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정맥이란?
2. 부정맥 발생원인
3. 부정맥 주요증상
4. 부정맥 병태생리
5. 부정맥 치료법
6. 부정맥 간호케이스
(1) 간호중재
(2) 간호진단 및 수행
2. 부정맥 발생원인
3. 부정맥 주요증상
4. 부정맥 병태생리
5. 부정맥 치료법
6. 부정맥 간호케이스
(1) 간호중재
(2) 간호진단 및 수행
본문내용
생기는 것을 막는 치료
⑤ 삽입형 제세동기, 제세동기
전기 쇼크로 빈맹성 부정맥을 멈추게 하는 치료
⑥ 전극도자 절제술
심장에서 부정맥을 유발하는 부위를 전기적 에너지로 절단하는 치료
⑦ 서맥성 부정맥 환자
인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 심장을 뛰게 하는 인공 심박동기를 이용
⑧ 스트레스를 줄이고 육식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절제하고 채식위주의 식사
6. 부정맥 간호케이스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1) 간호중재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전 준비>
- 시술 8시간 저부터 금식시킨다.
- 심전도 검사, 출혈 및 지혈 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한다.
-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같은 응급상황에 대비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액을 정맥 주입한다.
-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한다.
- 전원 삽입부위의 피부준비를 한다.
-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 전원 삽입부위, 자극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
- 전원 삽입부위의 출혈, 감염증상 관찬한다.
- 전극도관이 심실벽을 자극하여 심실 조기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전극도관에 의한 심근의 천공으로 기흉, 혈흉, 천공, 심장압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전극의 위치이탈로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이 있을 수 있는데 딸꾹질은 전극이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한다.
- 심전도 검사로 심박동기의 기능을 확인한다. (조정해놓은 수보다 5회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12시간동안 침상안정,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동안 움직임을 제한
- 첫 6시간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시킨다.
- 48시간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 인공심박동기의 기능부전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침상안정을 시키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계속해서 원거리 모니터를 하고 정맥수액선 확보(침상 가에 atropine 준비), 산소공급, 흉부 X-선 검사 등을 하며 고정형으로 전환시킬 때 필요한 인공심박동기 자석을 준비(환자주위 전류 노출되자 않도록)
-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퇴원 후 8주 동안은 가급적 신체활동을 피한다.
(2) 간호진단 및 수행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 시술 직후 1시간 동안은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측정하고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한다.
맥박은 요골동맥과 심첨맥박을 함께 측정한다.
삽입을 휘해 절개한 부분의 감염증상 관찰
첫 24시간 드레싱 단단히, 드레싱을 매일 교환
진통제 투여
-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 시술 후 48시간동안 침상안정
침상에서 수동 관절운동을 권장(매몰된 쪽은 움직이지 않는다)
-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 불안 및 공포를 표현하게 격려하고 필요한 정보 제공하여 안심시킴
- 자가 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 환자가 이해하도록 교육시킴(신체의 일부로서 평생 갖고 살아야 하므로)
⑤ 삽입형 제세동기, 제세동기
전기 쇼크로 빈맹성 부정맥을 멈추게 하는 치료
⑥ 전극도자 절제술
심장에서 부정맥을 유발하는 부위를 전기적 에너지로 절단하는 치료
⑦ 서맥성 부정맥 환자
인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 심장을 뛰게 하는 인공 심박동기를 이용
⑧ 스트레스를 줄이고 육식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절제하고 채식위주의 식사
6. 부정맥 간호케이스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1) 간호중재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전 준비>
- 시술 8시간 저부터 금식시킨다.
- 심전도 검사, 출혈 및 지혈 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한다.
-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같은 응급상황에 대비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액을 정맥 주입한다.
-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한다.
- 전원 삽입부위의 피부준비를 한다.
-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 전원 삽입부위, 자극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
- 전원 삽입부위의 출혈, 감염증상 관찬한다.
- 전극도관이 심실벽을 자극하여 심실 조기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전극도관에 의한 심근의 천공으로 기흉, 혈흉, 천공, 심장압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전극의 위치이탈로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이 있을 수 있는데 딸꾹질은 전극이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한다.
- 심전도 검사로 심박동기의 기능을 확인한다. (조정해놓은 수보다 5회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12시간동안 침상안정,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동안 움직임을 제한
- 첫 6시간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시킨다.
- 48시간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 인공심박동기의 기능부전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침상안정을 시키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계속해서 원거리 모니터를 하고 정맥수액선 확보(침상 가에 atropine 준비), 산소공급, 흉부 X-선 검사 등을 하며 고정형으로 전환시킬 때 필요한 인공심박동기 자석을 준비(환자주위 전류 노출되자 않도록)
-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시 퇴원 후 8주 동안은 가급적 신체활동을 피한다.
(2) 간호진단 및 수행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 시술 직후 1시간 동안은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측정하고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한다.
맥박은 요골동맥과 심첨맥박을 함께 측정한다.
삽입을 휘해 절개한 부분의 감염증상 관찰
첫 24시간 드레싱 단단히, 드레싱을 매일 교환
진통제 투여
-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 시술 후 48시간동안 침상안정
침상에서 수동 관절운동을 권장(매몰된 쪽은 움직이지 않는다)
-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 불안 및 공포를 표현하게 격려하고 필요한 정보 제공하여 안심시킴
- 자가 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 환자가 이해하도록 교육시킴(신체의 일부로서 평생 갖고 살아야 하므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