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학 작품 소개 활동이 갖는 의의
2. 문학 작품 ‘동시’ 소개 활동계획안
(1) 소개할 문학 작품
(2) 동시 ‘바사삭 바사삭’ 활동계획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문학 작품 소개 활동이 갖는 의의
2. 문학 작품 ‘동시’ 소개 활동계획안
(1) 소개할 문학 작품
(2) 동시 ‘바사삭 바사삭’ 활동계획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서를 기른다. 여섯째, 즐거움을 통해 문학 작품에 흥미를 느끼고 독서습관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문학 작품 소개 활동 사례로 동시 ‘바사삭 바사삭’의 활동계획안을 제시하였는데 이 동시는 쉽고 재미있게 따라 읽을 수 있는 작품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업의 동기 유발은 상자에 담은 낙엽의 소리를 들려주면서 생동감 있는 활동으로 아동들의 동기를 유발하였고, 낙엽의 소리처럼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의성어·의태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동시를 감상한 후 의성어 ‘바사삭 바사삭’이나 동시에 등장하는 ‘가을바람’, ‘다람쥐’의 단어를 바꾸어 읽기, 두 모둠으로 나누어 파트를 나누어 읽기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확장활동으로는 펄럭이는 소리, 물 끓는 소리, 눈 밟는 소리 등의 의성어나 의태어를 찾아본 후 그것을 이용하여 바사삭 바사삭과 같은 동시를 지어보거나 아이들과 함께 손유희를 만들고 읽으면서 해 보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주의사항으로는 파트를 나누어 활동할 수 있도록 동시에 표시를 하는 것과 글씨를 읽지 못하는 아동을 위해 그림 자료를 함께 제시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사실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독서를 떠올리면 쉽게 알 수 있다. 독서의 유익함을 귀가 따갑게 들으며 독서를 강요받았던 시절을 떠올리며 아동에게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의 중요성을 몸과 마음에 각인하는 뿌듯한 시간이었다. 그리고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의 의의를 깨닫고 활동계획안을 작성하면서 발달에 적합한 문학 환경, 다양한 문학 작품에 노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Ⅳ. 참고문헌
- 김지은·김은영(2012), 「유아교사의 문학 작품 소개활동에 관한 연구: 작가소개 활동과 실태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제24권0호,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 이승국(2005), 「아동의 독서환경이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4권 1호, 한국아동교육학회.
- 이만수(1998), 「讀書에 관한 名言의 硏究」, 『한국문헌정보학회지』32권 1호, 한국문헌정보학회.
- 이경화·박숙희·이명애(2002), 「독서경험과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언어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제5권 1호,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김완기(1978), 「兒童 讀書指導 의 效率的 方法」, 『도서관문화』 제19권 4호, 한국도서관협회.
다음으로 문학 작품 소개 활동 사례로 동시 ‘바사삭 바사삭’의 활동계획안을 제시하였는데 이 동시는 쉽고 재미있게 따라 읽을 수 있는 작품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업의 동기 유발은 상자에 담은 낙엽의 소리를 들려주면서 생동감 있는 활동으로 아동들의 동기를 유발하였고, 낙엽의 소리처럼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의성어·의태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동시를 감상한 후 의성어 ‘바사삭 바사삭’이나 동시에 등장하는 ‘가을바람’, ‘다람쥐’의 단어를 바꾸어 읽기, 두 모둠으로 나누어 파트를 나누어 읽기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확장활동으로는 펄럭이는 소리, 물 끓는 소리, 눈 밟는 소리 등의 의성어나 의태어를 찾아본 후 그것을 이용하여 바사삭 바사삭과 같은 동시를 지어보거나 아이들과 함께 손유희를 만들고 읽으면서 해 보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주의사항으로는 파트를 나누어 활동할 수 있도록 동시에 표시를 하는 것과 글씨를 읽지 못하는 아동을 위해 그림 자료를 함께 제시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사실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독서를 떠올리면 쉽게 알 수 있다. 독서의 유익함을 귀가 따갑게 들으며 독서를 강요받았던 시절을 떠올리며 아동에게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의 중요성을 몸과 마음에 각인하는 뿌듯한 시간이었다. 그리고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의 의의를 깨닫고 활동계획안을 작성하면서 발달에 적합한 문학 환경, 다양한 문학 작품에 노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Ⅳ. 참고문헌
- 김지은·김은영(2012), 「유아교사의 문학 작품 소개활동에 관한 연구: 작가소개 활동과 실태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제24권0호,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 이승국(2005), 「아동의 독서환경이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4권 1호, 한국아동교육학회.
- 이만수(1998), 「讀書에 관한 名言의 硏究」, 『한국문헌정보학회지』32권 1호, 한국문헌정보학회.
- 이경화·박숙희·이명애(2002), 「독서경험과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언어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제5권 1호,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김완기(1978), 「兒童 讀書指導 의 效率的 方法」, 『도서관문화』 제19권 4호, 한국도서관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