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 A+] 치면세마 기구별 적용과정 (explore, sickle, probe, cure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위생 A+] 치면세마 기구별 적용과정 (explore, sickle, probe, cure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탐침(Exlplorer, #11/12)의 적용 과정
1) 전치부
2) 구치부

2. Probe의 탐침 과정
1) 전치부
2) 구치부

3. Sickle scaler의 적용 과정
1) 전치부
2) 구치부

4. Gracey curet의 적용 과정
1) 구치부 (Gracey #11/12)

본문내용

이때, 변연치은이 probe 눈금 사이에 위치하면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⑩ walking motion을 하면서 원심인접면 col 중앙부분에 도달할 수 있도록 probe를 약간 기울여 삽입시킨 후 반복 3회 동작을 해주고, 가장 깊은 곳의 눈금을 읽는다.
“구치부”
① Probe를 변형연필잡기법으로 가볍게 잡는다.
② 측정할 치아 또는 인접치아에 손고정을 한다.
③ Probe tip 끝면이 접합상피를 향하도록 하고, tip 측면을 협·설면의 원심능각부위 유리치은연 바로 위 치면에 적합시킨다.
④ Probe tip 측면을 계속 치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probe tip을 서서히 수직방향으로 부드럽고 약간의 탄력성을 가진 접합상피가 느껴질 때 까지 삽입한다.
⑤ Probe를 삽입한 후 Probe tip 측면을 계속 치면에 부착시킨 상태로 sulcus 또는 pocket 내에서 치아 표면을 따라 위아래로 1~2mm 간격으로 움직여 가면서 walking motion으로 근심인접면까지 stroke한다.
이때, 변연치은이 probe 눈금 사이에 위치하면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⑥ walking motion을 하면서 근심인접면 col 중앙부분에 도달할 수 있도록 probe를 약간 기울여 삽입시킨 후 반복 3회 동작을 해주고, 가장 깊은 곳의 눈금을 읽는다.
⑦ Probe tip 끝면이 접합상피를 향하도록 하고, tip 측면을 협·설면의 원심능각부위 유리치은연 바로 위 치면에 적합시킨다.
⑧ Probe tip 측면을 계속 치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probe tip을 서서히 수직방향으로 부드럽고 약간의 탄력성을 가진 접합상피가 느껴질 때 까지 삽입한다.
⑨ Probe를 삽입한 후 Probe tip 측면을 계속 치면에 부착시킨 상태로 sulcus 또는 pocket 내에서 치아 표면을 따라 위아래로 1~2mm 간격으로 움직여 가면서 walking motion으로 원심인접면까지 stroke한다.
이때, 변연치은이 probe 눈금 사이에 위치하면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⑩ walking motion을 하면서 원심인접면 col 중앙부분에 도달할 수 있도록 probe를 약간 기울여 삽입시킨 후 반복 3회 동작을 해주고, 가장 깊은 곳의 눈금을 읽는다.
Sickle scaler의 적용과정
“전치부”(sickle #33)
① 전치부용 Sickle scaler을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는다.
② 해당 치아의 인접치아 절단연이나 소구치 교합면에 손고정을 한다.
③기구 날이 술자와 가까운 면을 향하도록 한 상ㅌ태에서 날의 하방 1/3(tip-third) 측면을 치면에 적합하고 배면은 치은연을 향하게 하여 치경부 중앙에서 치석을 제거한다.
④ 치은변연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짧게 당기는 동작(short-pull stroke)으로 중첩하면서 기구를 적용한다. 인접면으로 이동할 때에는 엄지로 기구의 핸들을 천천히 돌리면서 치은변연 또는 치간유두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반대편 날의 하방 1/3 측면을 치경부 중앙에서 술자와 먼면에 적합시키고 인접치아 순면이나 소구치 협면에 손고정한다.
⑥ 치은변연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짧게 당기는 동작(short-pull stroke)으로 중첩하면서 기구를 적용한다. 인접면으로 이동할 때에는 엄지로 기구의 핸들을 천천히 돌리면서 치은변연 또는 치간유두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구치부”(sickle #34/#35)
① 구치부용 Sickle scaler을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는다.
② 하방연결부가 치아장축에 평행하게 하여 해당 치아의 인접치아 교합면이나 협측교두에 손고정을 한다.
③ 날의 하방 1/3(tip-third) 측면을 치면에 적합하고 배면은 치은변연을 향하게 하여 원심협측능각에서 근심면을 향하도록 한다.
④ 근심면을 향해 협·설면은 수직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근심인접면은 수직방향으로 짧게 치관쪽으로 당기는 동작(short-pull stroke)으로 중첩하면서 인접면까지 기구를 돌려가며 치석제거를 하며, 인접면에서는 반복 3회 동작을 한다..
인접면으로 이동 시 날을 치면에 잘 적합시키면서 치석제거를 하며 치은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하방연결부가 치아장축에 평행하게 하여 해당 치아의 인접치아 교합면이나 협측교두에 손고정을 한다.
⑥ 반대편 날의 하방 1/3(tip-third) 측면을 치면에 적합하고 배면은 치은변연을 향하게 하여 원심협측능각에서 원심면을 향해 적합시킨다.
⑦ 원심설측능각에서 원심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짧게 치관쪽으로 당기는 동작(short-pull stroke)으로 중첩하면서 인접면까지 엄지로 기구를 돌러가며 치석제거한다.
이때 인접면에서는 반복 3회 동작을 한다.
Gracey curet의 적용과정
“구치부”(Gracey #11/12,#13/14)
① Gracey 11/12 curet을 선택하여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는다.
② 해당 치아 또는 인접치아의 교합면이나 협측교두에 손고정을 한다.
③ toe가 인접면을 향하게 하였을 때 하방연결부가 치아 장축과 평행이 되는 작업단인 올바른 절단연을 선택한다.
③ 원심협측능각부위에 날의 toe가 근심면을 향하게 하고 하방 1/3(toe-third) 측면을 원심협측능각부위의 치은변연 1~2mm 위 치면에 적합시킨다.
④ 날을 원심협측능각에서 수직방향으로 가볍게 접합상피까지 0°로 삽입한다.
⑤ 근심면을 향하여 협·설면은 수직 또는 사선방향으로 중등도의 측방압을 주면서 기구동작을 하다가, 근심협측능각 부위에서 엄지로 손잡이를 천천히 돌리면서 인접면 col에서 수직방향으로 반복 3회 동작하여 치석을 제거한다.
⑥ Gracey 13/14 curet을 선택하여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는다.
⑦ 날의 하방 1/3 측면을 원심협측능각에서 원심면을 향해 날의 내면이 치면에 0°로 적합되도록 손잡이를 기울인다. 하방연결부 바로 위 연결부가 교합선에 가깝도록 기울여 적합과 삽입을 동시에 한다.
⑧ 원심협측능각에서 원심면을 향해 수직으로 인접면 col까지 짧게 당기는 동작 (short-pull storke)을 하면서 치석제거를 한다. 인접면 col에서는 수직방향으로 반복 3회 동작한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1.03.22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