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본론
1.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진단검사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퇴원교육
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본론
1.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진단검사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퇴원교육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을 만큼 움직이지 않기 때문
- 기침할 수 없음
- 의식소실
경증 및 중등도 천식 발작 응급처치
1. 환자의 기도유지 상태, 호흡, 맥박 상태에 대해 살펴보고 필요시 기본 인명 구조술을 시행한다.
2. 환자를 편안한 곳에 앉게 하고 몸을 조일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3. 환자에게 본인의 천식약에 대해 물어 보고, 환자의 기관지 확장 흡입기를 4번까지 흡입 시킨 후 1분 간격으로 흡입해 총 8회까지 흡입할 수 있다.
중증의 천식 발작 응급처치
1. 신속하게 119에 신고한다.
2. 환자에게 의사가 처방한 에피네프린 약이 있으 면 주사한다. ⇒ 환자에게 천식 발작 시 행동지 침에 대해 물어보고 대답한 대로 시행
3. 환자에게 본인의 천식약에 대해 물어 보고, 환자 의 기관지 확장 흡입기를 4번까지 흡입시킨 후 1분 간격으로 흡입해 총 8회까지 흡입할 수 있 다. ⇒ 약을 흡입함에도 불구하고 증세의 차도가 없으면, 119 구급대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
주의사항
- 의사의 처방이 아닌 다른 약제 사용해서는 안 됨
-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는 환자가 최대한 안정할 수 있도록 해야함⇒ 환자가 스트레스 및 불안 할 시 척식이 더욱 악화됨
- 119 구급대가 도착하면 환자가 사용한 약을 의사가 알 수 있도록 전달하거나 알려줌
- 환자가 무엇에 의해 천식이 유발됐는지 확인하도록 노력⇒ 다음 번 천식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
▶ 천식 예방 ◀
※ 천식이 있을 때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예방관리 수칙
1. 금연을 하고, 흡연 중인 사람 옆에 가지 않는다.
2. 운동과 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3.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4. 감기나 독감 예방을 위해 손 씻기를 잘 한다.
5. 실내는 깨끗이 청소하고 청결을 유지한다.
6. 공해나 황사가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고 마스크를 착용한다.
7. 천식발작에 대비한 약물을 항상 소지하고 정확한 사용법을 익힌다.
8. 효과적이고 검증된 치료방법으로 꾸준히 관리한다.
▶ 천식 예방을 위한 생 활 가 이 드 ◀
1. 악화요인 관리
1) 호흡기 감염의 예방
: 사람 많은 곳은 피하고 손을 자주 씻고 안정을 취하고 몸을 보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천식 환자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하는 것이 좋음
2) 온도 변화
: 겨울철에 외출 시 마스크와 스카프 착용
여름이나 겨울철에 실내외의 온도 많이 차이 나지 않도록 적정 실내 온도 유지
3) 담배연기, 화학물질, 강한 냄새
: 담배연기는 기관지 수축을 일으키며, 담배연기를 맡게 되더라도 증세가 나타나기에 금연 시행
집에서 사용하는 자극적인 각종 스프레이, 페인트, 아세톤, 향수 등에 의해서도 천식 발작이 일어날 수 있기 에 주의
4) 실내 오염 방지
: 난방 및 취사 시 배출되는 연소물질과 가구 광택제나 방향제, 살충제용 스프레이 제제 등의 사용도 환자가 있을 때는 사용하면 안 됨
5) 대기오염
: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경우, 실외에서 하는 과도한 운동 피하고 가급적 외출 제한
6) 신체적 활동, 운동
: 찬 공기를 마시며 달리는 경우 기관지 수축이 와서 호흡곤란을 느끼게 됨
→ 운동 전에 적절한 약제 사용하고 준비운동을 하면 예방 가능
7) 약물
: 해열 진통 효과를 목적으로 할 경우 아스피린 대신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할 수 있음
(성인 기관지 천식 P: 아스피린이나 소염진통제 먹으면 천식 발작 일어날 수 있음)
8) 식품첨가물
: 아황산염 및 황색 색소가 들어있는 음식 피하기 ex) 아보카드 소스, 감자, 새우
9) 스트레스
: 천식 환자들은 가능한 한 심적으로 여유로운 생활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됨
2. 환경관리
1) 실내환경관리
① 집안청소 : 집안은 자주 청소를 하여 깨끗한 환경 유지
청소는 먼지가 날리지 않도록 물걸레나 진공청소기 이용하는 것이 좋음
② 침구류의 선택과 세탁: 집먼지 진드기의 통과를 막을 수 있는 특수 재질로 된 커버 씌우기
커버를 주 1회 섭씨 55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 후 말려서 사용
베갯잇도 자주 세탁하여 사용
③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유지: 집먼지 진드기가 살기 어려운 조건으로 실내 환경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
(실내 습도를 40-50%로 유지하는 것이 좋음)
④ 카펫, 두꺼운 천으로 된 소파나 커튼 등 사용 X
⑤ 실내에서 애완동물 금물
2) 실외 환경관리
① 꽃가루: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는 외출 삼가고, 실내 창문 잘 닫아두기
외출 시 꽃가루 흡입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사용
② 대기오염: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경우에는 실외에서 하는 과도한 운동 피하기
③ 직장의 환경관리: 성능이 좋은 보호장비 착용
▶ 흡입기 사용법 ◀
약물
- 천식이 갑자기 심해지면 증상완화제 사용하기
- 기관지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정기적인 천식조절제 처방받아 꾸준히 천식 치료하기
- 증상이 자주 변하므로 정기적인 의사와의 면담
운동
- 요가, 수영과 같이 격렬하지 않은 운동 권장하기
- 날씨가 너무 춥거나 건조할 때 운동 자제하기
- 운동하기 15분 전에 증상완화제 흡입
- 운동 후 천식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증상완화제 사용하기
감기예방
- 매년 독감예방접종 받기
- 감기에 걸린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 외출 후 손씻기
악화요인 피하기
- 환경관리를 통해 원인물질 줄이기
- 알레르기 비염 치료하기
- 정신적 스트레스 피하기
계획 세우기
- 완화요인, 악화요인 알아두기
- 응급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연락처 미리 알아두기
▶ 천식 악화 시 대처법 ◀
2.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1,2 김금순 외, 2017.07.31. 수문사
- 일곱번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4. 01. 17
-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Lewis, 2012. 06. 25
- 여섯번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조경숙 외 공저, 2013. 09. 10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MEG GULANICK, 2017. 02. 23
-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기침할 수 없음
- 의식소실
경증 및 중등도 천식 발작 응급처치
1. 환자의 기도유지 상태, 호흡, 맥박 상태에 대해 살펴보고 필요시 기본 인명 구조술을 시행한다.
2. 환자를 편안한 곳에 앉게 하고 몸을 조일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3. 환자에게 본인의 천식약에 대해 물어 보고, 환자의 기관지 확장 흡입기를 4번까지 흡입 시킨 후 1분 간격으로 흡입해 총 8회까지 흡입할 수 있다.
중증의 천식 발작 응급처치
1. 신속하게 119에 신고한다.
2. 환자에게 의사가 처방한 에피네프린 약이 있으 면 주사한다. ⇒ 환자에게 천식 발작 시 행동지 침에 대해 물어보고 대답한 대로 시행
3. 환자에게 본인의 천식약에 대해 물어 보고, 환자 의 기관지 확장 흡입기를 4번까지 흡입시킨 후 1분 간격으로 흡입해 총 8회까지 흡입할 수 있 다. ⇒ 약을 흡입함에도 불구하고 증세의 차도가 없으면, 119 구급대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
주의사항
- 의사의 처방이 아닌 다른 약제 사용해서는 안 됨
-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는 환자가 최대한 안정할 수 있도록 해야함⇒ 환자가 스트레스 및 불안 할 시 척식이 더욱 악화됨
- 119 구급대가 도착하면 환자가 사용한 약을 의사가 알 수 있도록 전달하거나 알려줌
- 환자가 무엇에 의해 천식이 유발됐는지 확인하도록 노력⇒ 다음 번 천식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
▶ 천식 예방 ◀
※ 천식이 있을 때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예방관리 수칙
1. 금연을 하고, 흡연 중인 사람 옆에 가지 않는다.
2. 운동과 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3.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4. 감기나 독감 예방을 위해 손 씻기를 잘 한다.
5. 실내는 깨끗이 청소하고 청결을 유지한다.
6. 공해나 황사가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고 마스크를 착용한다.
7. 천식발작에 대비한 약물을 항상 소지하고 정확한 사용법을 익힌다.
8. 효과적이고 검증된 치료방법으로 꾸준히 관리한다.
▶ 천식 예방을 위한 생 활 가 이 드 ◀
1. 악화요인 관리
1) 호흡기 감염의 예방
: 사람 많은 곳은 피하고 손을 자주 씻고 안정을 취하고 몸을 보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천식 환자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하는 것이 좋음
2) 온도 변화
: 겨울철에 외출 시 마스크와 스카프 착용
여름이나 겨울철에 실내외의 온도 많이 차이 나지 않도록 적정 실내 온도 유지
3) 담배연기, 화학물질, 강한 냄새
: 담배연기는 기관지 수축을 일으키며, 담배연기를 맡게 되더라도 증세가 나타나기에 금연 시행
집에서 사용하는 자극적인 각종 스프레이, 페인트, 아세톤, 향수 등에 의해서도 천식 발작이 일어날 수 있기 에 주의
4) 실내 오염 방지
: 난방 및 취사 시 배출되는 연소물질과 가구 광택제나 방향제, 살충제용 스프레이 제제 등의 사용도 환자가 있을 때는 사용하면 안 됨
5) 대기오염
: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경우, 실외에서 하는 과도한 운동 피하고 가급적 외출 제한
6) 신체적 활동, 운동
: 찬 공기를 마시며 달리는 경우 기관지 수축이 와서 호흡곤란을 느끼게 됨
→ 운동 전에 적절한 약제 사용하고 준비운동을 하면 예방 가능
7) 약물
: 해열 진통 효과를 목적으로 할 경우 아스피린 대신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할 수 있음
(성인 기관지 천식 P: 아스피린이나 소염진통제 먹으면 천식 발작 일어날 수 있음)
8) 식품첨가물
: 아황산염 및 황색 색소가 들어있는 음식 피하기 ex) 아보카드 소스, 감자, 새우
9) 스트레스
: 천식 환자들은 가능한 한 심적으로 여유로운 생활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됨
2. 환경관리
1) 실내환경관리
① 집안청소 : 집안은 자주 청소를 하여 깨끗한 환경 유지
청소는 먼지가 날리지 않도록 물걸레나 진공청소기 이용하는 것이 좋음
② 침구류의 선택과 세탁: 집먼지 진드기의 통과를 막을 수 있는 특수 재질로 된 커버 씌우기
커버를 주 1회 섭씨 55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 후 말려서 사용
베갯잇도 자주 세탁하여 사용
③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유지: 집먼지 진드기가 살기 어려운 조건으로 실내 환경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
(실내 습도를 40-50%로 유지하는 것이 좋음)
④ 카펫, 두꺼운 천으로 된 소파나 커튼 등 사용 X
⑤ 실내에서 애완동물 금물
2) 실외 환경관리
① 꽃가루: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는 외출 삼가고, 실내 창문 잘 닫아두기
외출 시 꽃가루 흡입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사용
② 대기오염: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경우에는 실외에서 하는 과도한 운동 피하기
③ 직장의 환경관리: 성능이 좋은 보호장비 착용
▶ 흡입기 사용법 ◀
약물
- 천식이 갑자기 심해지면 증상완화제 사용하기
- 기관지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정기적인 천식조절제 처방받아 꾸준히 천식 치료하기
- 증상이 자주 변하므로 정기적인 의사와의 면담
운동
- 요가, 수영과 같이 격렬하지 않은 운동 권장하기
- 날씨가 너무 춥거나 건조할 때 운동 자제하기
- 운동하기 15분 전에 증상완화제 흡입
- 운동 후 천식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증상완화제 사용하기
감기예방
- 매년 독감예방접종 받기
- 감기에 걸린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 외출 후 손씻기
악화요인 피하기
- 환경관리를 통해 원인물질 줄이기
- 알레르기 비염 치료하기
- 정신적 스트레스 피하기
계획 세우기
- 완화요인, 악화요인 알아두기
- 응급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연락처 미리 알아두기
▶ 천식 악화 시 대처법 ◀
2.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1,2 김금순 외, 2017.07.31. 수문사
- 일곱번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4. 01. 17
-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Lewis, 2012. 06. 25
- 여섯번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조경숙 외 공저, 2013. 09. 10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MEG GULANICK, 2017. 02. 23
-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키워드
추천자료
천식 case study, 문헌고찰
기관지염 천식 간호진단중재 case study( Asthmatic bronchiolitis )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case study
기관지천식 case study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아동 Asthma Case Study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Bronchial Asthma 기관지 천식 케이스 A+ (기관지 천식 케이스, 기관지 천식 간호과정, 기관...
MICU - asthma 천식 case study A+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사례연구
소개글