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목차
제1부 기하공차의 개요
제1장 기하공차의 배경 ***************** 1-3
제2장 기하공차의 체계 개요 ************* 1-15
참 고: 일반원리 *********************** 1-34
제3장 단독형체에 적용하는 형상공차 ************ 2-37
3.1 진직도 ************ 2-38
3.2 평면도 ************ 2-43
3.3 진원도 ************ 2-44
3.4 원통도 ************ 2-46
제4장 관련형체에 적용하는 자세공차 ************ 2-47
4.1 경사도 ************ 2-48
4.2 직각도 ************ 2-50
4.3 평행도 ************ 2-56
4.4 윤곽도 ************ 2-60
제5장 축선 등을 갖는 크기형체에 적용하는 위치공차** 2-65
5.1 위치도 ************ 2-66
5.2 대칭도 ************ 2-70
5.3 동심도 ************ 2-72
5.3 동축도 ************ 2-75
제1장 기하공차의 배경 ***************** 1-3
제2장 기하공차의 체계 개요 ************* 1-15
참 고: 일반원리 *********************** 1-34
제3장 단독형체에 적용하는 형상공차 ************ 2-37
3.1 진직도 ************ 2-38
3.2 평면도 ************ 2-43
3.3 진원도 ************ 2-44
3.4 원통도 ************ 2-46
제4장 관련형체에 적용하는 자세공차 ************ 2-47
4.1 경사도 ************ 2-48
4.2 직각도 ************ 2-50
4.3 평행도 ************ 2-56
4.4 윤곽도 ************ 2-60
제5장 축선 등을 갖는 크기형체에 적용하는 위치공차** 2-65
5.1 위치도 ************ 2-66
5.2 대칭도 ************ 2-70
5.3 동심도 ************ 2-72
5.3 동축도 ************ 2-75
본문내용
실효치수 (Vertual Size):
MMC 치수와 기하공차를 감안한 (조립) 실효경계치수.
구멍 등의 내측치수는 최소허용치수(MMC)에서 기하공차를 뺀 값.
축 등의 외측치수는 최대허용치수(MMC)에서 기하공차를 더한 값.
크기, 형상, 자세 및 위치에 따라 관리되는 데이텀형체는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어느 데이텀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실효치수에 영향을 준다.
최대실체조건에서의 완전형상 (Perfct Form at MMC):
만약 형체가 MMC로 가공되었다면, 형체가 가져야 할 이론적으로 정확한 형상
허용한계치수 범위내에서 형체의 이동은 자유이지만, MMC에서의 완전형상의 경계(포락선)을 넘어면 안된다.
형체가 MMC 크기를 벗어나면 형상의 변동에 대해 이 벗어난 양만큼의 기하공차가 허용된다. 형체가 최소실체조건(LMC)일 때는 완전형상의 경계에 대한 요구는 없다.
지시계 흔들림전량 (TIR, Total Indicator Reading): 형체표면 변동량 측정시 인디케이터의 전체 움직임 (FIM, Full Indicator Movement)
MMC 치수와 기하공차를 감안한 (조립) 실효경계치수.
구멍 등의 내측치수는 최소허용치수(MMC)에서 기하공차를 뺀 값.
축 등의 외측치수는 최대허용치수(MMC)에서 기하공차를 더한 값.
크기, 형상, 자세 및 위치에 따라 관리되는 데이텀형체는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어느 데이텀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실효치수에 영향을 준다.
최대실체조건에서의 완전형상 (Perfct Form at MMC):
만약 형체가 MMC로 가공되었다면, 형체가 가져야 할 이론적으로 정확한 형상
허용한계치수 범위내에서 형체의 이동은 자유이지만, MMC에서의 완전형상의 경계(포락선)을 넘어면 안된다.
형체가 MMC 크기를 벗어나면 형상의 변동에 대해 이 벗어난 양만큼의 기하공차가 허용된다. 형체가 최소실체조건(LMC)일 때는 완전형상의 경계에 대한 요구는 없다.
지시계 흔들림전량 (TIR, Total Indicator Reading): 형체표면 변동량 측정시 인디케이터의 전체 움직임 (FIM, Full Indicator Movemen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