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아의 교육적 접근(학습장애 아동의 지도-교수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장애아의 교육적 접근(학습장애 아동의 지도-교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인지훈련
1. 자기교수법
2. 자기점검법
3. 호혜적 교수법
II. 직접교수

III. 또래교수

* 참고문헌

본문내용

g)와 또래 지원 학습(pee\"assisted learning)을 들 수 있다. 학급 전체 또래교수는 학습장애 아동이나 학습장애 위험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으로서 효과적이고 타당한 교수전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학급 전체 또래교수는 학급의 모든 학생이 참여하여 또래로부터 배우는 학생들(또래 학습자들)과 학급 교사로부터 훈련과 지도를 받는 학생들(또래 교사들)의 두 그룹으로 구성된다. 이 교수에서 또래 교사들은 담당 교사로부터 훈련과 지도를 통해 특별한 교수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강조되는데, 그 이유는 교사가 해야 할 교수를 단순히 학생 교사가 대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Maheady et al., 2003).
또래 지원 학습은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tutor, 또래 교사)과 낮은 학생(tutee, 또래 학습자)이 팀을 이루어서 잘 구조화된 또래 학습 수업시간에 학습과제를 함께해 나가는 교수전략이다. 또래 지원 학습은 읽기능력 중 특히 음운 인식, 해독, 이해 전략 등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Fuchs & Fuchs, 2005).
이러한 또래교수의 장점을 보면 또래 교사나 또래 학습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즉, 또래 교사는 가르치면서 자신이 그 내용을 보다 확실하게 파악하게 되고, 또래 학습자는 사고과정이 성인에 비해 더욱 비슷한 또래로부터 배우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또래 교사는 또래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업행동이나 비학업행동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또래교수는 학급 내 학생들 사이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장점도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2.22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