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론 1공통) 1. 놀이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15점), 인터넷으로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강조하는 놀이유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15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론 1공통) 1. 놀이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15점), 인터넷으로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강조하는 놀이유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15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놀이와 유아발달과의 관계
1) 놀이와 언어발달
2) 놀이와 신체발달
3) 놀이와 인지발달
4) 놀이와 사회성 발달
5) 놀이와 정서발달

2. 인터넷으로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강조하는 놀이유형에 대하여 서술 - 자연놀이
1) 감각의 활용
2) 신체의 활용
3) 몰입의 경험
4) 발견의 경험
5) 협동의 경험
6) 상상의 경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경 알기, 지렁이 만져보고 물렁물렁한 것 느끼기, 지렁이 움직임 관찰하여 직접 몸으로 흉내 내기, 지렁이에게 해서는 안 되는 것 얘기하기’ 등이 그것이다.
5) 협동의 경험
대표적인 자연놀이로는 ‘기차놀이, 풀미끄럼 타기, 큰 바위놀이, 나무 자르기, 불 피우기, 꽃동산 꾸미기, 생일 파티장’등을 들 수 가 있다. 협동이 거의 경험되지 않는 놀이는 ‘내가 공룡이다’와 ‘악당과 싸워요’라는 놀이 단 둘 뿐이었다. 따라서 자연놀이는 유아들에게 친구들과 무언가를 함께 나누고, 이루고, 돕는 협동의 의미를 강하게 경험하게 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다음은 ‘풀미끄럼 타기’놀이에서 나타나는 협동의 모습이다.
6세 유아들이 풀미끄럼을 타려고 경사진 곳 꼭대기에 서 있다. 먼저 진0이가 타고 내려간다. 그 뒤를 이어 재0이와 남0이가 타고 내려간다. )
지0:우리 같이 타자.
남0:응. (어깨에 손을 올리며)이렇게 해.
장0:나도 같이. . . . . . 같이 타자(장석이가 지훈이 뒤에 앉는다).
남0이가 손에 쥐고 있던 풀을 놓자 내려가기 시작한다. 앞 친구의 몸을 잡고
뒤에 앉아 있던 유아들도 같이 내려간다.
남0:아~(지훈이가 손을 놓고 옆으로 넘어지자)꼭 잡아야 돼.
지0:(먼저 앉아 몸을 옆으로 기울이면서 동생들에게)몸을 이렇게 하면 넘어지니깐 조심해. 꼭 잡아라. 간다. 아~
‘풀미끄럼 타기’놀이는 비교적 단순하고 몸을 주로 쓰는 놀이이다. 경사진 곳을 바닥이나 옆에 있는 풀을 가지고 빠른 속도로 내려가는 놀이를 유아들은 참 좋아한다. 그래서 혼자 타기도 하고 옆으로 함께 타기도 하고, 줄줄이 줄을 서서 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무서워하는 동생들이나 몸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친구들에게 유아들은 직접 손을 뻗거나 자신의 몸을 빌려주는 등의 방법을 가르쳐 주면서 놀이를 함께 하고 있다. 이 놀이에서는 몸으로 서로 돕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유아들은 혼자 하는 것보다 이렇게 서로 돕고 가르쳐 주면서 친구들과 함께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더 즐거워한다.
6) 상상의 경험
유아들의 상상은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지어내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놀이에서 유아들은 돌을 돌이라 하지 않고, 흙을 흙이라 하지 않으며, 나뭇가지를 나뭇가지로 인지하지 않는다. 돌은 접시이며, 흙은 밥이며, 나뭇가지는 불이다. 이런 ‘지어냄’에서부터 유아들의 상상은 출발하고 있으며 여기서 놀이의 재미와 의미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상상과 창조는 대부분의 자연놀이에서 많든 적든 놀이를 이루는 기본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놀이의 종류에 따라 상상과 창조가 놀이의 핵심요소가 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0:(바위에서 뛰어 내려가 바닥에서 긴 나뭇가지를 주워 입에 대고 부는 시늉을 하면서)나는 피리로 싸울 거야. 내가 피리가 불면 적군이 춤을 춰서 내가 이겨요.
동0:(온 몸에 잔뜩 힘을 주면서 나무를 짚고 있다)으~ 에너지를 얻는 중이예요. 큰 나무에 에너지가 있어요. 그래서 이렇게 하면 에너지가 생겨요. 적군에게 이겨야 돼요. 으~이제 됐다. 출동!
동0이는 에너지 받은 손을 앞으로 쭉 뻗고, 지권이는 입에 나뭇가지를 대고 불면서 황토동산을 가로질러 달려간다.
나뭇가지는 피리가 되고, 큰 나무는 큰 에너지를 가진 존재가 된다. 이처럼 유아들에게 자연물은 다양한 상상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 상상의 힘으로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그 속에서 유아들 자신조차 엄청난 에너지를 가지고 적군을 무찌르는 새로운 존재로 탄생한다. 상상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지어냄’이 놀이에 재미를 불어넣는다. 또한 유아들의 이 상상이 놀이에서 유아들을 객체가 아닌 주체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주도성을 통해 놀이는 활기차고 생명력을 얻는 모습이다. 자연놀이에서 유아들의 상상과 창조의 힘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 이유로 자연의 기본적인 속성에 주목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즉 자연은 어떤 정해진 틀에 따라 존재하지 않으며, 인위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그 속에서 유아들은 자기 마음대로 지어낼 수 있고, 창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자연은 그 어떤 상황보다 유아들의 상상과 창조를 잘 허용하는 곳임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놀이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인터넷으로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강조하는 놀이유형에 대하여 서술해 보았다. 유아교육에서 자연놀이는 단순히 유아들이 자연에서 뛰어노는 그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의 자연물에 대한 적극적 관찰과 해석을 통해 새로운 놀이방식을 창안하고 의미화 하는 것을 내포한다. 유아들이 자연놀이를 즐기고 자연에 대한 이치를 깨달아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이 놀이과정에 개입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심지어 안전조차도 유아 스스로 생각하고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유아를 믿고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유아들이 타고난 본능에 의해 자연의 지형물을 이용하고 위험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즉 자연놀이가 비록 교육적 의미로 제공되지만 유아들에게는 철저히 그 자체가 놀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안혜준 외 (2016). 놀이지도. 경기: 파워북.
임부연 (2019). 유아와 놀이배움의 개정 누리과정,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최고원 (2011). ‘놀이’개념에 대한 동·서양의 시각차에 관하여, 철학연구.
곽노의 (2011). 숲 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정현주 (2020). 유아 놀이에 대한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들의 이야기.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한나 (2014).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기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온은아 외 (2017). 유아의 행복감 및 자기조절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력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임윤주 (2010).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 경 (2018). 유치원에서 숲 놀이 활동이 유아의 인성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1.03.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