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대상자 사정)
3. 간호문제와 우선순위
4. 간호사정 (간호진단 2가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대상자 사정)
3. 간호문제와 우선순위
4. 간호사정 (간호진단 2가지)
본문내용
2일과 3일, RBC 400ml 2팩 수혈을 실시하였다
프로베라 10mg을 저녁 식사 30분 후 경구투여하였다
페린젝트를 투여하였다
병원식-상식을 제공하였다
어지러움으로 인한 낙상방지를 위해 side rail을 올리고 침상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 1인 이상이 항상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5/3 경과기록지 : Hb 6.5 → 8.3 (after PRC 2P transfusion)
·5/4 경과기록지 : Hb 8.3 →10.6 (after PRC 2P transfusion)
대상자는 5월 3일 Hb 8.3, 4일 Hb 10.6으로 정상치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점차 수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Hct는 5월 4일 정상치를 회복하였다 (Hct 28.1 → 35.6)
·MCV, MCH, MCHC는 입원 3일동안 정상치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 으나, 꾸준히 정상수치에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MCV 75.1 → 78.8, MCH 22.2 → 23.5, MCHC 29.5 → 29.8)
·프로베라를 투여한 5월 3일, 출혈이 멎었다
·낙상·균형상실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 장기간 다량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saf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 : “머리가 갑자기 아파요”
“외래에서 주사를 맞은 후부터 아파요”
“깨질 듯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05.03 NRS 통증척도
-점수 : 6점, 간헐적이고 1분 간격
·05.03 PRC 2P transfusion
간호진단
수혈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적 목표
·5월 3일 자정까지 통증척도 4이하로 감소될 것이다
·5월 4일 새벽에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장기적 목표
·퇴원 시까지 대상자의 통증척도점수가 2이하로 감 소될 것이다
·퇴원 시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이론적 근거
일정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다
지속적인 통증은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수치를 보이며, 특히 혈액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중재 후 NRS를 재측정한다
NRS를 재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통증 경감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써스펜이알서방정을 투여한다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시, 두통이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제를 투여한다
알레르기성 수혈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여 치료가능하다
두통 완화 시까지 적당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적당한 휴식은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15분~1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하였다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후 NRS를 재측정하였다
5/3 오후 9시 30분, 써스펜이알서방정을 경구투여하였다
5/3 오후 7시, 페니라민(항히스타민제)을 투여하였다
병실을 조용한 환경으로 조성하고 적당한 휴식을 취하였다
평가
·5월 3일 오후 6시 55분, BP152/88, T37.8로 고혈압과 약간의 고체온이 측정되었다
·페니라민 투여와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후
-5/3 오후 10시 NRS 재측정 결과 : 4점
-5/4 오전 00시 NRS 재측정 결과 : 2점
으로 통증점수가 점차 저하되었다
·대상자는 적당한 휴식을 취하면서 안정을 되찾았다
⑵수혈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Ⅲ결론
연구결과 및 실습 소감
df
⑴연구결과
대상자(안명혜, 48세, F)는 5월 2일 입원, 4일 퇴원하였다. 대상자는 퇴원 시 CBC의 여러 항목에서 정상치보다 저조한 수치를 보였으나, 입원 당일과 비교하여 정상수치에 가까워진 양상을 보였다. 질출혈은 5월 3일 프로베라 투여 후 잠시 멎었으나, 퇴원 시 경하게 다시 시작되었다. 입원 당일부터 퇴원 시까지 고혈압 양상을 꾸준히 보였으며 이는 가족력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심한 고혈압 때문에 24시간 활동혈압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진단검사 상 신장과 관련된 이상징후가 보여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손상이 진행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장 손상으로 여러 증상을 보였고, 이 중 식욕부진으로 영양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이었고 욕창위험성 척도에서도 영양상태 항목에 3점(부족한 섭취)를 기록하였다. 대상자의 질환과 별도로, 장기간 업무활동으로 손바닥이 저리고 무감각하다고 호소하였고, 증상을 보아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추정하였다.
대상자가 퇴원 시, 주치의께서는 혈압과 질출혈 조절을 위해 퇴원약으로 레보텐션과 프로베라를 처방하였다. 추후관리로 꾸준한 외래 방문으로 호르몬 요법을 통해 보존적 치료를 진행할 예정이다.
⑵실습소감
앞서 해당 병원에서 소아병동에서 실습을 하였는데, 소아병동에 비해 여유롭고 환자 수가 적어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경과를 더 세세하게 알아두기에 수월하였고 이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를 이해하기 쉬웠다. 이러한 병동 특성 덕분에, 케이스로 선정한 환자 분이 어떤 양상을 띄고 계시며 어떤 증상을 호소하셨는지 더 가까이에서 여유를 두고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케이스 작성 시 증상과 증상 사이의 인과관계를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2주동안 여성병동 실습을 하면서, 자연분만, 제왕절개 등 타 병동에서 볼 수 없는 처치를 볼 수 있었다는 것이 가장 값진 경험인 것 같다. 특히 자연분만의 경우, 산모분과 가족분들의 허락과 그 밖의 상황들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자세히 관찰하기 어려운 처치 중 하나인데, 운 좋게도 진통부터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 하는 기본적인 처치와 태반까지 볼 수 있었다. 이 경험은 훗날 여성병동에서 일을 하지 않더라도 가장 기억에 남는 실습경험일 것이다.
<참고문헌>
현문사(2018), 여성건강간호학 하권, 324-327쪽
질병관리본부, 자궁근종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360&page=1&sortType=date&dept=&category_code=&category=1&searchField=titleAndSummary&searchWord=%EA%B7%BC%EC%A2%85&dateSelect=1&fromDate=&toDate=
질병관리본부(2017), 자궁근종 표본감시 현황 (표, 그래프)
대한의학회, 자궁근종 수술법 (그림1~4)
프로베라 10mg을 저녁 식사 30분 후 경구투여하였다
페린젝트를 투여하였다
병원식-상식을 제공하였다
어지러움으로 인한 낙상방지를 위해 side rail을 올리고 침상 바퀴를 고정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 1인 이상이 항상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5/3 경과기록지 : Hb 6.5 → 8.3 (after PRC 2P transfusion)
·5/4 경과기록지 : Hb 8.3 →10.6 (after PRC 2P transfusion)
대상자는 5월 3일 Hb 8.3, 4일 Hb 10.6으로 정상치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점차 수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Hct는 5월 4일 정상치를 회복하였다 (Hct 28.1 → 35.6)
·MCV, MCH, MCHC는 입원 3일동안 정상치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 으나, 꾸준히 정상수치에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MCV 75.1 → 78.8, MCH 22.2 → 23.5, MCHC 29.5 → 29.8)
·프로베라를 투여한 5월 3일, 출혈이 멎었다
·낙상·균형상실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 장기간 다량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saf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 : “머리가 갑자기 아파요”
“외래에서 주사를 맞은 후부터 아파요”
“깨질 듯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05.03 NRS 통증척도
-점수 : 6점, 간헐적이고 1분 간격
·05.03 PRC 2P transfusion
간호진단
수혈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적 목표
·5월 3일 자정까지 통증척도 4이하로 감소될 것이다
·5월 4일 새벽에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장기적 목표
·퇴원 시까지 대상자의 통증척도점수가 2이하로 감 소될 것이다
·퇴원 시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이론적 근거
일정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다
지속적인 통증은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수치를 보이며, 특히 혈액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중재 후 NRS를 재측정한다
NRS를 재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통증 경감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써스펜이알서방정을 투여한다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시, 두통이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제를 투여한다
알레르기성 수혈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여 치료가능하다
두통 완화 시까지 적당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적당한 휴식은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15분~1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하였다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후 NRS를 재측정하였다
5/3 오후 9시 30분, 써스펜이알서방정을 경구투여하였다
5/3 오후 7시, 페니라민(항히스타민제)을 투여하였다
병실을 조용한 환경으로 조성하고 적당한 휴식을 취하였다
평가
·5월 3일 오후 6시 55분, BP152/88, T37.8로 고혈압과 약간의 고체온이 측정되었다
·페니라민 투여와 써스펜이알서방정 투여 후
-5/3 오후 10시 NRS 재측정 결과 : 4점
-5/4 오전 00시 NRS 재측정 결과 : 2점
으로 통증점수가 점차 저하되었다
·대상자는 적당한 휴식을 취하면서 안정을 되찾았다
⑵수혈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Ⅲ결론
연구결과 및 실습 소감
df
⑴연구결과
대상자(안명혜, 48세, F)는 5월 2일 입원, 4일 퇴원하였다. 대상자는 퇴원 시 CBC의 여러 항목에서 정상치보다 저조한 수치를 보였으나, 입원 당일과 비교하여 정상수치에 가까워진 양상을 보였다. 질출혈은 5월 3일 프로베라 투여 후 잠시 멎었으나, 퇴원 시 경하게 다시 시작되었다. 입원 당일부터 퇴원 시까지 고혈압 양상을 꾸준히 보였으며 이는 가족력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심한 고혈압 때문에 24시간 활동혈압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진단검사 상 신장과 관련된 이상징후가 보여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손상이 진행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장 손상으로 여러 증상을 보였고, 이 중 식욕부진으로 영양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이었고 욕창위험성 척도에서도 영양상태 항목에 3점(부족한 섭취)를 기록하였다. 대상자의 질환과 별도로, 장기간 업무활동으로 손바닥이 저리고 무감각하다고 호소하였고, 증상을 보아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추정하였다.
대상자가 퇴원 시, 주치의께서는 혈압과 질출혈 조절을 위해 퇴원약으로 레보텐션과 프로베라를 처방하였다. 추후관리로 꾸준한 외래 방문으로 호르몬 요법을 통해 보존적 치료를 진행할 예정이다.
⑵실습소감
앞서 해당 병원에서 소아병동에서 실습을 하였는데, 소아병동에 비해 여유롭고 환자 수가 적어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경과를 더 세세하게 알아두기에 수월하였고 이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를 이해하기 쉬웠다. 이러한 병동 특성 덕분에, 케이스로 선정한 환자 분이 어떤 양상을 띄고 계시며 어떤 증상을 호소하셨는지 더 가까이에서 여유를 두고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케이스 작성 시 증상과 증상 사이의 인과관계를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2주동안 여성병동 실습을 하면서, 자연분만, 제왕절개 등 타 병동에서 볼 수 없는 처치를 볼 수 있었다는 것이 가장 값진 경험인 것 같다. 특히 자연분만의 경우, 산모분과 가족분들의 허락과 그 밖의 상황들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자세히 관찰하기 어려운 처치 중 하나인데, 운 좋게도 진통부터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 하는 기본적인 처치와 태반까지 볼 수 있었다. 이 경험은 훗날 여성병동에서 일을 하지 않더라도 가장 기억에 남는 실습경험일 것이다.
<참고문헌>
현문사(2018), 여성건강간호학 하권, 324-327쪽
질병관리본부, 자궁근종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360&page=1&sortType=date&dept=&category_code=&category=1&searchField=titleAndSummary&searchWord=%EA%B7%BC%EC%A2%85&dateSelect=1&fromDate=&toDate=
질병관리본부(2017), 자궁근종 표본감시 현황 (표, 그래프)
대한의학회, 자궁근종 수술법 (그림1~4)
추천자료
자궁근종(myoma of the uterus)케이스스터디,워크시트포함
[케이스스터디][제왕절개]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스터디(C...
[여성간호] 여성간호 자궁근종 (myoma uteri)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LAVH)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여성간호학 수술실 자궁근종케이스스터디
모성실습: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
여성간호학 임상실습 자궁근종 케이스자궁근종 간호과정myoma uterus case study A+
자궁근종 간호과정
여성 자궁근종 uterine myoma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5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