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사회가 아직도 자식을 부모에 속한 존재로 여길 뿐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있지 않다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여러분의 입장은 어떠한지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즉, 미국과 영국에서는 어린 자녀를 부모의 소유로 인식하지 않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 국가에서는 자녀가 부모의 소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한 편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자녀를 체벌하고 학대하는 부모가 너무 많은 것이다.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볼 수 없다면 차라리 자녀를 낳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내 어린 자녀는 어린이집에 등원 중에 있다. 한번은 자녀가 친구들에게 맞고와서 얼굴에 상처가 난 적이 있는데.. 당시 나는 내 자녀에게 ‘너만 맞았어? 너도 때렸지? 왜 안 때렸어? 맞을 땐, 너도 그놈 때려. 알았지?’ 라는 말을 한적이 있었다. 자녀가 친구한테 맞고 왔을 때, 나는 마치 내가 맞은 것처럼 가슴이 아팠던 것이다. 이는 결국 나 또한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자녀가 범죄를 저지르면 자녀가 그에 따른 처벌을 받고, 내가 범죄를 저지르면 자녀가 아닌 내가 그에 따른 처벌을 받는 다는 점만 보더라도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아동복지론 윤매자, 신혜경 외 1명 저 | 양서원 | 2017.08.30
-내 어린 자녀는 어린이집에 등원 중에 있다. 한번은 자녀가 친구들에게 맞고와서 얼굴에 상처가 난 적이 있는데.. 당시 나는 내 자녀에게 ‘너만 맞았어? 너도 때렸지? 왜 안 때렸어? 맞을 땐, 너도 그놈 때려. 알았지?’ 라는 말을 한적이 있었다. 자녀가 친구한테 맞고 왔을 때, 나는 마치 내가 맞은 것처럼 가슴이 아팠던 것이다. 이는 결국 나 또한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자녀가 범죄를 저지르면 자녀가 그에 따른 처벌을 받고, 내가 범죄를 저지르면 자녀가 아닌 내가 그에 따른 처벌을 받는 다는 점만 보더라도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아동복지론 윤매자, 신혜경 외 1명 저 | 양서원 | 2017.08.3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