히 귀를 기울일 때에는 의학용어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선생님들이 주사를 놓는 것을 관찰 할 때에는 해부학의 중요함과 기본간호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4학년으로써 곧 임상현장에 들어서야 하는 만큼 간호사 선생님들의 모든 간호를 집중해서 관찰하였다. 투약이나 ragurator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고 무슨 질문에도 답해주시는 선생님들 덕분에 다른 실습지 보다 많은 것을 배웠던 것 같다. 비록 모든 약물을 인지 하진 못했지만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친절하게 환자분들게 설명해주시는 것을 들으며 많은 공부가 되었던 것 같다.
Ⅷ참고문헌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 (2014). 개정3판 인체해부학. 현문사. - 303~304p
조경숙 외. (2013). 개정6판 성인간호학. 현문사. - 477~478p
김정혜 외. (2013). 병리학. 정담미디어. - 273~274p
국가암 정보센터 - http://www.cancer.go.kr/mbs/cancer
  • 가격1,5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21.02.02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