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 요검사, 입원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검사, 요검사, 입원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전혈구 검사)
2. LFT liver function test (간 기능 검사)
3. UA urinalysis(요검사)

본문내용

생기면 요는 끊임없이 농축도 되고, 희석도 되어 요비중은 크게 변동한다.
심한 탈수, 당뇨, 단백뇨가 심할 경우 비중이 증가하고, 신세뇨관 손상 등에서는 낮게 나타난다.
-정상수치 : 1.003~1.030
-증가: 고비중뇨, 농축뇨(신증후군, 당뇨병, 신부전, 탈수)
-감소: 저비중뇨, 희석뇨(요붕증, 중증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이뇨제 투약)
PH
요산도
:소변이 알카리성인지 산성인지를 알아보는 검사이다.
알칼리성뇨는 급/만성 신질환, 대사성 및 호흡성 알칼리혈증, 구토, 요로 감염, 알칼리성 음식 섭취 등에서 나타날 수 있고, 산성뇨는 대사성 및 호흡성 산혈증, 심한 설사, 고열, 탈수, 산성 음식 섭취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정상수치: 4.5-7.5
-증가: 알카리뇨, 요로감염, 대사성알카리혈증, 요로결석증
-감소: 산성뇨, 당뇨병으로 인한 IV형 신세뇨관산증, 통풍, 대사성 호흡산증, 알코올 중독
urobilinogen
요우로
빌리노겐
우로빌로노겐은 장에서 빌리루빈이 장내세균에 의해 환운된 무색의 물질이다, 그러므로 건강한 사람도 검사 시 약 양성을 보인다.
-정상수치: ±~1+(약 상성)
-이상: 용혈성횡달(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1.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