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교육평가B형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교육평가B형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평가B형,비확률적 표집 riss4u.net에서 찾아

Ⅰ. 서 론

Ⅱ. 본 론
1.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
1) 목표표집
2) 편의 표집
3) 할당표집
4) 눈덩이 표집

2. 비확률적 표집의 반영된 사례
1) 논문 소개
2) 비확률적 표집(편의 표집)이 실시된 내용
① 표집대상
② 표집과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3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유치원의 표집은 비확률적 표집 중에서 편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OOOO A시에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 총 23곳을 선정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는 340부 중 325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었거나 응답되지 않은 문항이 있는 검사를 제외한 총 323부(95%)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표집 대상 배경
유아 성별
남자
여자
빈도
154
169
교사 연령
30세 이하
30세 ~ 39세
40세 이상
빈도
9
8
7
교사 경력
9년 이하
10년 ~ 19년
20년 이상
빈도
9
10
5
기관유형
유치원
어린이집
빈도
13
10
표집대상은 편의 표집에 맞게 연구자가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대상들 중에서 연구가 이뤄지는 시기에 유용한 유치원,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유아의 성별도 남자, 여자를 비슷하게 맞추고 교사의 연령, 경력도 너무 편향되지 않게 했다.
② 표집과정
이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이 유아들의 대인관계형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기에 모집단의 규모를 정확하게 알 수 없고 표본 프레임을 쉽게 입수하기가 어려워 비확률적 표집에서 편의 표집을 사용했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확률표집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OOOO의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의 명단을 입수하기 불가능하고 만약 실행에 옮기려고 한다 해도 투자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드는 관계로 비확률적 표집에서 편의 표집이 사용된 것이다.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들의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의 하위요인을 정했는데 자기점검이 14문항, 자기통제가 17문항,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가 유아의 평소 행동을 관찰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 점, ‘그저 그런 편이다’ 3점, ‘대체로 그렇다’ 4점, ‘항상 그렇다’ 5점으로 체크하도록 하였다. 만약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들에게서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평가하기 위해 낯선 상황이나 도전적인 상황에서 보이는 아동들의 정서성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역산을 통해 점수를 합하도록 했다. 대인관계형성능력 측정은 관계형성하기, 사회적 반응성, 지시 따르기, 긍정적 상호작용 항목으로 총 29문항으로 구성했다.
담임교사는 평소 유아의 행동과 1∼3주일 간 집중적인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평정하였고, 공감능력 검사는 교사의 질문에 대한 유아의 대답을 기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평균적으로 15명 내외의 유아들을 관찰 평가했다.
Ⅲ. 결 론
교육평가B형 문제가 제시하고 있는 논제인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확률적 표집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해 보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찾아 정리하였다. 위의 과제에서 볼 수 있듯이 비확률적 표집에서 편의 표집은 연구자가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표집 대상들 중에서 표집 하는 방법이다. 편의 표집은 연구자가 주관적 판단에 따라 대상자를 쉽게 선택하여 인터뷰할 수 있어 대표성을 전혀 생각할 수 없다. 하지만 표집 명단을 입수하기 불가능하고 만약 실행에 옮기려고 한다 해도 투자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드는 관계로 비확률적 표집에서 편의 표집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표집 방법이다.
Ⅳ. 참고문헌
김희태, 유진은(2021)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7,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3.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