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간호케이스 및 부정맥 원인 증상분석과 부정맥 병태생리와 치료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정맥 간호케이스 및 부정맥 원인 증상분석과 부정맥 병태생리와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정맥이란?

2. 부정맥 발생원인

3. 부정맥 주요증상

4. 부정맥 병태생리

5. 부정맥 치료법

6. 부정맥 간호케이스
(1) 간호중재
(2) 간호진단 및 수행

본문내용

생기는 것을 막는 치료
⑤ 삽입형 제세동기, 제세동기
전기 쇼크로 빈맹성 부정맥을 멈추게 하는 치료
⑥ 전극도자 절제술
심장에서 부정맥을 유발하는 부위를 전기적 에너지로 절단하는 치료
⑦ 서맥성 부정맥 환자
인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 심장을 뛰게 하는 인공 심박동기를 이용
⑧ 스트레스를 줄이고 육식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절제하고 채식위주의 식사
6. 부정맥 간호케이스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1) 간호중재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전 준비>
- 시술 8시간 저부터 금식시킨다.
- 심전도 검사, 출혈 및 지혈 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한다.
-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같은 응급상황에 대비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액을 정맥 주입한다.
-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한다.
- 전원 삽입부위의 피부준비를 한다.
-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 전원 삽입부위, 자극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
- 전원 삽입부위의 출혈, 감염증상 관찬한다.
- 전극도관이 심실벽을 자극하여 심실 조기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전극도관에 의한 심근의 천공으로 기흉, 혈흉, 천공, 심장압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전극의 위치이탈로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이 있을 수 있는데 딸꾹질은 전극이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한다.
- 심전도 검사로 심박동기의 기능을 확인한다. (조정해놓은 수보다 5회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12시간동안 침상안정,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동안 움직임을 제한
- 첫 6시간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시킨다.
- 48시간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 인공심박동기의 기능부전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침상안정을 시키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계속해서 원거리 모니터를 하고 정맥수액선 확보(침상 가에 atropine 준비), 산소공급, 흉부 X-선 검사 등을 하며 고정형으로 전환시킬 때 필요한 인공심박동기 자석을 준비(환자주위 전류 노출되자 않도록)
-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퇴원 후 8주 동안은 가급적 신체활동을 피한다.
(2) 간호진단 및 수행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 시술 직후 1시간 동안은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측정하고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한다.
맥박은 요골동맥과 심첨맥박을 함께 측정한다.
삽입을 휘해 절개한 부분의 감염증상 관찰
첫 24시간 드레싱 단단히, 드레싱을 매일 교환
진통제 투여
-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 시술 후 48시간동안 침상안정
침상에서 수동 관절운동을 권장(매몰된 쪽은 움직이지 않는다)
-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 불안 및 공포를 표현하게 격려하고 필요한 정보 제공하여 안심시킴
- 자가 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 환자가 이해하도록 교육시킴(신체의 일부로서 평생 갖고 살아야 하므로)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