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시설(TMS관제센터, 국립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 견학 결과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기물처리시설(TMS관제센터, 국립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 견학 결과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사개요
2. 견학 주요내용
3. 붙 임

본문내용

서 보관 후 처리
2011년까지 시설확장 예정
2
제 1매립장
6,300만톤
매립기간(1992.2 ~ 2000.10)
3
침출수처리시설
6,700톤/일
약 3,000톤/일 처리
필요시 침출수를 1급수로 처리 가능
4
매립가스발전시설
50MWh
매립지에서 포집한 매립가스를 이용
소각보일러(100톤/시 2기)를 이용하여 스팀 및 전력생산
5
제 2매립장
6,700만톤
매립진행율 75%로 2015년까지 사용예정
6
가연성폐기물 자원화 시범사업(RDF생산시설)
200톤/일
RDF 생산시설 100톤/일
2009.11월 완공예정
□ 질의 응답
(1) 고화처리시설
슬러지 처리시 시멘트와 플라이애쉬만을 사용하는지?
⇒ 슬러지는 시멘트와 수화반응에 의해 암모니아가스를 발생시켜, 고화처리시 수분과 악취발생 억제를 위해 플라이애쉬 및 연탄재(무상반입) 혼소 사용
고화처리된 슬러지 매립시 단일성상으로 매립하는지?
⇒ 함수율 75% 처리된 슬러지와 건설폐기물과 혼합하여 매립함
(2) 매립가스발전시설
매립가스 포집량 조절 가능 여부
⇒ 매립가스 포집시 진공압 조절로 포집량 조절이 가능
시설 운영시 연간 매출액 및 유지비용은?
⇒ 2008년 매출액은 약 60억이며, 정비비는 약 30억임
보일러에 대한 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 스팀생산의 효율상승을 위해 순수설비, 부식방지제(청관제 등), 탈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팀을 탈기기에 공급하여 급수온도를 예열하는것이 스팀생산 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는 방법임
⇒ 복수설비는 약 3년간 운영중이며 인입압력은 약 50mmH2O임
매립폐기물의 성상이 계속 변화하는바, 이에대한 설비변화 계획은?
⇒ 설비의 증설 및 매립가스 변화에 대한 설비변경 계획은 없음
(3) 가연성폐기물 자원화 시범사업(RDF 생산시설)
RDF의 염소기준 준수는 어떻게 하는지?
⇒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염소발생 폐기물을 분리선별함
RDF 성형시 열원을 사용하는지?
⇒ 성형시 별도의 열원은 사용하지 않으며, 압축을 이용하여 제품생산
(폐기물 압축공정에서 약 50~80℃ 열이 발생됨)
생산된 RDF의 판매처 확보 문제?
⇒ 시멘트소성로, 제지회사로 판매할 계획임
비성형 RDF 생산계획은 없는지?
⇒ 현재 생산계획은 없으나, 향후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임
3. 붙 임
견학시설 현황 1부
(붙임)
견 학 시 설 현 황
□ 환경관리공단 TMS 관제센터
구 분
내 용
측정
사업장 오염물질 자동측정 및 아날로그 자료수집기를 통해 실시간 전송
측정자료의 신뢰성확보
통합시험, 확인검사, 상대정확도 시험을 통해 측정자료의 신뢰성확보
전송
측정자료는 실시간으로 CleanSYS 관제센터로 전송되며, 또한 각 관한지자체의 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됨
CleanSYS의 주요기능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예경보를 통한 대기배출허용기준 초과 사전 방지
- CleanSYS의 시설 흐름도
□ 수도권매립지
매립지 현황
구 분
부지면적(만㎡)
매립면적(만㎡)
매립용량(만㎥)
매립기간
총 계
1,989
901
22,800
-
제1매립장
409
251
6,400
1992.02~2000.10
제2매립장
371
248
6,700
2000.10~2015.02
제3매립장
330
221
9,700
2015이후 매립예정
제4매립장
389
181
2015이후 매립예정
기타(시설단지)
490
-
-
※ 수도권매립지는 총4개 매립장으로 구성되며, 제1매립장은 \'92.2월 매립을 시작하여 \'00.10월 종료되어, 현재는 제2매립장에 매립하고 있음
- 매립절차 및 매립시설 구성도
반입절차
위생매립
매립절차
반입현황
매립시설 구성도
고화처리시설
- 시설용량 : 600톤/일
- 처리공정
슬러지저장조 → 이송컨베이어 → 혼합기(연탄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 고화기 → 저장조 → 매립
- 처리공정도
침출수처리시설
- 시설용량 : 6,700톤/일
- 처리방식 : 혐기성소화, 탈질/질산화, 화학응집, 산화응집
- 처리공정
원수유입 → 유량조정조 → 협기성소화 → 탈질/질산화 → 화학응집 → 산화응집 → 처리수 배출
- 처리공정도
생물학적 처리공정
화학적 처리공정
구 분
비 고
구 분
비 고
사업비
773억원
보일러
106톤 2기
(100kg/㎠.g)
공사기간
2004.3~2006.12
증기터빈
50MW 1기
투자방식
민간투자(BTO)
발전기
3상 동기발전기 1기
시설운영
11년간
사업운영권 인정
냉각탑
79,500,000kcal/hr 1기
사업자
에코에너지㈜
송전탑
29기 설치
발전량
약 2억2천2백만kwh(2007년)
약 3억9천7백만kwh(2008년)
송전량
약 1억9천7백만kwh(2007년)
약 3억5천7백만kwh(2008년)
발전금액
177.8억원(2007년)
451.9억원(2008년)
기타
화석연료 중유 40만드럼 원유대체 효과 발생 및 18만가구 전력공급 가능
시설 사진 및 공정도
보일러
스팀터빈
발전기
시설공정도
매립가스발전시설
구 분
비 고
구 분
비 고
사업비
약 230억원
공사기간
2007.11.27 ~ 2009.11.26
시공사
㈜태영건설, SK건설㈜, ㈜포스코건설
감리사
벽산엔지니어링㈜
고형연료 품질기준
발열량 4,800kcal/kg이상, 수분 10%이하,
회분 20%이하, 염소농도 1%미만
시설규모
전처리시설(파쇄선별) : 200톤/일
고형연료(RDF) 시설 : 100톤/일
처리공정
반입 및 공급설비 → 기계적 전처리 설비 → 건조설비 → 고형연료 성형설비 → 고형연료 저장 및 반출설비 → 건조 배가스 처리설비
시설 구성 및 공정도
폐기물처리 절차
기기설비 구성현황
건조배가스의 악취 및 분진처리
RDF 생산공정 및 향후 계획
폐기물처리 계통도
가연성폐기물 자원화 시범사업(RDF생산시설)
□ 국립생물자원관
구 분
전시내용
제1전시실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진균계, 식물계, 동물계로 구분 전시
제2전시실
디오라마(Diorama) 기법을 통해 한반도 주요 생태계를 재현하여 자연환경을 직접 체험가능
체험학습실
다양한 생물들을 직접체험 가능
곶자왈생태관
침엽수, 활엽수, 약용식물원, 섬유 및 염료식물원, 희귀식물원, 다년생초본식물원, 야생화 단지 등 체험학습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3.10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