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0장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 Therapy)
8. 요약과 평가 정리
8.1 요약
8.2 인지행동 치료의 공헌
8.3 인지행동치료의 한계와 비판
8. 요약과 평가 정리
8.1 요약
8.2 인지행동 치료의 공헌
8.3 인지행동치료의 한계와 비판
본문내용
게 기법에 의존함
- 치료관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증상 제거에 관해서만 치료하여 문제의 근원을 탐색하지 않고 무의식적 요인의 역할을 무시했고, 감정의 역할을 부정했다고 비판 받아 옴 (Freeman & Dattilio, 1992b; Weishaar,1993).
⇔ 내담자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문제가 삶의 초기 경험에서 초래된 것임을 알고 있으며 따라서 상담심리사는 과거가 현재에서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는 방식을 내담자와 함께 알아봄
- 인지치료가 감정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
⇔ 다틸리오는 인지행동치료가 인지와 행동을 강조하는 것을 인정하지만, 또한 정서가 치료과정에서 무시되는 것은 아니라고 함. 정서가 인지와 행동의 부산물이며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봄. 실제 첼스트 사례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정서를 완벽하게 확인하고 표현하도록 자신이 한 상담을 제시.
3) 마이헨바움의 인지행동수정
- 패터슨과 와킨(1996)의 인지행동수정에 대한 비판
: 내담자의 내적대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발견하는 것에 대한 쟁점
“내담자를 직접 가르치는 것이 매우 효과적 접근인가?”
“내담자가 합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는 것은 항상 추론이나 해결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인가?”
“자기발견으로 배우는 것이 상담심리사가 가르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오래 지속되는가?”
⇔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은 없다.
하지만 교육을 통해서만 학습이 일어난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또한 치료가 주로 인지과정이라고 결론 내리는 것도 잘못이다. 경험적 치료는 학습이 정서와 자기 발견또한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치료관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증상 제거에 관해서만 치료하여 문제의 근원을 탐색하지 않고 무의식적 요인의 역할을 무시했고, 감정의 역할을 부정했다고 비판 받아 옴 (Freeman & Dattilio, 1992b; Weishaar,1993).
⇔ 내담자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문제가 삶의 초기 경험에서 초래된 것임을 알고 있으며 따라서 상담심리사는 과거가 현재에서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는 방식을 내담자와 함께 알아봄
- 인지치료가 감정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
⇔ 다틸리오는 인지행동치료가 인지와 행동을 강조하는 것을 인정하지만, 또한 정서가 치료과정에서 무시되는 것은 아니라고 함. 정서가 인지와 행동의 부산물이며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봄. 실제 첼스트 사례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정서를 완벽하게 확인하고 표현하도록 자신이 한 상담을 제시.
3) 마이헨바움의 인지행동수정
- 패터슨과 와킨(1996)의 인지행동수정에 대한 비판
: 내담자의 내적대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발견하는 것에 대한 쟁점
“내담자를 직접 가르치는 것이 매우 효과적 접근인가?”
“내담자가 합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는 것은 항상 추론이나 해결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인가?”
“자기발견으로 배우는 것이 상담심리사가 가르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오래 지속되는가?”
⇔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은 없다.
하지만 교육을 통해서만 학습이 일어난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또한 치료가 주로 인지과정이라고 결론 내리는 것도 잘못이다. 경험적 치료는 학습이 정서와 자기 발견또한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추천자료
인지행동치료에 대하여
[집단상담][집단상담 과정][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비교]집단상담의 개념, 집단상담의 목적, ...
각 상담이론 간단하게 대조 분석
[아동생활지도 B형] 생활지도 및 상담의 심리 역동적 접근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D형] 매슬로 이론과 로저스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
방통대 인행사 가정학과 D형 고전적 조건형성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방통대 인행사 가정학과 E형 프로이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D형] 매슬로 이론과 로저스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
GERALD COREY.「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10장. 인지행동치료 - Ellis의 합리정서행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