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떠한 사고방식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과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청소년기에는 아무리 어른들이 조언을 해줘도 그 순간이며 올바른 판단과 부정적인 마인드를 버릴수 없는 것 같다.
왜냐면 나 또한 역시 그래왔고, 지금 어른들도 청소년기를 다 겪어왔고, 이런 생각들을 해봤기 때문이라고 아주 조심스럽게 생각한다.
모두다 같지는 않지만,
적어도 내 경험에 의해 이번 강의를 공부하면서 생각해보면 정체감의 위기, 정체성, 그리고 나는 누구고 미래의 나는 어떻게 되있을것이며 모든 다 불안한 시기인것 같다.
올바르게 생각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정체성을 배우고 사회에 대해 조금씩 조금씩 인식하는 단계인 만큼 정말 상담자로서 올바르게 세상을 보여주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6주차 정리
* 가정은 최초의 사회화 기관임
* 청소년기는 가족관계를 재정의 하는 시기임
* 학교 - 진로, 학생들을 평가, 문화적 가치, 신념, 전통을 전달, 지식과 기술을 가 르치는 기능을 수행
* 청소년에게 또래관계는 평등 관계로 인식
* 청소년은 평등한 부모-자녀 관계를 원함
* 사회적 관계망 속에 이성을 포함시키면서 이성과의 접촉이 급격히 증가함
* 아동기가 끝나는 시점과 성인기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
* 가정 환경 : 청소년기는 부모와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시기이며, 청소년을 둔 부모들 나름대로 정체성 위기를 경험함
* 학교 환경 : 학교가 기능을 하지 못하고, 학교교육의 모순과 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청소년 문제와 일탈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교우관계 : 또래 관계는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자아정체성의 발달, 사회적 성취와 사회적 기술의 획득, 갈등해결 능력, 장래 직업적 성취, 가족생활, 성 역할 확립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또래 관계를 통해 비습관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습득하는 부정적인 영향도 있음
* 이성 관계 : 청소년기가 되면 성적 욕망과 충동이 증가하며, 이성관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함
느낌점
이번 강의는 총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의를 정리하기보단 내가 느낀 이번 학기에 공부를 하면서 내 청소년기를 뒤돌아 보았고 학습한 내용과 내가 청소년기에 겪었던 일들을 대입시키면서 놀란 점도 있었고, 아 그때 이런 시기였구나 라는 느낌도 받았다.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사회를 접하는 것은 가족이고, 학교를 다니면서 또래 친구들과 평등한 관계를 배우고 이성친구를 만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배우며, 또래 친구들과 교유 관계를 맺으며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가치관 등을 경험하고 배우는 단계이였던 것 같다.
아동기부터 시작해 성인이 되기 전, 청소년 시기에는 많은 생각과 세상을 다 짊어진 것처럼 생각하고 올바른 행동보단 삐뚤어진 사고방식과 지금 현재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 방식이 많았던 것 같다.
내 생각엔 사회가 불안할수록 청소년들의 문제가 더 심각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사회구조가 불안하면 청소년들 역시 사회에 대해 비판적이고 어른들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들과 자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상실하고 비행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을것 같다.
또래 관계에서도 가족에서의 기능이 충실하고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청소년과,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은 그때는 몰랐지만 지금 내가 성인이 된 후에는 그런것들이 판단이 되고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엔 대한 이해가 조금은 된다.
이번 학기 공부를 하면서 청소년시기에 대해 전반적으로 체계적인 시기와 구체적인 자아 정체성, 청소년기에 이해할수 없는 행동들과 사고 방식들에 대한 궁금증을 푸는 시간이었다.
“내가 그땐 왜 그랬는지,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이런 깨달음을 많이 받았고, 사람으로 태어나면 누구나 겪는 청소년기의 행동들을 이제는 이해할수 있을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부끄럽고 내가 왜 그랬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기가 있어야 지금의 내가 있는 것이고 인생에 있어서 굴곡선은 존재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과 사회 , 학교, 이성친구, 또래 관계 는 정말 중요한 돈으로 살수 없는 중요한 경험인 것 같다.
모든 청소년들이 삐뚤어지기도 하고,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고민도 하고 또래 관계들과 이성친구 등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학습하고 경험함으로써 올바른 성인이 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가족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많은 정체성 확립을 위해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청소년기에는 아무리 어른들이 조언을 해줘도 그 순간이며 올바른 판단과 부정적인 마인드를 버릴수 없는 것 같다.
왜냐면 나 또한 역시 그래왔고, 지금 어른들도 청소년기를 다 겪어왔고, 이런 생각들을 해봤기 때문이라고 아주 조심스럽게 생각한다.
모두다 같지는 않지만,
적어도 내 경험에 의해 이번 강의를 공부하면서 생각해보면 정체감의 위기, 정체성, 그리고 나는 누구고 미래의 나는 어떻게 되있을것이며 모든 다 불안한 시기인것 같다.
올바르게 생각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정체성을 배우고 사회에 대해 조금씩 조금씩 인식하는 단계인 만큼 정말 상담자로서 올바르게 세상을 보여주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6주차 정리
* 가정은 최초의 사회화 기관임
* 청소년기는 가족관계를 재정의 하는 시기임
* 학교 - 진로, 학생들을 평가, 문화적 가치, 신념, 전통을 전달, 지식과 기술을 가 르치는 기능을 수행
* 청소년에게 또래관계는 평등 관계로 인식
* 청소년은 평등한 부모-자녀 관계를 원함
* 사회적 관계망 속에 이성을 포함시키면서 이성과의 접촉이 급격히 증가함
* 아동기가 끝나는 시점과 성인기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
* 가정 환경 : 청소년기는 부모와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시기이며, 청소년을 둔 부모들 나름대로 정체성 위기를 경험함
* 학교 환경 : 학교가 기능을 하지 못하고, 학교교육의 모순과 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청소년 문제와 일탈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교우관계 : 또래 관계는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자아정체성의 발달, 사회적 성취와 사회적 기술의 획득, 갈등해결 능력, 장래 직업적 성취, 가족생활, 성 역할 확립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또래 관계를 통해 비습관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습득하는 부정적인 영향도 있음
* 이성 관계 : 청소년기가 되면 성적 욕망과 충동이 증가하며, 이성관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함
느낌점
이번 강의는 총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의를 정리하기보단 내가 느낀 이번 학기에 공부를 하면서 내 청소년기를 뒤돌아 보았고 학습한 내용과 내가 청소년기에 겪었던 일들을 대입시키면서 놀란 점도 있었고, 아 그때 이런 시기였구나 라는 느낌도 받았다.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사회를 접하는 것은 가족이고, 학교를 다니면서 또래 친구들과 평등한 관계를 배우고 이성친구를 만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배우며, 또래 친구들과 교유 관계를 맺으며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가치관 등을 경험하고 배우는 단계이였던 것 같다.
아동기부터 시작해 성인이 되기 전, 청소년 시기에는 많은 생각과 세상을 다 짊어진 것처럼 생각하고 올바른 행동보단 삐뚤어진 사고방식과 지금 현재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 방식이 많았던 것 같다.
내 생각엔 사회가 불안할수록 청소년들의 문제가 더 심각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사회구조가 불안하면 청소년들 역시 사회에 대해 비판적이고 어른들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들과 자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상실하고 비행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을것 같다.
또래 관계에서도 가족에서의 기능이 충실하고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청소년과,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은 그때는 몰랐지만 지금 내가 성인이 된 후에는 그런것들이 판단이 되고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엔 대한 이해가 조금은 된다.
이번 학기 공부를 하면서 청소년시기에 대해 전반적으로 체계적인 시기와 구체적인 자아 정체성, 청소년기에 이해할수 없는 행동들과 사고 방식들에 대한 궁금증을 푸는 시간이었다.
“내가 그땐 왜 그랬는지,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이런 깨달음을 많이 받았고, 사람으로 태어나면 누구나 겪는 청소년기의 행동들을 이제는 이해할수 있을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부끄럽고 내가 왜 그랬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기가 있어야 지금의 내가 있는 것이고 인생에 있어서 굴곡선은 존재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과 사회 , 학교, 이성친구, 또래 관계 는 정말 중요한 돈으로 살수 없는 중요한 경험인 것 같다.
모든 청소년들이 삐뚤어지기도 하고,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고민도 하고 또래 관계들과 이성친구 등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학습하고 경험함으로써 올바른 성인이 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가족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많은 정체성 확립을 위해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